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22년 이시경(李時敬) 호구단자(戶口單子)
1822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시경, 예안현
| 안동 가송 영천이씨 농암종택
第三戶幼學李時敬年六十八乙亥本永川父學生祥熻祖學生廷楫曾祖學生馧外祖成均生員金邦翰本咸昌率子龍鉉年三十三庚戌率弟時靖年六十五戊寅時養年五十三庚寅率婢順香年辛丑父私奴莫文母班婢女娘逃奴順石年辛丑父私奴順景母班婢太眞婢介春年壬戌父不知母班婢莫春婢介分年甲子父母上同婢後女年己巳父不知母班婢{芿/叱}介逃婢
-
1906년 김창섭(金昌燮) 호구단자(戶口單子)
1906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김창섭, 풍산현
|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安東豊北面五美洞丙午戶籍第三統內八戶前參奉金昌燮年三十七庚午本豐山父學生秉鈺生父學生秉均祖通德郞洛中曾祖學生魯欽外祖學生李在徵籍驪州奉母李氏年五十九戊申籍驪州率妻柳氏年三十九戊辰籍豐山奴一婢一瓦家十間
-
1903년 김창섭(金昌燮) 호구단자(戶口單子)
1903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김창섭, 풍산현
|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安東豊北面五美癸卯戶籍第三統內第八戶幼學金昌燮年三十四庚午本豐山父學生秉鈺生父學生秉均祖通德郞洛中曾祖學生魯欽外祖學生李在徵本驪州奉母李氏年五十六戊申籍驪州率妻柳氏年三十六戊辰籍豐山奴成俊年四十二壬戌婢興女年三十三辛未瓦家十間
-
1907년 김창섭(金昌燮) 호구단자(戶口單子)
1907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김창섭, 풍산현
|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安東豊北面五美洞丁未戶籍第一統內第三戶前參奉金昌燮年三十八庚午本豐山父學生秉鈺祖通德郞洛中曾祖學生魯欽外祖學生李在徵籍驪州奉母李氏年六十戊申籍驪州率妻柳氏年四十戊辰籍豐山女年五歲癸卯子象鳳年二歲丙午婢馬順年十七寄口李斗元年四十四甲子妻李姓年二十九己卯女蓮花年八歲庚子子卜伊年五歲癸卯瓦家十間
-
김정섭일록(金鼎燮日錄)
1920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김정섭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庚申正月建。丙寅。【雨水初一日。驚蟄十六日。】○ 初一日【戊申】晴而小風。朝行茶禮。第念今日元朝孤露之感。已難堪裁。而一弟久縶平監。一弟遠在上海。一弟寓仕郡底。獨坐送年。此何人哉。情懷作惡。終日不出。但富孫充完。三家姑免。憲兒去平壤一望餘。昨暮始還。見無車憊。其仲父頻頻面會。形容凡節不甚疲損。讀『中
-
1899년 김창섭(金昌燮) 호구단자(戶口單子)
1899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김창섭, 풍산현
|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安東豊北面五美洞己亥戶籍第三統內第八戶幼學金昌燮年三十庚午本豐山父學生秉鈺生父學生秉均祖通德郞洛會曾祖學生魯欽外祖學生李在徵本驪州奉母李氏年五十二戊申籍驪州妻柳氏年三十二戊辰籍豐山父通政大夫行承政院右承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芝榮祖通德郞道鳳曾祖通政大夫司諫院大司諫知製敎致睦外祖通訓大夫行文川郡守
-
1735년 이인배(李仁培) 호구단자(戶口單子)
1735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인배, 영해부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乙卯三月日西面仁良化里戶籍單字戶通德郞李仁培年七十二甲辰本載寧父學生之炫生父成均生員之煜祖承仕郞行成均館學諭楷曾祖學生莘逸外祖宣敎郞金燮本聞韶妻恭人琴氏年六十三癸丑籍奉化父學生德華祖宣敎郞聲律曾祖通訓大夫行工曹正郞兼春秋館記注官尙絃外祖學生李{火+嗇}本羽溪率子宇鍵年五十二甲子婦趙氏年五十四壬戌籍漢
-
1870년 풍북면(豊北面) 오미동(五美洞) 호적(戶籍)
1870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풍산현
|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庚午式己巳洞上豊北第十四五美洞戶籍實人口成冊第一統統首自統內第一戶通政大夫前行承政院同副承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金斗欽年六十七甲子本豐山妻朴氏年六十九壬戌籍順天率子通德郞洛周己巳故子婦李氏年四十九壬午籍驪州節孫幼學鼎秀改秉璜年二十六乙巳孫婦柳氏年二十九壬寅籍豐山次孫幼學蘭秀改秉璡年二十一庚戌孫童
-
1726년 이인배(李仁培) 호구단자(戶口單子)
