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수신자 미상(未詳)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 모월 모일, 惠慶宮洪氏의 안후의 회복을 축하한 발·수신자 未詳의 편지
-
기□년 이노순(李老淳)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노순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기□년 4월 12일, 服人 李老淳이 수신자 미상에게 보낸 편지
-
기계(杞溪) 유씨(兪氏) 서간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杞溪 兪氏 집안사람이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서찰의 협지로, 杞溪 유씨 시조를 모신 浮雲菴의 수리를 도와서 1년에 한번 있는 제사를 잘 지낼 수 있게 해달라는 내용
-
정기락(鄭基洛)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기락,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서찰을 받은 즉일, 記下生 功服人 鄭基洛이 大浦의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11년 이원조(李源祚) 서간(書簡)
181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11년, 발신자 未詳이 注書인 李源祚에게 보낸 답신으로, 자신의 烏帶는 이미 빌려주었으며 이웃의 烏帶를 빌려서 보내니 남에게는 절대로 빌려주지 말고 사용 후 즉시 돌려보내 달라는 내용
-
1820년 정규석(鄭奎錫) 서간(書簡)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규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20) 5월 21일, 査弟 鄭奎錫이 司諫院正言인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31년 성원묵(成原黙) 서간(書簡)
183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원묵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31년(순조31) 2월 7일, 成原黙이 梁山郡守에게 보내는 청탁 편지
-
1831년 이정식(李鼎栻) 서간(書簡)
183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정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31년(순조31) 12월 9일, 아들 鼎栻이 부친인 李源祚에게 올린 편지
-
1836년 이우인(李遇仁) 외 3인 서간(書簡)
183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우인, 이은인, 이달인, 이호양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36년(헌종2) 1월 16일, 종말(宗末) 이우인(李遇仁)·은인(殷仁)·달인(達仁)·호양(浩壤) 등(等)이 대포(大浦) 중종(宗中)의 여러 집사(執事)들에게 보낸 편지
-
1840년 권대긍(權大肯) 서간
184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대긍,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0년 9월 28일, 사간원 대사간인 권대긍(權大肯)이 강릉부사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간(書簡)으로, 안동(安洞)의 이판부(李判府) 삼부자(三父子)의 일로 인한 임금의 비답을 전하는 내용
-
1842년 이광정(李光正) 별지(別紙)
184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광정,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2년(헌종8) 8월 19일, 李光正이 濟州牧使인 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
-
1847년 박승해(朴升海) 서간(書簡)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박승해,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7년(헌종13) 9월 4일, 服人査下 朴升海가 慈山府使인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48년 유치숭(兪致崇) 서간(書簡)
184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유치숭,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8년(헌종14) 3월 4일, 杞山 兪致崇이 慈山府使인 凝窩 李源朝에게 보낸 편지
-
1849년 홍종응(洪鍾應) 서간(書簡)
184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종응, 이원조
1849년(헌종15) 12월 27일, 記下 洪鍾應이 慶州府尹인 凝窩 李源祚에게 보낸 답장
-
1849년 남석린(南錫鱗) 서간
184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남석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9년, 남석린(南錫鱗)이 경주부윤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간(書簡)으로, 헌종(憲宗)의 승하(昇遐)로 곡반(哭班)에 참여한 정황을 묻고, 자신의 곤궁한 처지를 말한 뒤에 20량의 돈을 빌려달라는 내용
-
발·수신자 미상(未詳) 서간(書簡)
184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 모월 모일, 발신자 미상이 수신자 미상에게 보낸 편지
-
1849년 이조수(李肇秀) 서간(書簡)
184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조수, 이정상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9년(헌종15) 윤4월 21일, 耳巖[돌밭] 李肇秀가 李源祚의 아들인 李鼎相에게 보낸 편지
-
1849년 이조수(李肇秀) 서간(書簡)
184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조수,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9년(헌종15) 윤4월 21일, 칠곡에 거주하는 李肇秀가 凝窩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50년 박재소(朴齋韶) 서간(書簡)
185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박재소,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0년 4월 10일, 記下 朴齋韶가 慶州府尹인 李源朝에게 보낸 편지
-
1850년 이항수(李恒秀) 서간(書簡)
185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항수,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0년(철종1) 2월 9일, 下生服人 李恒秀가 慶州府尹인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