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57년 이해상(李海祥) 서간(書簡)
185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해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7년(철종8) 3월 13일, 李海祥이 凝窩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58년 김재헌(金在獻) 서간(書簡)
185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재헌,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8년(철종9) 5월 15일, 記下 金在獻이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61년 류긍호(柳肯鎬)·류응호(柳膺鎬) 서간(書簡)
186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류긍호, 류응호,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1년(철종 12) 11월 11일, 甥侄 柳肯鎬·柳膺鎬가 외숙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61년 종규(鍾奎)·능발(能發) 서간(書簡)
186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종규, 이능발,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1년(철종12) 10월 20일, 族姪인 鍾奎·能發 등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64년 조진구(曺鎭九) 서간(書簡)
186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진구,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4년(고종1) 1월 10일, 侍生 曺鎭九가 三從姪의 山訟 사건의 부탁으로 凝窩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64년 이병우(李秉瑀) 서간(書簡)
186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병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4년(고종1) 2월 29일, 記下生李秉瑀가 한개마을[大浦]에 사는 凝窩 李源祚에게 보낸 답장
-
1864년 정교(鄭墧) 서간(書簡)
186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교,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4년 3월 2일, 鄭墧가 凝窩李源祚에게 斥邪諭文과 향회 개최문제로 보낸 편지
-
1865년 이인설(李寅卨) 서간(書簡)
186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인설,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5년(고종2) 8월 18일, 下生 李寅卨이 凝窩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65년 최영록(崔永祿) 서간(書簡)
186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최영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5년(고종2) 8월 1일, 崔永祿이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67년 이원조(李源祚) 별지(別紙)
186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7년(고종4) 동짓달 11일, 李源祚가 星州牧使에게 보낸 서찰"응0259"의 별지
-
1867년 송천흠(宋天欽) 서간(書簡)
186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송천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7년(고종4) 8월 26일, 査弟 宋天欽이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67년 김쟁(金琤) 서간(書簡)
186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7년(고종4) 8월 12일, 下生 金琤이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이원조(李源祚) 성산학계안서(星山學契案序)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원조, 성산학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중반 성주지방 학문진흥을 위해 결성한 星山學契 契案의 序文으로 李源祚가 작성함
-
이원조(李源祚) 동락학계안서(東洛學契案序)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원조, 동락학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인동東洛書院을 중심으로 학풍을 진작시키기 위해 결성된 東洛學契의 명부 서문으로 성주 출신의 학자인 李源祚가 작성함
-
이원조(李源祚) 향약삭강절목서(鄕約朔講節目序)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원조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864년 성주의 학자였던 李源祚가 鄕約과 朔講 실시를 건의하는 상소를 올렸고, 먼저 성주에서 실시해 보라는 神貞王后의 비답에 따라, 李源祚가 작성한 鄕約朔講節目의 序文
-
1861년 김필락(金弼洛) 서간(書簡)
186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필락, 최효술
| 대구 칠계 경주최씨 백불암종중
1861년 4월 4일, 의성김씨의 金弼洛(1831~1907)이 옻골의 崔參奉에게 보내는 편지
-
달성(達城) 도동서원(道東書院) 소장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 수록 1897년 1월 「성주백동래문(星州柏洞來文)」
190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도동서원, 백동 전주이씨, 옥산서원
| 대구 도동서원
1907년 1월 慶尙北道 星州郡 柏洞의 全州李氏 유림이 『凝窩集』 훼판의 정당성을 호소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玄風郡의 道東書院 유림에게 발급한 통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