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79년 신재수(申在壽) 강세계(講世契) 서문(序文)
1879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신재수, 강세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879년 慶尙道軍威 출신의 유학자 申在壽가 작성한 講世契의 序文으로, 강세계는 군위 지역에 世居하던 興陽李氏,固城李氏,平山申氏 세 가문이 선조 때부터 이어오던 世誼를 돈독히 하기 위해 결성한 계
-
1886년 삼가수계(三家修契) 서문(序文)
1886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서영곤, 곽재겸, 서시립, 배경가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592년 임란당시 병화를 피하여 팔공산삼성암에 피난하였던 세 가문의 후손들이 1886년 암자의 수리와 관련하여 결성한 계의 서문.
-
1890년 족계 서문
1890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서영곤, 서시립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890년에 徐永坤이 작성한 全歸堂 후손들의 친목을 위한 족계의 서문
-
1897년 동란계(同蘭契) 서문(序文)
1897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서영곤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897년 유생들의 모임에서 친목도모를 위하여 만들어진 同蘭契의 序文
-
1902년 천미서당계(泉味書堂稧) 서문(序文)
1902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희로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02년에 지은 星山李氏 泉味書堂稧의 序文
-
영가지(永嘉誌) 수록 1588년 안동부 유향소 향규구조(鄕規舊條)
1588
| 고서-지리서
| 사회-조직/운영-절목
| 권기, 안동부 유향소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588년 安東府 留鄕所에서 제정된 鄕規로, 士族 중심의 유향소 운영 관련 규범을 명시하고 있는 자료
-
영가지(永嘉誌) 수록 1605년 안동부 유향소 신정십조(新定十條)
1605
| 고서-지리서
| 사회-조직/운영-절목
| 권기, 류성룡, 안동부 유향소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588년에 제정된 鄕規舊條를 보완하여 1605년에 제정한 安東府 鄕規로, 士族 중심의 향촌지배질서 확립이 이루어지던 양상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
-
1689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689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689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697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697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697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08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08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08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11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11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11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23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23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23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28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28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28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33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33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33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39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39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39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50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5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50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52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52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52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64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64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64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82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82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82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601년 경주향교 학령(學令)
1601
|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교육/문화-서원/향교-절목
| 황준량, 손기양,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1601년 孫起陽이 흩어져 있던 각종 學規를 엮어서 작성한 慶州鄕校의 學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