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42년 이상정(李象靖) 고신(告身)
1742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영조, 이상정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742년 10월 21일, 영조가 이상정을 조봉대부 행승문원부정자에 임명하는 문서
-
1743년 이상정(李象靖) 고신(告身)
1743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영조, 이상정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743년 1월 15일, 영조가 이상정을 조산대부 행승문원정자에 임명하는 문서
-
1747년 이상정(李象靖) 고신(告身)
1747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영조, 이상정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747년 9월 3일에 영조가 이상정을 통훈대부 행예조좌랑에 임명하는 문서
-
1747년 이상정(李象靖) 고신(告身)
1747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영조, 이상정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747년 5월 29일에 영조가 이상정을 봉렬대부 행성균관전적에 임명하는 문서
-
1747년 이상정(李象靖) 고신(告身)
1747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영조, 이상정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747년 9월 27일에 영조가 이상정을 통훈대부 행병조좌랑에 임명하는 문서
-
1751년 이상정(李象靖) 고신(告身)
1751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영조, 이상정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751년 7월 26일에 영조가 이상정을 통훈대부 행예조좌랑에 임명하는 문서
-
1753년 이상정(李象靖) 고신(告身)
1753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영조, 이상정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753년 1월 21일에 영조가 이상정을 통훈대부 행연일현감에 임명하는 문서
-
1762년 이상정(李象靖) 고신(告身)
1762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영조, 이상정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762년 12월 21일에 영조가 이상정을 통훈대부 행사헌부감찰에 임명하는 문서
-
1771년 이상정(李象靖) 고신(告身)
1771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영조, 이상정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771년 10월 23일에 영조가 이상정을 통훈대부 행강령현감에 임명하는 문서
-
1884년 김수로(金壽老) 서간(書簡)
188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수로, 김인섭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1884년(갑오) 5월 3일에 金壽老가 아버지 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에게 보낸 안부편지.
-
1884년 허전(虛傳) 서간(書簡).
188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허전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1884년(갑신) 윤5월 15일에 허전(虛傳)이 김인섭의 집안으로 보낸 간찰로 서울에는 해외 5·6국이 서로 뒤엉켜 어지러운 상태니 보는 사람을 심란하게 한다고 하고 이런 상황은 군자(君子)들이 도(道)를 근심해야 할 때이니, 더욱 공부에 힘쓰기를 바란다는 내용.
-
1898년 허유(許愈) 서간(書簡)
189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허유, 김인섭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1898년(무술) 4월 15일에 허유(許愈)가 김인섭(金麟燮)에게 보낸 답장으로 운동(雲洞)의 모임에서 오래 머물지 못했던 것을 아쉬워하고, 상대방이 지은 ‘혼자 갔다가 홀로 돌아오다[獨往獨來]’라는 시는 사람들이 외울만한 훌륭한 시라고 칭송하며 시에 화답하는 시를 함
-
1900년 정기현(鄭基玄) 서간(書簡)
190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기현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경자년(1900, 대한제국4) 2월 21일 정기현(鄭基玄)이 보낸 서찰.
-
이병효(李秉孝)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병효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 모월 모일, 記下 李秉孝가 수신자 미상에게 보낸 편지
-
1840년 권대긍(權大肯) 서간
184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대긍,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0년 9월 28일, 사간원 대사간인 권대긍(權大肯)이 강릉부사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간(書簡)으로, 안동(安洞)의 이판부(李判府) 삼부자(三父子)의 일로 인한 임금의 비답을 전하는 내용
-
1423년 이점(李點) 조사첩(朝謝帖)
1423
| 고문서-교령류-조사첩
| 정치/행정-임면-조사첩
| 이점, 이조
| 경주 양월 경주이씨 양월문중
1423년에 생원 이점(李點)을 장사랑(將仕郞) 영천(永川) 유학교도(儒學敎導)에 임명하는 문서
-
1592년 유성룡(柳成龍) 교서(敎書)
1592
| 고문서-교령류-교서
| 국왕/왕실-교령-교서
| 류성룡
임진왜란에 류성룡이 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격려하고자 1592년 국왕이 쓴 교서(敎書)
-
1596년 유성룡(柳成龍) 비답(批答)
1596
| 고문서-교령류-비답
| 국왕/왕실-교령-비답
| 류성룡
영의정류성룡이 사직을 청한 것을 불허하기 위해 1596년 국왕이 쓴 교서(敎書)
-
1596년 유성룡(柳成龍) 비답(批答)
1596
| 고문서-교령류-비답
| 국왕/왕실-교령-비답
| 류성룡
영의정류성룡이 사직을 청한 것을 불허하기 위해 1596년 국왕이 쓴 교서(敎書)
-
1596년 유성룡(柳成龍) 비답(批答)
1598
| 고문서-교령류-비답
| 국왕/왕실-교령-비답
| 류성룡
영의정류성룡이 벼슬을 사임하려는 의사를 불허하고자 1598년 국왕이 쓴 교서(敎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