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12년 호계서원(虎溪書院) 답통문(答通文)
181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희소, 호계서원
| 경주 옥산서원
1812년 2월 14일, 瓢隱 金是榲의 祭享施設을 建立하자는 玉山書院의 通文에 대한 虎溪書院의 答通文
-
1840년 서악서원(西岳書院) 통문(通文)
1840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남양홍, 금익렬, 서악서원
| 경주 옥산서원
1840년 1월 4일, 西岳書院에서 자신들의 儒生 講案을 드리니 玉山書院의 儒案에 옮겨줄 것을 당부하는 通文
-
1843년 금시술(琴詩述) 등 통문(通文)
184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금시술, 김매수, 정지락
| 경주 옥산서원
1843년 5월 15일, 退溪의 遺集을 重刊하는데 배당된 寄附金의 납부를 慶州 校院에 독촉하는 琴詩述 등의 通文
-
1906년 성균관(成均館) 통문(通文)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성균관
| 경주 옥산서원
1906년 閏4월, 先代의 賢人인 晦齋를 망령되이 핍박하고 그의 學問 淵源을 거짓으로 지은 慶州孫氏들과 眞城李氏들을 聲討하며 慶州鄕校에 보낸 成均館의 通文
-
1906년 낙빈단소(洛濱壇所) 회중(會中) 통문(通文)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중근, 낙빈단소 회중
| 경주 옥산서원
1906년 4월 8일, 『景節公實記』에 晦齋의 學問이 愚齋에게서 淵源한다는 글을 실은 3人의 眞城李氏와 이를 빌미로 『晦齋集』을 破板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慶州孫氏들의 처벌을 玉山書院에 건의하는 洛濱壇所 會中의 通文
-
1906년 병산서원(屛山書院) 통문(通文)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유도필, 유도위, 병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06년 1월 25일, 驪州李氏들이 晦齋에 대한 退溪의 行狀을 杜撰했다는 慶州孫氏들의 誣告를 처벌할 것을 요구하며 玉山書院에 보낸 屛山書院의 通文
-
1906년 사양서당(泗陽書堂) 통문(通文)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상표, 사양서당
| 경주 옥산서원
1906년 4월 5일, 晦齋와 愚齋 사이의 學問 淵源과 道學 授受 關係에 대해 올바르지 못한 말을 퍼뜨린 자들을 처벌할 것을 요구하며 玉山書院에 보낸 泗陽書堂의 通文
-
1916년 도산서원(陶山書院) 통문(通文)
191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중철, 이중철, 이중균, 도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16년 6월 29일, 屛山書院에서 『陶山及門諸賢錄』의 내용을 誣告하는 冊子의 發刊을 저지하는데 동참해줄 것을 호소하며 玉山書院에 보낸 陶山書院의 通文
-
1792~1864년 경상도(慶尙道) 장기현(長鬐縣) 죽림서원(竹林書院) 심원록(尋院錄)
1792
| 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 교육/문화-서원/향교-심원록
| 죽림서원
| 포항 장기향교
1792년부터 1864년까지 慶尙道 長鬐縣에 위치했었던 竹林書院 방문 인사들의 방명록
-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782년 기록
1782
| 고서-기타
|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 신녕향교
| 영천 신녕향교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 『考往錄』에 수록된 1782년 新寧縣 儒生의 都會 移屬 청원 기록
-
경상북도(慶尙北道) 신녕군(新寧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896년 기록
1896
| 고서-기타
|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 신녕향교
| 영천 신녕향교
慶尙北道 新寧郡 新寧鄕校 『考往錄』에 수록된 1896년의 檄文 수급, 享禮 闕禮, 講學 실시 기록
-
1876년 권중연(權重淵) 사약일통(社約一統)
