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69년 김희영(金熙永)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6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희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9(고종 6년)김희영(金熙永)이 판서(判書)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아들이 죽은 것에 대한 위로하며 보낸 간찰.
-
KSAC+A01+KSM-XF.1870.0000-20090831.E47840172_0-DES.BSC
187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충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0년(고종 7) 12월 그믐 충거(忠擧)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
1870년 충거(忠擧)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태지(胎紙).
187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충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0년(고종 7) 12월 그믐 충거(忠擧)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태지(胎紙).
-
1871년 이종익(李種翼)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7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종익,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1년(고종 8) 시하생(侍下生) 이종익(李種翼)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
수신자가 기록되지 않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7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수신자가 기록되지 않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
1879년 장석유(張錫裕) 서간(書簡)
187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석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9년 6월 21일에 장석유(張錫裕)가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서찰. 연이은 문안편지에 고마움을 전하고 상대방 가족들의 안부를 물었다. 6월의 도목정사(都目政事)에서는 상대방뿐만 아니라 영남에서는 한 사람도 없음을 알리고, 남쪽지방의 차를 보내
-
1879년 장석유(張錫裕) 서간(書簡)
187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석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9년장석유(張錫裕)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답신에 첨부된 별지로, 선영(先塋)과 가까운 다포(多浦)에 묘지를 쓰려다가 현지 주민들의 완강한 반대에 부딪치자, 상대방에게 100민(緡)의 돈을 지불하고 한양과 도내의 여러 장로(長老)들을 잘 설득하여 묘지를 쓸 수
-
이원조(李源祚)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 6월 초6일, 李源祚가 부친인 李奎鎭에게 올린 편지
-
정기락(鄭基洛)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기락,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서찰을 받은 즉일, 記下生 功服人 鄭基洛이 大浦의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11년 이원조(李源祚) 서간(書簡)
181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11년, 발신자 未詳이 注書인 李源祚에게 보낸 답신으로, 자신의 烏帶는 이미 빌려주었으며 이웃의 烏帶를 빌려서 보내니 남에게는 절대로 빌려주지 말고 사용 후 즉시 돌려보내 달라는 내용
-
1820년 정규석(鄭奎錫) 서간(書簡)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규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20) 5월 21일, 査弟 鄭奎錫이 司諫院正言인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21년 남영구(南永耈) 서간(書簡)
182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남영구,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1년(순조21) 8월 1일, 記下生 南永耈가 凝窩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26년 홍영관(洪永觀)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영관,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26) 8월 12일, 洪永觀이 結城縣監인 凝窩 李源朝에게 보낸 편지
-
1831년 이정식(李鼎栻) 서간(書簡)
183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정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31년(순조31) 12월 9일, 아들 鼎栻이 부친인 李源祚에게 올린 편지
-
1836년 재(載) 서간(書簡)
183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재,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36년(헌종2) 1월 25일, 內舅載가 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빈소를 모시는 喪中의 안부가 잘 지탱되고 있는지를 묻고, 자신은 부모님이 오래도록 건강을 잃어 초조함과 번민이 비유할 수 없으며, 봄에 상대방이 있는 곳으로 가려고 하였으나, 시절이 요란하여 기필할 수
-
1839년 유치교(柳致敎) 서간(書簡)
183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유치교,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39년(헌종5) 8월 10일, 瓢谷의 柳致敎가 軍資監正로 있던 李源祚에게 보낸 답신으로, 한양에서 벼슬살이 하는 상대방을 그리워하는 마음과, 자식의 과거시험에 영남의 벼슬아치들이 아무런 도움을 주지 않은 데에 대한 불만과, 자식 혼사를 위하여 돈을 꾸어달라는 내용
-
1840년 권대긍(權大肯) 서간
184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대긍,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0년 9월 28일, 사간원 대사간인 권대긍(權大肯)이 강릉부사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간(書簡)으로, 안동(安洞)의 이판부(李判府) 삼부자(三父子)의 일로 인한 임금의 비답을 전하는 내용
-
1840년 심의승(沈宜升) 서간(書簡)
184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심의승,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0년, 沈宜升이 江陵府使에 제수된 凝窩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40년 이광정(李光正) 서간(書簡)
184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광정,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0년(헌종6) 10월 10일, 江原道觀察使인 李光正이 江陵府使인 凝窩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41년 이명적(李明迪) 서간(書簡)
184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명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1년(헌종7) 12월 28일, 李明迪이 濟州牧使인 凝窩 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전주의 白景采는 자신의 문하의 사람으로 마침 龍木을 운반해 와야 하니 수송에 불편함이 없도록 주선해 줄 것을 당부한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