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71년 이돈우(李敦禹) 서간(書簡)
187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돈우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871년 8월 12일, 이돈우가 일족 간에 화목하게 지내기를 충고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866년 이수영(李秀瑩) 서간(書簡)
187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수영, 이수악
| 영덕 오촌 재령이씨 존재종택
1871년 12월 19일, 이수영이 상경하는 일에 대해 전하고 이현일 선생의 수필본인 『주역』고본을 빌리기 위해 이수악에게 보낸 편지
-
1874년 김흥락(金興洛) 서간(書簡)
187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흥락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874년 7월 15일, 김흥락이 조문과 안부 인사를 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881년 김흥락(金興洛) 서간(書簡)
188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흥락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881년 12월 17일, 김흥락이 평상의 간행하는 일로 보낸 편지
-
1882년 김준상(金儁相) 서간(書簡)
188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준상
| 안동 태자 봉화금씨 매헌종택
임오년 2월 26일, 김준상이 탈상을 앞두고 있는 사위 금서방에게 보낸 편지
-
1882년 김준상(金儁相) 서간(書簡)
188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준상
| 안동 태자 봉화금씨 매헌종택
1882년 5월 초2일, 김준상이 부친상 중인 상대를 위로하고, 편지 전달 부탁하기 위해 사돈에게 보낸 편지
-
1882년 김준상(金儁相) 서간(書簡)
188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준상
| 안동 태자 봉화금씨 매헌종택
1882년 3월 초1일, 김준상이 안부 인사와 신행과 관련된 내용을 전하기 위해 사돈에게 보낸 편지
-
1883년 김흥락(金興洛) 서간(書簡)
188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흥락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883년 7월 9일, 김흥락이 『정재집』의 간행과 관련한 내용으로 보낸 편지
-
1889년 김흥락(金興洛) 서간(書簡)
188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흥락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889년 12월 18일, 김흥락이 안부 인사를 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890년 이만인(李晩寅) 서간(書簡)
189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만인, 김병황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90년 3월 27일, 이만인이 천전에 가서 임하구곡 등을 감상하고 돌아와서 처조카인 김병황에게 자신의 근황을 전하는 편지
-
1891년 김흥락(金興洛) 서간(書簡)
189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흥락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891년 9월 2일, 김흥락이 거상 중인 상대를 위로하고 『퇴계서절요』의 출간 등 제반 사항을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893년 김흥락(金興洛) 서간(書簡)
189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흥락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893년 3월 13일, 김흥락이 탈상을 앞두고 있는 상대를 위로하고, 안부 인사를 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894년 김흥락(金興洛) 서간(書簡)
189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흥락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894년 9월 10일, 김흥락이 안부 인사를 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897년 김흥락(金興洛) 서간(書簡)
189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흥락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897년 11월 19일, 김흥락이 부탁받은 일에 대해 답변하기 위해 소호리에 보낸 편지
-
1898년 류도헌(柳道獻) 외 11인 서간(書簡)
189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류도헌, 이정좌, 송명렬, 류도필, 류도위, 류선영, 김낙승, 김영윤, 이광룡, 권준헌, 류황영, 김영재
| 영덕 오촌 재령이씨 존재종택
1898년 3월 11일, 류도헌 외 11인이 이현일 선생의 관작을 회복시키는 일과 관련하여 재령이씨 문중에 보낸 편지
-
1903년 이욱호(李旭鎬) 서간(書簡)
190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욱호
| 안동 태자 봉화금씨 매헌종택
1903년 10월 21일, 이욱호가 안부 인사와 상제 때 참석해 주기를 청하기 위해 외종에게 보낸 편지
-
1906년 이중명(李重明) 서간(書簡)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중명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906년 4월 8일, 이중명이 『주어절요』의 간행에 관한 의견을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907년 김주식(金胄植) 서간(書簡)
190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주식
| 안동 박곡 의성김씨 지촌종택
1907년 10월 28일, 김주식이 자신의 장인에게 보내는 안부편지로, 상주가 자신을 찾아와 주어 장인의 안부소식을 듣고 위로가 되었다는 마음과 자신의 근황에 대해 쓴 편지
-
1912년 금태기(琴泰基) 외 2인 서간(書簡)
191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금태기, 금대기, 금익봉
| 영덕 오촌 재령이씨 존재종택
1912년 9월 11일, 부포금태기 외 2이 『갈암집』의 반질을 요청하기 위해 백호정 간행소에 보낸 편지
-
1917년 류연구(柳淵龜) 서간(書簡)
191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류연구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917년 10월 19일, 류연구가 이성구 어른이 제기한 문제의 결론을 물어보기 위해 보낸 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