-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2년 환안도회시(還安道會時) 통문(通文)
1692
|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 풍기향교
| 영주 풍기향교
還安道會時太學通文製通【榮川權景漢安東鄭泰斗】欽崇先聖秉彛所同則其於爲聖廟事執不盡心而竭誠哉乃者豊基鄕校移建時以丹?事報請磊碌于巡營磊碌卽長?縣所産也方伯旣已行關本郡又爲移文則爲其守令者所當?念本行而縣監尹承渭不有重地假託▣▣▣回移措語殊抵悖慢旣曰其直太重事涉抵難又曰領率軍丁掘去云云噫長?縣監不知何
-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692년 노비 쟁송(爭訟) 관련 기사
1692
|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 풍기향교
| 영주 풍기향교
壬申二月日以叛奴事興海居李泰榮呈議送到付于本官自本校應卞都有司黃璨等二百人具由呈文于兪命雄城主前題音內天祥等之前後謀叛本校非止一二俱未兌敗露今又與李泰榮符同之狀極爲痛駭囚禁報使處置計料爲?泰榮之非理好訟尤甚可惡叱分不喩多士呈文之際?辱多士不遺餘力不爲囚禁報使處置計料云云囚禁泰榮將欲報使之際適以臺評遞
-
尋院錄戊子八月日管山後人全汝錡叔巳 癸卯沃川月城後人李處亭載厚 戊子 同月二十九日祗謁碧珍李挺翼子? 丁丑延安金載元春幼 戊戌夏山成重柱收九 丙辰成玉柱?伯 庚申碧珍李挺趾季? 戊辰李克奎明安 戊午密陽朴思根敬福 辛亥 九月重日祗 謁星山呂尙復子眞 庚申管山全達道光仲 甲寅晉陽鄭慶魯大伯 己巳 同日
-
地主海州吳致成戊子五月二十六日祗 謁晉山姜長欽六月初一日祗 謁順天金晉礪七月初一日祗 謁外裔靑松沈東翼七月晦日祗 謁後孫黃正熙八月二十日祗 謁外裔豊城趙述先具月初九日祗 謁豊山柳憲春叔度 壬寅 同日祗 謁韓山後人李南老叔明 甲戌 乙巳五月二十日 帶恩祗 謁庬村後孫鳳辛巳 靈翼 八月初十日祗 謁後學星
-
1828년~1857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심원록(尋院錄)
1828
| 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 교육/문화-서원/향교-심원록
| 옥동서원
| 상주 옥동서원
地主海州吳致成戊子五月二十六日祗 謁晉山姜長欽六月初一日祗 謁順天金晉礪七月初一日祗 謁外裔靑松沈東翼七月晦日祗 謁後孫黃正熙八月二十日祗 謁外裔豊城趙述先具月初九日祗 謁豊山柳憲春叔度 壬寅 同日祗 謁韓山後人李南老叔明 甲戌 乙巳五月二十日 帶恩祗 謁庬村後孫鳳辛巳 靈翼 八月初十日祗 謁後學星
-
1768년~1782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심원록(尋院錄)
1768
| 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 교육/문화-서원/향교-심원록
| 옥동서원
| 상주 옥동서원
尋院錄戊子八月日管山後人全汝錡叔巳 癸卯沃川月城後人李處亭載厚 戊子 同月二十九日祗謁碧珍李挺翼子? 丁丑延安金載元春幼 戊戌夏山成重柱收九 丙辰成玉柱?伯 庚申碧珍李挺趾季? 戊辰李克奎明安 戊午密陽朴思根敬福 辛亥 九月重日祗 謁星山呂尙復子眞 庚申管山全達道光仲 甲寅晉陽鄭慶魯大伯 己巳 同日
-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1692~1720년 「향교잡록(鄕校雜錄)」 제2(第二) 수록 1707년 통문(通文)
1707
|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 풍기향교
| 영주 풍기향교
亞使巡講急期定都會於安東伊時講案皆以西齋充數而無契應講曾於壬午年榮川考講亦以西齋修正則二巡之規爲日後之例也後當考講時任勿失此規毋至東齋混講之弊喜甚丁亥二月二十日都有司黃道宗掌議河聖圖齋任朴成允李國鉉
-
1789년 상주 옥동서원(玉洞書院) 소청일기(疏廳日記)
1789
| 고서-일기
| 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옥동서원
