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939년 7월 초1일 23개 문중 수급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군(慶州郡)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939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강교 홍씨 문중 등 | 경주 옥산서원
1939년 7월 초1일 慶尙北道 慶州郡 玉山書院 측이 옛 경주 지역 13개 門中에 서원 운영 관련 회의 건으로 발급한 回文
-
1950년 8월 19일 14개 문중 수급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군(慶州郡)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950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판교 홍씨 문중 등 | 경주 옥산서원
1950년 8월 19일 慶尙北道 慶州郡 玉山書院 측이 옛 경주 지역 14개 門中에 享禮 거행 건으로 발급한 回文
-
1951년 2월 11일 11개 문중 수급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군(慶州郡)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95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하곡 정씨 문중 등 | 경주 옥산서원
1951년 2월 11일 慶尙北道 慶州郡 玉山書院 측이 옛 경주 지역 11개 門中에 서원 건물 보수 관련 회의 건으로 발급한 回文
-
1953년 8월 초1일 18개 문중 수급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군(慶州郡)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95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강교 홍씨 문중 등 | 경주 옥산서원
1953년 8월 초1일 慶尙北道 慶州郡 玉山書院 측이 옛 경주 지역 18개 門中에 享禮 거행 일자 건으로 통보한 回文
-
1961년 2월 초1일 14개 문중 수급 경상북도(慶尙北道) 월성군(月城郡)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96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호계 권씨 문중 등 | 경주 옥산서원
1961년 2월 초1일 慶尙北道 月城郡 玉山書院 측이 옛 경주 지역 14개 門中에 享禮 거행 건으로 발급한 回文
-
1962년 2월 초1일 경상북도(慶尙北道) 월성군(月城郡) 15개 문중 수급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96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호계 권씨 문중 | 경주 옥산서원
1962년 2월 초1일 慶尙北道 月城郡 玉山書院 측이 享禮 거행 일자 변경과 관련해 15개 문중에 발급한 回文
-
1962년 2월 초1일 경상북도(慶尙北道) 월성군(月城郡) 12개 문중 수급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96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호계 권씨 문중 | 경주 옥산서원
1962년 2월 초1일 慶尙北道 月城郡 玉山書院 측이 享禮 거행 일자 변경과 관련해 12개 문중에 발급한 回文
-
1966년 2월 초1일 5개 문중 수급 경상북도(慶尙北道) 월성군(月城郡)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96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국동 권씨 문중 등 | 경주 옥산서원
1966년 2월 초1일 慶尙北道 月城郡 玉山書院 측이 옛 경주 지역 5개 門中에 享禮 거행 건으로 발급한 回文
-
1968년 8월 초1일 12개 문중 수급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군(慶州郡)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968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사동 김씨 문중 등 | 경주 옥산서원
1968년 8월 초1일 慶尙北道 慶州郡 玉山書院 측이 옛 경주 지역 12개 門中에 享禮 거행 일자 건으로 통보한 回文
-
1971년 8월 초1일 11개 문중 수급 경상북도(慶尙北道) 월성군(月城郡)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97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호계 권씨 문중 등 | 경주 옥산서원
1971년 8월 초1일 慶尙北道 月城郡 玉山書院 측이 옛 경주 지역 11개 門中에 享禮 거행 건으로 발급한 回文
-
1870년 안동 화천서당(花川書堂) 회중(會中) 통문(通文)
1870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옥산서원, 화천서당 회중 | 경주 옥산서원
1870년 11월 15일 安東 花川書堂 會中에서 謙菴 柳雲龍을 제향하는 花川書院의 毁撤과 관련하여 11월 25일에 道會를 개최하니 玉山書院에서도 참석해 주길 요청하는 通文
-
1883년 영천(永川) 창녕조씨(昌寧曺氏) 문중(門中) 통문(通文)
188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옥산서원, 창녕조씨 문중 | 경주 옥산서원
1883년 永川의 昌寧曺氏 門中에서 金烏祠터에 慶州의 金某가 偸葬을 하였으며, 이를 파내고 監營과 慶州府에 呈訴하여 그 못된 버릇을 懲罰해주길 요청하는 通文
-
달성(達城) 도동서원(道東書院) 소장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 수록 1901년 6월 「대구도회래문(大邱道會來文)」
190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도동서원, 대구도회, 옥산서원 | 대구 도동서원
1901년 6월 慶尙北道 大邱郡에서 열린 道會에서 玉山書院의 嫡庶 시비와 관련해 7월 26일 옥산서원에서 도회를 개최한다는 내용으로 경상북도 玄風郡의 道東書院에 보낸 통문
-
1902년 도유사(都有司) 유학(幼學) 권도원(權道源) 등 통문(通文)
190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욱성,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02년 2월 都有司 權道源 등이 鑑源亭 터에 偸葬한 府吏 權佐金을 처벌하자는 의견에 聯名하지 않는 慶州 士林을 설득하기 위하여 玉山書院에 보내온 通文
-
달성(達城) 도동서원(道東書院) 소장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 수록 1905년 10월 「옥산서원래문(玉山書院來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도동서원, 옥산서원, 도동서원 | 대구 도동서원
1905년 10월 慶尙北道 慶州郡의 玉山書院 유림이 孫李是非와 관련하여 『景節公實紀』를 간행한 慶州孫氏 측을 규탄하고자 慶尙北道 玄風郡의 道東書院 유림에게 보낸 통문
-
달성(達城) 도동서원(道東書院) 소장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 수록 1905년 「도산통옥산문(陶山通玉山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도동서원, 도산서원, 옥산서원 | 대구 도동서원
1905년 慶尙北道 禮安郡 陶山書院 유림이 孫李是非와 관련하여 『景節公實紀』의 板木 毁破을 건의하고자 慶尙北道 慶州郡의 玉山書院 유림에게 보낸 통문
-
달성(達城) 도동서원(道東書院) 소장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 수록 1905년 「옥산서원래문(玉山書院來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도동서원, 옥산서원, 도동서원 | 대구 도동서원
1905년 慶尙北道 慶州郡의 玉山書院 유림이 求仁堂 화재를 알리기 위해 경상북도 玄風郡의 道東書院 유림에게 보낸 통문
-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옥산서원, 회연서당 | 경주 옥산서원
1906년 3월 星州 檜淵書堂에서 晦齋 李彦迪의 學文淵源을 문제 삼은 孫氏들을 비판하고, 손씨를 옹호하는 글을 쓴 退溪의 後孫들도 엄히 다스려야 한다고 玉山書院으로 보내온 通文
-
달성(達城) 도동서원(道東書院) 소장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 수록 1906년 7월 「옥산서원문(玉山書院文)」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도동서원, 옥산서원, 도동서원 | 대구 도동서원
1906년 7월 慶尙北道 慶州郡의 玉山書院 유림이 孫李是非와 관련해 良洞의 慶州孫氏 일문을 규탄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玄風郡의 道東書院 유림에게 발급한 통문
-
달성(達城) 도동서원(道東書院) 소장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 수록 1906년 6월 「도산통옥산문(陶山通玉山文)」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도동서원, 도산서원, 옥산서원 | 대구 도동서원
1906년 6월 慶尙北道 禮安郡의 陶山書院 유림이 孫李是非와 관련해 慶州孫氏 일문을 儒籍에서 삭제한다며 경상북도 慶州郡의 玉山書院 유림에게 발급한 통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