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85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광우, 이상윤, 이상언, 이기찬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858년 12월 20일, 재령이씨 李光羽 외 3인이 영해 인량의 족친에게 爲先事業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할 모임에 대해 묻는 편지
-
185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휘정 | 안동 가송 영천이씨 농암종택
1859년 4월 6일, 李彙政이 상대의 안부를 묻고 자신의 근황을 알리며, 상대측에서 요청한 일에 대해 경과를 알리고자 영천 이씨 肯構堂 측에 보낸 편지
-
186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병학, 권복규, 권상묵 |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1860년 3월 23일, 權秉學 외 2인이 潛庵 金義貞이 死後 贈職이 된 것에 축하하고 禮式에 부조를 보내기 위해 五美洞의 豊山金氏측에 보낸 편지
-
-
186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기인, 권덕진, 권진화 |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1860년 3월 23일, 權器仁 외 2인이 潛庵 선생이 높은 작위를 받은 일을 축하하기 위해 美洞으로 보낸 편지
-
186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용헌, 장용응, 장지목 |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
-
1860 | 고문서-서간통고류-위장 | 종교/풍속-관혼상제-위장 | 이정상, 이○○, 이○○ | 안동 도산 진성이씨 하계파 근재문고
1860년 3월 6일에 李鼎相이 상을 당한 슬픔을 위로하고 찾아가 위문하지 못하는 사정을 李生員에게 전하는 위장
-
-
186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진림, 이현발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861년 9월 25일, 김진림이 상대방 선조의 문집을 교정하는 일과 여러 가지 소식을 전하기 위해 사돈인 이현발에게 보낸 편지
-
186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만각 | 안동 도산 진성이씨 초초암종택
1862년 2월 17일에 李晩慤이 현윤을 얻은 기쁨과 장래의 교육에 대한 당부를 하면서, 학문하는 방법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高山에 보낸 편지
-
-
186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광우, 이상운, 이상묵, 이상현, 이상흡, 이상언, 이기찬, 석천 회중, 종당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862년 9월 9일, 石川 會中의 李光羽 외 6인이 상대의 안부를 묻고 上旬 墓祀에 대해 의논하고자 宗堂에 보낸 편지
-
186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만각 | 안동 도산 진성이씨 초초암종택
1863년 1월 27일에 李晩慤이 상대방의 마을의 전염병에 대한 염려, 자신의 학문에 대한 반성, 백성들의 소란[民鬧]에 대한 걱정 등의 내용을 高山에 보낸 편지
-
186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상운, 이상언, 이상현, 이상종, 이상흡, 독동 회중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863년 11월 15일, 이상운 외 9인이 독동 회중에 모임에 참여하기 어렵다는 점과 회의에 대한 자신들의 의견을 전하기 위해 쓴 편지
-
186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상적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863년 11월 15일, 石塢에 우거하는 李相勣이 상대의 안부를 묻고 땅을 사는 일을 상의하기 위해 宗君에게 보낸 편지
-
-
-
1863 | 고문서-서간통고류-위장 | 종교/풍속-관혼상제-위장 | 이원만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863년 8월 27일, 李源萬이 상대의 부친상을 위로하고, 문상을 가지 못하는 상황을 알리고자 재령 이씨 李生員 형제에게 보내는 위로편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