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67년 김쟁(金琤) 서간(書簡)
186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7년(고종4) 8월 12일, 下生 金琤이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69년 남희원(南羲元) 서간(書簡)
186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남희원,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9년(고종6) 3월 23일, 南羲元이 凝窩 李源祚에게 보낸 위문편지
-
1870년 시생(侍生) 조운긍(趙雲兢) 서간(書簡)
187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운긍,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0(고종7) 12월 16일, 侍生 趙雲兢이 凝窩 李源祚에게 답장으로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
-
1888년 이용화(李龍和) 서간(書簡)
188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용화, 이관희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88년(고종25) 8월 27일, 星州牧使인 李龍和가 李源祚의 손자인 李觀熙에게 보낸 편지
-
이원조(李源祚) 성산학계안서(星山學契案序)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원조, 성산학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중반 성주지방 학문진흥을 위해 결성한 星山學契 契案의 序文으로 李源祚가 작성함
-
이원조(李源祚) 동락학계안서(東洛學契案序)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원조, 동락학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인동東洛書院을 중심으로 학풍을 진작시키기 위해 결성된 東洛學契의 명부 서문으로 성주 출신의 학자인 李源祚가 작성함
-
이원조(李源祚) 향약삭강절목서(鄕約朔講節目序)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원조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864년 성주의 학자였던 李源祚가 鄕約과 朔講 실시를 건의하는 상소를 올렸고, 먼저 성주에서 실시해 보라는 神貞王后의 비답에 따라, 李源祚가 작성한 鄕約朔講節目의 序文
-
1831년 이원조(李源祚)가 이준호(李竣祜)에게 보낸 간찰.
183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이준호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피봉]수신, 발신, 謹拜謝上 謹封[본문]昨承伻訊 迨切慰感 伏惟日間體事萬衛 湖邑除命 想惟感祝丈者卽五馬榮耀 而顧此作僚未久 又失右位由守 直慮脫出無期 安得無悵鬱之心耶 舍伯科事不無可望 俟出場後 擬卽晉敍 而其於代直無路何哉 只切悵歎而已 洽成事 旣出代卽 又移秋曹 無迺太迫切耶渠方泣訢
-
1865년 이원조(李源祚) 서간(書簡)
186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피봉]발신, 謹拜狀上[본문]福星移躔 輿情俱悵 況知契之厚 非尋常比 瞻望車塵 第勞翹相 伏惟臨行轅擾 侵暮 撼頓台體候 莫無諐損否 區區不任熲仰 源祚癃狀幸印昨 而營窆自多愁 惱悶不足仰浼 夾告 非或有毫私 政體似應如是故 向有所面達矣 今聞仍囚而 未畢納者 無所區別云 倘未及發令否 更爲下諒
-
1819년 이원조(李源祚) 서간(書簡)
181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 안동 가송 영천이씨 농암종택
向覆 至今珍玩 近阻 還切悵想 伏惟秋高兩府尊丈体力 万衛 兄棣履起居穩重 舍妹 率幼好在否 區區溯戀 不能暫已 弟 親癠近又添發薪憂 亦多澌憊 小大憫憐 而臺啣 虛縻 已過月餘 此亦義分惶蹙處也 職名未結殺之前 固難作閒出入 冬間 或可抽晉一敍 而未前 兄不能一顧 以攄襞積耶 臨書 忡然不能窮展
-
1820년 이원조(李源祚) 서간(書簡)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조충식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洛下逢別 每在稠擾中 願言之懷 靡峕不然 而新莅海縣 適與家君爲交承 此心懸仰尤有別者矣 伏惟肇夏尊候動止萬重 乞養之餘 奉檄雖可賀 而邑弊民瘵 曾所稔知 更爲之奉悶奉悶 其間想已肅辭莅任 在郍間也 遠溯區區之至記下 老親由歸 撼頓添祟 方以復路爲悶 際承恩遞 私情幸甚 而但公私事 不無未了債 恐或
-
1859년 이원조(李源祚) 서간(書簡)
185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頖邸逢別 殆若夢想 適來此 近聞御者 已尋遂初 聲光甚邇 倚〖倍〗勞瞻仰 卽惟秋高靜履動止連護 子舍諸節並穩阮父西行 想非久陞六 區區並切慰祝 戚下 爲見老妹 昨到河上 而衰力不無撼頓之祟 且有前進 不能邐過亭軒 悵如之何 今明姑在此 若得剡棹乘興 拜唔於玉淵楓菊之間 則甚幸 而跡涉坐屈 何敢望耶
-
1816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16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이원조, 이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吏曹嘉慶二十一年三月十四日 奉敎承文院正字李源祚爲承訓郞行承文院著作者 嘉慶二十一年三月日行判書參判參議臣趙[署押]正郞佐郞吏吏安宙成
-
1818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18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순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敎旨李源祚 爲朝奉大夫行成均館典籍者 嘉慶二十三年正月二十八日吏吏安至黙
-
1815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15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이원조, 이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吏曹嘉慶二十年十月十七日 奉敎權知承文院副正字李源祚爲啓功郞行承文院副正字者 嘉慶二十年十月日判書臣李[署押]參判參議正郞佐郞
-
1816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16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이원조, 이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吏曹嘉慶二十一年六月二十五日 奉敎承文院博士李源祚 爲承議郞行奉常寺直長兼承文院博士者 嘉慶二十一年六月日行判書臣朴[署押]參判參議正郞佐郞吏吏安宙成
-
1818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18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순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敎旨李源祚 爲通訓大夫行司憲府監察者 嘉慶二十三年二月初五日
-
1820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20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순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敎旨李源祚 爲通訓大夫行司憲府持平者 嘉慶二十五年七月十六日吏吏安至黙
-
1830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30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순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敎旨李源祚 爲通訓大夫行成均館典籍者 道光十年十月日
-
1840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40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헌종,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敎旨李源祚 爲兼江陵鎭兵馬僉節制使者 道光二十年三月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