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90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상하, 이중석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190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개인-생활-서간 | 류연즙, 이중석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1902년(광무 6) 12월 19일에 汎菴 柳淵楫(1853~1933)이 며느리가 사망한 데 대해 위문하고 근황을 전하기 위해 李中錫(1854~1912)에게 보낸 편지
-
190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시호, 이중석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1902년 2월 4일, 李是鎬가 陶山書院 廟變과 관련하여 석방되지 못하고 있는 李中錫에게 석방 노력에 대해 알리기 위해 보낸 편지
-
1902년 사양서당(泗陽書堂) 통문(通文) 및 각 댁 간찰(簡札)
190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강시형, 배석하, 이종후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190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익락, 이중석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1903년(광무 7) 1월 28일에 金翼洛이 喪事에 대해 위문하고 근황을 전해 주기 위해 李中錫(1854~1912)에게 보낸 편지
-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개인-생활-서간 | 류연즙, 이중석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1905년(광무 9) 12월 29일에 汎菴 柳淵楫(1853~1933)이 근황을 전하고 婚談의 진행에 대해 알려 주기 위해 李中錫(1854~1912)에게 보낸 편지
-
1905년 강원도(江原道) 창의군(倡義軍) 원용팔(元容八) 격문(檄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격문 | 사회-조직/운영-격문 | 원용팔 | 예천 저곡 안동권씨 춘우재고택
1905년(광무 9) 6월 강원도의 의병장 元容八(1862~1907)이 의병을 결집시키기 위해 각지에 띄운 檄文
-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병산서원, 의흥향교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191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익락, 이중석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
1912 | 고문서-서간통고류-위장 | 종교/풍속-관혼상제-위장 | 홍기일, 이목호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191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기일, 이목호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191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기일, 이목호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191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기일, 이목호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191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기일, 이목호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191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기일, 이목호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191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기일, 이목호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1918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호계서당, 정산서당 | 예천 저곡 안동권씨 춘우재고택
-
19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기일, 이목호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