1726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인배, 영해부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父學生之炫生父成均生員之煜祖承仕郞行成均館學諭楷曾祖學生莘逸外祖宣敎郞金燮本聞韶母孺人金氏故妻恭人琴氏年五十四癸丑籍奉化父學生德華祖宣敎郞聲律曾祖通訓大夫行工曹正郞兼春秋館記注官尙絃外祖學生李{火+嗇}本羽溪率子鍵年四十三甲子婦趙氏年四十五壬戌籍漢陽奴乙男年七十八己丑父私奴介卜母班婢介春奴永元
-
1744년 권운대(權運大) 서간(書簡)
174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운대, 김성탁
| 안동 천전 의성김씨 제산종택
光陽 謫所 呈納 安東 蘭谷 權弟 候狀曾於哀鞸返次之日 隨人暫慰 而悤擾 未申區區伊後 鄙家潛遘 未得匍匐於執紼之間 嚴程有限 又未得攀別 居然甲已周 至於君子動靜 素履有定 固不足爲吾兄慽慽 而顧此鬂毛 烏得無同衰暮之歎也 況今鄕黨之凋零已不可言 而令從玉汝氏兄弟 相繼喪逝 伊湖丈又作泉下人 其
-
1729년 김성탁(金聖鐸) 서간(書簡)
172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성탁, 이○○, 류○○
| 안동 천전 의성김씨 제산종택
李生員 柳生員 僉侍史 僉兄 拜候狀上[署押]卽因院使來 謹審欽兄 來臨院中 雖未奉 猶旣覯 其慰積年阻仰多矣 況此春寒侍履連勝 尤不勝傾慰之至明兄 聞自海邑 還侍有日 起居平迪 幸深忻暢第以憂患奔走 爲之仰念 雲若初産得男 彼此之幸也 弟奉老依遣 它姑無論 重地主席之任實非如弟無似者 所敢承當 且
-
1863년 김낙중(金洛中) 서간(書簡)
186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낙중, 김두흠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父主前 上白是孫陟下來後 便后 久閡數三朔 晝宵孺慕之情 實難按住 而涯角之際 魚雁漠然憑 未得修候上白 在家子不孝之罪責 曷敢容達 惟望西天 以待平安二字忽承轉便 出初七日下書 其間無前潦暑 每以滯泄 無一日全安時 聞不勝瑕慮而這間煎泣之狀 何可以盡達耶 仍伏審秋氣漸生旅中氣體候 葆無添損節 向時
-
1841년 문경(聞慶) 봉암정(蜂岩亭) 중건 통문(通文)
184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안동향교
| 예천 감천 강릉유씨 벌방종가
1841년에 安東鄕校에서 聞慶의 蜂岩亭을 중건하는 일에 관하여 보내온 通文.
-
1844년 장오규(張五奎) 서간(書簡)
184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오규, 박제연
|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1844년 3월 6일, 張五奎가 朴齊淵에게 應一의 부임 소식을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855년 권석원(權錫元) 서간(書簡)
185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석원, 박제연
|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1855년 7월 29일, 權錫元이 朴齊淵에게 上月寺 행사에 초대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859년 안동향교(安東鄕校) 통문(通文)
1859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안동향교
| 예천 감천 강릉유씨 벌방종가
1859년에 安東鄕校에서 강릉유씨 문중에 보낸 通文.
-
1859년 대의소청(大義疏廳) 간통(簡通)
1859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대의소청
| 예천 감천 강릉유씨 벌방종가
1859년에 서울의 大義疏廳에서 安東鄕校에 보낸 簡通을 베낀 것.
-
1876년 권영하(權泳夏) 서간(書簡)
187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영하
| 영양 주곡 한양조씨 옥천종택
1876년 10월 22일, 權泳夏가 자신의 근황을 전하고 詩를 보내기 위해 보낸 편지
-
1879년 녹문회중(麓門會中) 박은(朴誾) 묘우(廟宇) 설립 관련 통문(通文)
1879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녹문회중
|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1879년에 麓門會中에서 安東, 榮川, 醴泉의 반남박씨 宗中에 보낸 通文
-
1953년 이현일(李玄逸) 금양단(錦陽壇) 낙성식 관련 통문(通文)
195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금양단소
|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1953년에 보낸 李玄逸을 기리는 錦陽壇 낙성식에 참여하라는 내용의 通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