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911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조선전기부터 1691년까지 경상도密陽府 留鄕所의 鄕員 명부를 망라해 놓은 것으로, 1911년 4월 筆寫本으로 成冊한 자료
-
1921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21년 울산 지역에서 간행된 鄕案으로 임진왜란 이후부터 1704년까지의 鄕員들을 종합해서 기록한 鶴城舊鄕案과 1921년 당시의 鄕員들을 기록해 놓은 續修錄을 엮어 놓은 자료
-
1934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김창섭, 남면향약계 | 남해 율곡사
향약 조직을 이용하여 각 면리(面里)의 효과적 통치를 도모하는 일제의 의도가 엿보이는 기록으로, 1934년 경상남도남해의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에서 제정한 계규(契規)
-
1940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40년 慶尙南道昌寧郡의 西山書堂에서 발행한 것으로 1600년부터 1823년까지 역대 昌寧鄕案 입록자를 망라해 놓은 자료
-
1950년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면향약계선생안(面鄕約稧先生案) 제2책
195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남면향약계 | 남해 율곡사
1784년부터 1950년까지 경상남도남해군남면에서 실시된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의 임원(任員)을 기재한 선생안(先生案)
-
1955년 옥계정계(玉溪亭契) 옥계정속계명안(玉溪亭續契名案)
-
1960년 경상남도 밀양군 밀양향교(密陽鄕校) 간행 밀양향교중수록(密陽鄕校重修錄) 별편(別篇)
196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밀양향교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60년 慶尙南道密陽郡의 密陽鄕校에서 간행된 『密陽鄕校重修錄』의 別篇으로, 17세기 이후 밀양 지역에서 제정되었던 향약을 망라해 놓은 자료
-
1976년 함양 안의향교(安義鄕校) 간행 안의향안(安義鄕案)
1976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함양 안의향교 | 함양 안의향교
지금의 慶尙南道咸陽郡安義面에 위치한 安義鄕校에서 1976년에 간행한 鄕案으로, 조선시대 安義縣 일대의 향권을 주도하던 세력들의 인명을 기록해 놓은 자료
-
1980년 거창 거창향교(居昌鄕校) 간행 거창향안(居昌鄕案)
1980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거창 거창향교 | 거창 거창향교
1980년 지금의 경상남도거창군에서 간행된 향안(鄕案)으로 조선시대부터 거창지역 향권을 주도하던 세력들의 인명을 기록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고상안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조선중기 慶尙道龍宮縣의 西面 및 尙州牧永順面 일대에서 결성되었던 契 조직의 序文으로, 임진왜란 이후 重修하는 과정에서 서면 출신의 재지사족 高尙顔이 작성
-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도장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635년경 慶尙道星州牧上枝坊 일대에서 시행되고 있던 鄕約의 전말을 기록한 것으로, 이 지역 출신의 유학자 李道長이 작성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원정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7세기 후반 上枝洞(現 慶尙北道漆谷郡枝川面新里)에서 실시되고 있던 향약을 새롭게 정비하면서 마련된 上枝洞契의 契案 序文으로, 상지동 출신의 문신인 李元禎이 작성
-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병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후반 慶尙道漆谷府의 鄕約이 실시되는 과정에서 결성된 鄕約契의 序文으로, 칠곡 출신의 유학자 李秉銓이 작성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우성규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후반 慶尙道漆谷府의 府使로 부임한 禹成圭가 효과적인 향촌 통치와 백성들의 교화를 위해 鄕約을 제정하면서 작성한 序文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홍준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6세기 전후 慶尙道安東府의 屬縣인, 奈城縣에서 실시되었던 洞約의 序文과 처벌규정 및 상호부조 규정으로 奈城 출신의 재지사족 李弘準의 주도로 제정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김양렬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8세기 전후 慶尙道奉化縣에서 새롭게 鄕案을 改修하면서 마련된 序文으로, 봉화 출신의 재지사족 金揚烈이 작성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황중윤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지금의 경상북도울진의 正明里와 沙銅里 里民 간의 相扶相助를 위해 실시되고 있던 里契의 立義로, 17세기 전반 이 지역에 거주하던 黃中允이 父兄의 명을 받아 새롭게 제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