| 상주 옥동서원
附疏廳日記請額始事月日。議定凡節。見上本院日錄。趙斯文奎鎭旣許行。會中多士莫不欣。然庶幾大事之有成。留院三日始發行。五月二十七日。趙斯文奎鎭發行。黃院長聖休以本孫隨去。黃弼熙以本所齋任從行。黃宅坤管行陪去。拘於院力凋弊。未設疏廳儀節。行色蕭然。盖欲入城後。始設疏廳故也。到新安。柳亭安平老少諸人。預待
-
1883년 예안(禮安) 유학(幼學) 이중오(李中五) 등 상서(上書)
1883
|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 정치/행정-보고-청원서
| 이중오, 순상합하
| 경주 옥산서원
禮安幼學李中五善山幼學金泌東安東幼學柳東運等謹齎沐再拜仰籲于巡相閤下伏以生等伏見日前再呈 題音有 關飭該府之 敎固知 大君子衛賢院正士趍之盛念弘度出於尋常萬萬輪閱銘感頂手以竢而但生等各在遠地一歸落落無從以擭奉 關敎辭旨故姑蹲將發之行而更此煩稟尤不任悚惶懇祝之至癸未十一月 日 醴泉幼學李元浩安東幼學李
-
1885년 본도도회소(本道道會所) 유생(儒生) 류도설(柳道卨) 등 상서(上書)
1885
|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 정치/행정-보고-청원서
| 순상국합하, 도회소 유생
| 경주 옥산서원
本道道會所儒生幼學柳道卨崔時敎李中運等謹齎沐上書于巡相公閤下伏以慶州之玉山書院卽惟我先師文元公晦齋李先生妥享之所也 聖朝尊衛之雲章昭揭退陶講定之鐵案至嚴環嶠南七十州圓冠方領恪守而尊奉之者于玆四百有餘年矣夫何世俗不古險塗難盡慶州之新儒所謂李珏壽李在謙辛宗海權必煥輩奪據書院自爲任司俎豆重地者作醉飽之窩窟
-
1883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유생(儒生) 이능장(李能章) 등 상서(上書)
1883
|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 법제-소송/판결/공증-상언
| 순찰사, 옥산서원 유생
| 경주 옥산서원
慶州玉山書院儒生李能章權宜奭鄭益儉等謹齋沐上書于巡相公閤下伏以國有學祀先聖鄕有院祀先賢亦興善物正禮俗之一治也視都知野則據學知院矣而其規模節次夫豈苟然而已哉本州之玉山書院卽先師文元公晦齋李先生妥虔之所而院規卽退陶老先生所講定者也 我國書院之設昉於順興之紹修而繼而有玉山有陶山而一省額院遵式此規況本院則李
-
달성(達城) 도동서원(道東書院) 소장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 수록 1913년경 「안동하회단자(安東河回單子)」
191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도동서원, 하회, 도동서원
| 대구 도동서원
安東河回單子【柳蘭榮柳道弼柳弘睦柳喬榮柳萬植柳先夏柳永佑】仰瀆僉尊鑑伏以程夫子有言曰雖公天下之事以私意行之便是私今者陶山及門錄刊行之擧不其近乎此錄之藏在各家巾衍三百年未遑豈非諸先輩審?之極難重之甚者乎序賢而以明道統之傳體先而以講同門之好克謹且嚴大公至正必成拱璧之完書是固及門後承之所當合席敦事而何乃老
-
달성(達城) 도동서원(道東書院) 소장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 수록 1917년 「호계서당래문(虎溪書堂來文)」
191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도동서원, 호계서당, 도동서원
| 대구 도동서원
虎溪書堂來文【柳淵博金翰洛李壽必崔正愚權泰東南炳斗河大運朴圭陽】右文爲通諭事伏以惟我大山李先生倡明斯道紹往啓來的承淵源接陶山而朔考亭卓然爲斯文之正嫡而後學之宗師殆質鬼神俟百世而無疑也尸祝崇奉之論?自甲辰撤筵之日及門諸賢苦心規?遠近士林齊力來贊堂室齋?間架已成階壇廉?位置略定而獨揚虔妥奉之所以商量而等
-
영주(榮州)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백고리사(白皐里社) 『병오12월시 잡록(丙午十二月始 雜錄)』 수록 1784년경 「안동삼계서원통문(安東三溪書院通文)」
1784
