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
1600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손기양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600년 慶尙道義興縣缶溪洞 일대에서 제정되었던 洞憲의 序文으로, 임진왜란의 여파로 이곳에 기거하고 있던 孫起陽이 작성
-
-
1612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정회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조선중기의 유학자 李庭檜가 1612년 慶尙道安東府周村里 일대에 세거하던 眞城李氏 일족의 修睦과 相互扶助를 위해 결성한 族契의 完議
-
1618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김용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慶尙道安東府一直龜尾里 일대에 거주하였던 義城金氏 일족이 상부상조와 결속력 강화를 위해 결성하였던 洞約의 序文으로 1618년 金湧이 작성
-
1661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남몽뢰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중앙정계에서 활동하고 있던 1620년생 동년배들의 우의와 상부상조를 위해 결성한 庚申稧의 稧憲 序文으로 당시 固城縣令이었던 南夢賚가 작성
-
1677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남몽뢰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1677년 영남 출신의 인사 10명이 安東南淵寺에서 서로 간의 친목 도모를 위해 결성한 四同契의 序文으로 慶尙道義城縣 출신의 문신 南夢賚가 작성
-
1680년 남몽뢰(南夢賚) 사촌리약중수서(沙村里約重修序)
-
1711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정중기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711년 慶尙道永川郡仙源里 일대에 거주하던 迎日鄭氏 일족들이 상부상조와 결속력 강화를 위해 義契를 결성한 뒤 그 의의를 설명한 글로 鄭重器가 작성
-
1716년 권구(權榘) 족적동사창입약서(足積洞社倉立約序)
1716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권구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716년 慶尙道安東府足積洞에서 빈민들을 구제하기 위해 社倉을 조직한 뒤 제정했던 立約의 序文으로 權榘가 작성
-
1889년 우성규(禹成圭) 학규향약사목첩(學規鄕約事目帖)
1889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우성규, 칠곡부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889년 漆谷府使禹成圭가 칠곡부의 원활한 통치와 백성들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제정하고 발급하였던 學規와 鄕約의 事目
-
1893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서찬규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893년 3월 慶尙道大邱府에서 실시하기 위해 제정된 향약의 규약 5개조로 대구부 출신의 유학자 徐贊奎가 작성
-
1894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도우룡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갑오농민전쟁으로 慶尙道陜川郡崇山으로 이주한 義興縣 출신의 유학자 都右龍이 동요하고 있는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1894년 鄕約契를 重創하고 그 의의를 설명한 說
-
경상도(慶尙道) 예안현(禮安縣) 온계동규(溫溪洞規) 부계상동계(附溪上洞契)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안동 도산 진성이씨 퇴계종택
조선시대 慶尙道禮安縣의 溫溪洞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던 溫溪洞契와 조선후기 溪上洞에서 실시된 溪上洞契 관련 규정과 좌목 등을 엮어 놓은 자료
-
경상도(慶尙道) 영해부(寧海府) 인량리(仁良里) 난정록(蘭亭錄)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7세기 후반 慶尙道寧海府仁良里 출신의 사족 인사들이 상부상조를 통한 결속력 강화를 위해 결성한 契 조직의 규정과 좌목을 엮어 놓은 자료
-
1589년 경상도(慶尙道) 안동부(安東府) 향안(鄕案)
-
1599년 경상도(慶尙道) 청도군(淸道郡) 향안(鄕案)
-
1600년 경상도(慶尙道) 청도군(淸道郡) 향안(鄕案)
-
1609년 경상도(慶尙道) 청도군(淸道郡) 향안(鄕案)
-
1610년 경상도(慶尙道) 청도군(淸道郡) 향안(鄕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