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49년 김기현(金箕絢) 서간(書簡)
184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기현,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9년(헌종15) 6월14일, 대구광역시 판관(大邱判官)김기현(金箕絢)이 경주 부윤(慶州府尹)으로 재직 중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안부서신으로, 무더위에 관직생활은 괜찮은지를 묻고, 자신은 여름 감기로 고생을 한다는 내용.
-
1849년 이관희(李觀熙) 서간(書簡)
184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관희, 이정상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9년(헌종15) 아들 이관희(李觀熙, 1824~1892)가 아버지 이정상(李鼎相, 1808~1869)에게 보낸 간찰로 과거시험에서 초시(初試)에 합격하였으나, 복시(覆試) 날짜가 정해지지 않았으니 상황을 봐서 내려가겠다는 내용.
-
1849년 이정호(李鼎鎬) 서간(書簡)
184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정호,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9년(헌종15) 5월 24일, 시생(侍生) 이정호(李鼎鎬, 1837~1919)가 경주 부윤(慶州府尹)으로 재직 중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로, 죄수 송씨(宋氏)는 구류(拘留)만 하고 있으며, 또한 경주(慶州)에서 귀양살이 하
-
1850년 이휘재(李彙在)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5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휘재,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0년(철종 1)에 사하생(査下生) 이휘재(李彙在)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암행어사(暗行御史)의 서계(書啓)로 인한 결과 등에 관하여 애석해 하는 서찰.
-
1850년 남기항(南基恒) 서간(書簡)
185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남기항,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0년(철종1) 4월 22일 유학(幼學) 남기항(南基恒)이 경주부윤(慶州府尹)이원조(李源祚)에게 올린 간찰.
-
1850년 정유성(鄭裕成)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5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유성,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0년(철종1) 2월 8일에 사제(査弟) 정유성(鄭裕成, 1798~1861)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며늘아기의 산달이 다가오니 초조하며, 입암(立巖)의 시는 앙(仰)자가 운자에 어긋난 듯하다는 내용과 시관(試官)이 어느 읍 출신인지를
-
1850년 정유성(鄭裕成)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별지(別紙).
185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유성,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0년(철종1) 2월 8일, 사제(査弟) 정유성(鄭裕成, 1798~1861)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족손(族孫) 정진로(鄭鎭魯)가 이웃 상놈[常漢]에게 욕을 당하였는데, 당신이 본 읍에 한마디 해줄 것을 바라는 별지.
-
1850년 정치익(鄭致翼)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5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치익,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0년(철종1) 2월 8일, 외생(外甥) 정치익(鄭致翼, 1824~1879)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시관(試官)이 누구인지 알면 편의를 봐달라는 것과 필수(筆手)는 조금 졸렬한 것이 흠이라는 내용의 간찰
-
1850년 정치익(鄭致翼)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5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치익,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0년(철종1) 2월 8일, 외생(外甥) 정치익(鄭致翼, 1824~1879)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족질(族姪)인 정진로(鄭鎭魯)가 상놈[常漢]에게 욕을 당하였으니, 담당 관아로 서찰을 보내어 공론(公論)으로 삼는 것이 어떠냐는 별지(
-
1850년 강두준(姜斗俊) 서간(書簡)
185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강두준,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0년 9월 6일 사제(査弟) 강두준(姜斗俊)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
1851년 이진상(李晉祥) 서간(書簡)
185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진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1년(철종2년)이진상(李晉祥)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당시에 수신자는 만귀정(晩歸亭)에서 지내고 있었으며, 자신은 벼슬을 그만두고 돌아온 뒤로 가난에 시달리는 어려움을 말함.
-
1857년 이해상(李海祥)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5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해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7년(철종 8)이해상(李海祥)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오른 것을 축하하며 보낸 서찰.
-
1855년 이재우(李在羽)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5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재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5년(철종6) 11월 초 6일, 시하생(侍下生) 이재우(李在羽)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탐라록(耽羅錄)』을 빌려줄 수 있는지, 이연서원(伊淵書院)의 도회(道會)와 소행(疏行)은 괜찮았는지, 최치홍(崔致弘)의 서찰을 전하려 했는데 방
-
1855년 이재우(李在羽)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별지(別紙).
185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재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5년(철종6) 11월 초 6일, 시하생(侍下生) 이재우(李在羽)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강경(講經)에 대한 문의(文義)를 초록해 두었으니, 한 번 비평해 달라는 별지(別紙)
-
1855년 김학성(金學性) 서간(書簡)
185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학성,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5년(철종 6) 기하(記下) 김학성(金學性)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자신의 시를 고쳐 판각하여 보낸다고 하였다.
-
1855년 김학성(金學性) 서간(書簡) 별지(別紙)
185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학성,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5년(철종 6) 기하(記下) 김학성(金學性)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에 첨부된 별지로, 박(朴)·권(權) 두 사람의 송사문제에 관하여 말하였다.
-
1856년 이휘찬(李彙纘) 서간(書簡)
185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휘찬,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6년(철종7)이휘찬(李彙纘)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로 선고(先考)의 상(喪) 때문에 힘든 삶을 이어가는 자신의 심정을 읊고, 이원조가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제수(除授)된 것을 축하는 내용.
-
1856년 이휘찬(李彙纘) 서간(書簡) 별지(別紙)
185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휘찬,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6년(철종7)이휘찬(李彙纘)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別紙)로 자신을 오위장(五衛將)에 주선해달라고 청탁하는 내용.
-
1857년 김노선(金魯善) 서간(書簡)
185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노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7년(철종 7)김노선(金魯善)이 참판(參判)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이원조의 집안이 추영(追榮)된 것을 축하하며 자신의 돌아가신 아버지의 글을 손을 보아 달라면 부탁한 내용이다.
-
1857년 허좌(許佐) 서간(書簡)
185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허좌,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7년 3월 8일 허좌(許佐)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로, 가묘(家廟)에 분황(焚黃)할 때에 상중(喪中)이라 참석하지 못함을 전하고, 새로 부임한 수령을 언급하는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