|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 백고리사, 삼계서원, 오계서원
| 영주 풍기향교
安東三溪書院通文生等竊伏念丹谷郭先生節行之表著德業之宏偉宜有俎豆揭虔之所而?今百有餘年尙未有公議之敦發生等每於尙論先輩之際竊爲之慨然傷歎矣?者伏聞貴鄕章甫首先唱發將有祭社?享之擧凡爲吾嶺士林者孰不欽仰而齊聲也哉先生之道學名節已是世人之所共知者而第想其林泉高趣山斗於當時文章浩氣?璨於遺篇則其爲後人之矜
-
1719년 이시춘(李時春) 이시원(李時元) 소지(所志)
1719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이시춘, 이시원, 청송도호부
| 안동 법흥 고성이씨 탑동종가
安東居李時春時元右謹言所志矣段。卽今量田到頭是如。春間所推田畓段。前所志中旣已得題音是在果。昨者申萬鍵處所推安德縣北染字四十五田五十八卜五束庫乙。矣奴此松名以懸錄事乙。監色處特爲行下爲只爲。行下向敎是事。靑松府 處分。 己亥十月日。所志。前頭量案中以其奴名懸主爲旀。彼此田界打量以給事分付事。量
-
1736년 유학(幼學) 이시일(李時一) 의송(議送)
1736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이시일, 경상감영
| 안동 법흥 고성이씨 탑동종가
安東居幼學李時一。右謹言所志矣段。本府東二十里許道谷。卽矣家六七代松楸也。數百年來子孫繼葬。無一餘崗。一洞之內。寸土一木無非矣家之所有。而矣身及從兄弟四五人。亦作家居生於山下。此則遠近之所共知是在如中。年前矣身遭妻喪。繼葬於一麓卽。矣身家後也。厥後遭姪婦喪。又繼葬於他麓先山之內。子孫繼葬自是常事。而
-
1736년 유학(幼學) 이시일(李時一) 소지(所志)
1736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이시일, 진보현
| 안동 법흥 고성이씨 탑동종가
安東居幼學李時一。右謹言所志矣段。本府東二十里許道谷。卽矣家六七代松楸也。數百年來子孫之繼葬。無一餘崗。一洞之內。寸土一木莫非矣家之所有。此則遠近之所共知是在如中。年前矣身遭妻喪。繼葬於一麓。又遭姪婦喪。又繼葬於他麓。先山之內子孫繼葬。自是常事。而不意前冬寧海居權載始等。稱以先塋禁葬。呈議送到付本府
-
1736년 이시춘(李時春), 이시강(李時綱), 이시항(李時沆) 등 소지(所志)
1736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이시춘, 이시강, 이시항, 이시보, 이시면, 진보현
| 안동 법흥 고성이씨 탑동종가
安東居幼學李時春 李時綱 李時輔 前縣監李時沆 幼學李時勉 李時迪 李元休。右謹言所志矣段。安東府東二十里許道谷一洞。卽矣家六七代松楸也。數百年來子孫之繼葬。無一餘岡。一山之內。寸土一木莫非矣家之所有。此則遠近之所共知是在果。不意今者寧海居權德普等。稱以爲先塋禁葬。瀆冒天聽。移定訟官。至以矣家百餘年
-
1736년 유학(幼學) 이시일(李時一) 소지(所志)
1736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이시일, 진보현
| 안동 법흥 고성이씨 탑동종가
安東居幼學李時一。右謹言所志。矣與寧海居權德普等相訟事段。已盡於彼此所志及原情中是遣。訟官敎是又爲摘奸圖形論報是乎則。其間是非曲直。今不必架疊是置。營門題辭論理決給是乎旀。彼此兩隻處捧招以給亦云云敎是乎所。自官營題據移文推捉是乎等以。到移卽爲待令官門。已過三四日是乎矣。同權德普等終無形影是乎所。此必
-
1847년 참최인(斬衰人) 이정백(李庭百) 이정룡(李庭龍) 의송(議送)
1847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이정백, 이정룡, 경상감영
| 안동 법흥 고성이씨 탑동종가
十八日午時 道內安東居斬衰人李庭百庭龍等。謹泣血再拜呈書于巡宣按察使閤下孝理之下。伏以。生罪積不孝。父喪衰服中。又改葬母墳於本府道谷先隴之傍從曾祖墓階下矣。千萬意外被權養性輩越入十餘塚。無端起訟。圖之尺之。乃是非主脈非龍虎非案對四百三步之地。則訟理之萬萬不當禁。不但生等私見。彼權氏亦欲自退。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