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866년 구암동동원좌목기(狗巖洞洞員座目記) 동치오년병인정월일(同治伍年丙寅正月日)
1866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조선후기 江原道平海郡下里面朴谷里狗巖洞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의 1866년 座目으로 前尊位 2명과 時洞首 17명의 성명을 기재
-
1876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권중연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6세기 무렵부터 19세기 후반까지 慶尙道安東府奈城縣에서 실시된 향약 관련 자료들을 모두 엮어 놓은 것으로, 奈城縣 출신의 유학자 權重淵이 1876년에 편찬
-
1890년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면학계완문(面學契完文)
189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하종기, 강희주, 면학계 | 남해 율곡사
1890년 지금의 경상남도남해군남면에서 후학 양성을 목적으로, 수령의 협조 아래에 결성된 面學契 完文과 契員 명단
-
1895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江原道平海郡下里面朴谷里狗巖洞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의 1895년 座目으로 洞首 8명과 有司 4명의 성명을 기재
-
1899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江原道平海郡下里面朴谷里狗巖洞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의 1899년 座目으로 모두 28명의 성명이 기록되어 있으며, 각 洞任別 성명도 함께 부기한 자료
-
190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江原道平海郡下里面朴谷里狗巖洞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 구성원 16명의 명단으로, 狗巖洞이 分洞된 후 1900년 11월 19일에 새롭게 작성
-
1902년 경상남도(慶尙南道) 창녕군(昌寧郡) 향약계안(鄕約稧案)
-
1909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지금의 慶尙北道蔚珍郡平海邑巨逸1里 일대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의 구성원 명부로 1909년부터 1984년까지의 座上, 洞首, 有司 역임자와 閒民을 기재
-
194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지금의 慶尙北道蔚珍郡平海邑巨逸1里 일대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의 相互扶助 규정으로 1940년에 제정
-
-
-
1887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서억지,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
壬子 7월 영천향교(永川鄕校) 소장 향약절목(鄕約節目)
-
무술년(戊戌年) 12월 영천향교(永川鄕校) 구폐절목(捄弊節目)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사회-조직/운영-절목 | 영천향교 | 영천 영천향교
戊戌年에 永川郡守, 鄕廳, 作廳의 首吏들이 작성한 節目으로 査結을 통한 鄕校祭需 용품 지원 및 향리들의 煙價 지급액을 규정하고 있다.
-
기축년(己丑年) 5월 경상좌도(慶尙左道) 영천군(永川郡) 공계전절목(公契錢節目)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사회-조직/운영-절목 | 영천향교 | 영천 영천향교
己丑年 5월 兩稅에 添刷된 미납세를 납부하고 남은 돈을 公契錢이라 명칭하고, 이를 22개 面里에 分給하여 향후 里民을 救恤할 자본으로 삼도록 한 절목이다.
-
기축년(己丑年) 5월 영천군(永川郡) 쇄마첨조절목(刷馬添助節目)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사회-조직/운영-절목 | 영천향교 | 영천 영천향교
己丑年 5월에 刷馬에 따른 폐단을 해결하기 위하여 운송비를 지원하고, 영구히 그 添助비용을 운영하기 위하여 만든 절목이다.
-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사회-조직/운영-절목 | 영천향교 | 영천 영천향교
甲戌年 12월에 永川郡에서 쇠퇴한 儒生들의 文風을 진작시킬 방안으로 居接을 시행하고 그 운영을 規定한 節目이다.
-
-
1792년 장기향교(長鬐鄕校) 책지급잡물가첨급절목(冊紙及雜物價添給節目)
-
1842 | 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 사회-조직/운영-품목 | 최윤호, 김재봉, 박한규, 청도향교 | 청도 청도향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