1876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권중연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奈城洞約洞約序奈之縣本地僻民物鮮小人心頑惡近於禽獸庸詎知義禮之所在大抵率子弟者不事詩書專以漁獵爲業有挾冊者則爲齟齬人也爲孝悌者則爲釣名人也或不謹父母之喪而恣行不義或相怨讟而無所不至或鄙吝而詭秘爭利有年矣近年二三長老列居左右忼慷於風俗之不美而教人漸磨然習俗已久難以化之良可慟哉惟我洞中人皆有庭訓寧不於此
-
1684년 영양향교(英陽鄕校) 집강안(執綱案)
1684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執綱錄趙 頍 子 晃 庚午趙 頩 子 休 癸酉南翼漢 泰而 壬午吳以謙 子 益 甲申吳三聘 殷鄕 癸巳趙 頙 汝直 丙子趙 顒 子 昻 己卯琴以武 尙甫 己卯趙 䪳 信仲 壬午趙{憲+頁} 憲夫 壬午吳三省 崔吾 乙酉趙 䫆 顯仲 丁亥吳三益 君錫 丁亥趙是昌 德裕 壬辰趙是常 德彛 癸
-
1723년 영양향교(英陽鄕校) 집강안(執綱案)
1723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英陽鄕校 丙午三月 日執綱錄癸卯二月七日趙喜復 故趙喜濟具益壽 改 聖榘 故具象三 故趙夏圭 改 鼎九趙希夙趙泰圭 故趙文圭權世行趙重鐸趙希閔 故趙玄圭 故趙承圭 故趙禹圭際甲辰二月三日趙尙益吳命大 故辛味玄 故具聃命 故趙錫老鄭宜琛權斗赫權翔 故際乙巳二月十一日洪胃咸 故金儧 移權大觀趙琛 故金爾
-
1720년 작성된 경상도(慶尙道) 영양향교(英陽鄕校) 전답양안(田畓量案)
1720
| 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 경제-농/수산업-전답안
|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鄕校田畓庚子量案北初黎一百北祀介古乙越道下 六䓁直田 南北長四十尺 東西廣三十尺 三卜 東於? 二方道 北山 起 旧碓乞 今校位二百五西祀 六䓁直田 南北長三十尺 東西廣九尺 七束 以民田誤錄故校去 西己面田 南世興田 北? 東道 起 校位首四十四北祀 六䓁直田 東西長六十五尺 南北廣四十三尺 七卜
-
1944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의성군(義城郡) 비안향교(比安鄕校) 유계안(儒契案)
1944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比安鄕校[印]甲申七月日儒契案[印]儒契序夫人情散於安易而合於危難同舟而濟吳越且如一家况於鄕人乎又况於儒林乎當比義合郡之後有廢郡文廟撤享之議時輩唱和之官吏壓迫之甚至有比安文廟建物賣却之說嗚乎是可忍也孰不可忍也吾儕中二三人以披胷受箭之氣守禮廢羊存之義如不得已寧買受建物而爲私奉之計以[印]是會同志醵若干
-
1911년 경상도(慶尙道) 청도향교(淸道鄕校) 간행 청도향안정명록(淸道鄕案正名錄)
1911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淸道鄕案正名錄淸道鄕案正名舊錄僉正李白新載寧人習讀朴誠密陽人僉知李礬固城人僉知李礱固城人進士朴光亨密陽人幼學崔泗源閔參驪興人盧慶濬長淵人都守金克裕淸道人進士金致三金海人幼學趙成麟咸安人僉正朴譚密陽人忠義李洙固城人李潜固城人息城君李雲龍載寧人忠義李濂固城人李澈固城人幼學李廷翰慶州人李廷郁慶州人忠義李濟
-
1840년 의성향교(義城鄕校) 도회(道會) 통문(通文)
1840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지재, 채주욱, 김용우, 의성향교 도회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惟我 退陶先生遺集重刊之役積年經營迄今未就此實(斯)文之欠典而吾黨之丕責也迺者鳳停之會己有所商論區劃派定於四鎭管以爲收合始事之謀而閱了許多時日尙無段(落)夫豈 僉君子衛道之誠或有一分歇后而然哉第物力恒患於凋弊蕫勅或失禮玩愒頭白件靑究竟無期竊不勝慨然者也今此梓板己鳩寫本就净不可不及今措
-
1939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령향안(新寧鄕案)
1939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新寧鄕案序夫案徵也盖因藍田氏鄕約而起而所以重其事而徵其後也知其制度節目之詳然意者有在於斯乎傳之久故守之重而未免爲蠹食古紙鄕父老爲是慨歎者累矣往者安君庸洛因邑誌落成之會恢修正之論而事遂寢焉見山權丈畀余以修潤之責爲後日計終不敢辭謹按舊本刪之以一名疊出增之以貫鄕表號又書其某爲某之子某爲某之孫而或有未詳者則
-
1852년 안동향회소(安東鄕會所) 통문(通文)
185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정수, 류치명, 김기운, 고산서원 / 안동향회소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我大山李先生易簀己七十有年于玆矣粤自喪畢之日己建尸祝之議當時及門賢達道中耈德磊相望一言一爲無不裁之以中正而爲先汲汲於此者其意豈苟然哉至若 川沙 立齋諸先輩至成一本疏草整頓義理以爲待時之器盡未始一日忘此事也而中間一再擧置每出於觀象玩占知進知退之義則先輩作事固無慎之至也然而世遠人亡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