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683년 오도일(吳道一) 향약고유문(鄕約告諭文), 약조(約條), 범례절목(凡例節目)
1683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오도일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683년 강원도울진현의 수령으로 부임했던 吳道一이 제정한 「鄕約告諭文」「約條」「凡例節目」으로 지방민에 대한 원활한 통치를 목적으로 시행
-
1716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권두인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716년 慶尙道安東府의 屬縣인 奈城縣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契를 새롭게 重修하면서 작성한 序文으로 奈城縣酉谷 출신의 權斗寅이 작성
-
1716년 권두경(權斗經) 사약절목(社約節目), 계중입약(契中立約), 사계약강회행례지도(社契約講會行禮之圖)
1716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권두경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慶尙道安東府의 屬縣인 奈城縣에서 重修된 洞契의 제 규정으로 1716년 權斗經이 작성하였으며, 社約節目, 契中立約, 社契約講會行禮之圖로 구성
-
1730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박태무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조선후기 지금의 경상남도진주시奈洞面篤山里 일대에서 시행되었던 洞約의 序文과 제 규정으로, 독산리 출신의 유학자 朴泰茂가 1730년 退溪와 黃宗海의 향약을 참고하여 제정
-
1746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도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746년 慶尙道安東府春陽縣의 재지사족 李道顯이 21세 때 동무들과 학문을 講論하기 위해, 朱子增損呂氏鄕約을 표방하여 결성한 學契의 제 규정
-
-
1818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김휘운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818년 경상도진주 지역 백성들의 교화를 목적으로 수령의 주도로 제정된 향약의 발문으로, 진주 출신의 사족 金輝運이 작성
-
1876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김철수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慶尙道安東府奈城縣에서 실시되었던 향약의 제 규정으로, 1876년 金喆銖가 朱子增損呂氏鄕約, 『鄕禮合編』, 權斗經의 社約節目을 참고하여 제정
-
-
17세기 전반기 경상도(慶尙道) 선산부(善山府) 향안(鄕案)
-
병진년(丙辰年) 경상도(慶尙道) 선산부(善山府) 향입약조(鄕立約條)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조선후기 경상도선산부에서 시행되었던 향약의 제 규정으로 退溪鄕約과 金圻鄕約의 下人約條에다 별도로 제정한 수개의 조항을 附記
-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상산향언록(商山鄕彦錄) 하권(下卷)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상주 상주향교
조선시대 慶尙道尙州牧의 鄕案 下卷으로, 1749년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총 1,305명의 입록자 명단을 수록
-
1603년 경상도(慶尙道) 선산부(善山府) 향안(鄕案)
-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상산향언록(商山鄕彦錄) 상권(上卷)
-
-
-
1692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남촌향약(南村鄕約)
-
1697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의령 의령향교
1697년 경상도의령현에서 작성된 鄕案으로 1697년부터 1707년까지의 향안 입록자를 수록하여 18세기 전후 의령지역 재지사족들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
-
1708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만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08년 慶尙道尙州牧內東面 일대 洞里에서 시행되었던 魯谷鄕約의 序文과 제 규정 및 座目을 엮어 놓은 자료로, 魯谷 출신의 대표적인 유학자 李萬敷가 작성
-
1834년 경상도(慶尙道) 선산부(善山府) 일선향약절목(一善鄕約節目)
1834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절목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834년 慶尙道善山府의 재지사족들에 의해 제정된 향약의 제 규정으로 崔龍羽의 序文, 鄕約八條, 金鱗壽의 跋文, 營門踏印完議, 防弊節目, 追節目으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