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26년 심동익(沈東翼)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심동익,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 26) 11월 29일 아우 심동익(沈東翼)이 결주정당(㓗州政堂)의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자신과 친한 사람의 송사(訟事)를 잘 부탁한다며 보낸 청탁 간찰.
-
1826년 정기선(鄭基善)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기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26) 9월 13일에 정기선(鄭基善)이 결성현감(結成縣監)인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상대방이 자신의 집을 방문해준데 대한 고마움과, 아전들의 도움으로 산소를 구할 수 있었으며, 새로운 산소를 조성을 위하여 관아를 수리하는 일에 산지기의 역(役)을
-
1829년 유주영(柳冑榮)이 보낸 서찰.
182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유주영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9년(순조 29)유주영(柳冑榮)이 길일을 잡아 보내는 조속히 혼례를 치르자고 하는 내용이다.
-
1829년 권대긍(權大肯) 서간(書簡)
182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대긍,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9(순조29)년 6월 16일에 권대긍(權大肯)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로, 이원조는 3월에 생모인 증 정부인(贈貞夫人) 박씨(朴氏)의 상을 당하여 관직을 그만두고 거상중(居喪中)에 있었다. 전고를 인용하여 상대방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전하고 조만간에 만날 수
-
1835년 규석(奎錫) 서간(書簡)
183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규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35년 정월 23일에 규석(奎錫)이 대포(大浦)에서 변제(變制) 중인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이다. 이원조는 1833년 1월에 정경부인(貞敬夫人) 정씨(鄭氏)의 상을 당하였고, 연이어 1834년 1월에는 생부(生父)인 형진(亨鎭)의 상을 당하였는데, 종상(終祥
-
1840년 이이진(李頤鎭)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4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이진,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0(헌종 6)추천(楸川)의 삼종(三從) 이이진(李頤鎭)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가 강릉부사(江陵府使)로 가는 것을 축하하는 서찰.
-
1840년 조술주(趙述周) 서간(書簡)
184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술주,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0년(헌종6)조술주(趙述周)가 강릉 부사(江陵府使)로 재직 중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로, 강릉을 다스리는 당신의 안부와 정사(政事)에 대해 묻고, 세상에 홀로 남은 자신의 처지를 전하는 내용.
-
1840년 이우신(李祐信) 서간(書簡)
184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우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0년(庚子,헌종6) 5월 10일 이우신(李祐信)이 강릉부사(江陵府使)인 이원조에게 보낸 간찰. 경계를 접하고 있으면서도 공첩(公牒)을 통하여 만날 수밖에 없는 심정을 전하고 해구신(海狗腎)을 구해달라는 내용.
-
1840년 이우신(李祐信) 서간(書簡) 별지(別紙)
184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우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0년(헌종6) 5월 10일 이우신(李祐信)이 강릉부사(江陵府使)인 이원조에게 보낸 간찰 응 0588 의 별지(別紙).
-
1841년 이원식(李源植) 서간(書簡)
184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1년(헌종7) 6월 18일 족종(族從) 이원식(李源植)이 탐라현령으로 있는 이원조에게 보낸 간찰. 바다 건너 멀리서 정사(政事)를 보고 있어 쉽게 소식을 접할 수 없는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하고, 장습(瘴濕)으로 몸은 상하지 않았는지 걱정하였다. 백씨 형주(伯氏兄主
-
1842년 한계원(韓啓源)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답신.
184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한계원,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2년(헌종8) 9월 26일, 시생 복인(侍生服人) 한계원(韓啓源)이 제주목사(濟州牧使)로 재직 중인 이원조(李源祚)에게 조부의 상사(喪事)를 당한 비통한 심정을 전하고, 정대손(鄭大孫)을 압송(押送)하는 일은 감영(監營)의 공문(公文)에 의하여 거행하니 잘 살펴봐
-
1843년 조술립(趙述立) 서간(書簡)
184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술립,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3년(헌종9) 9월 21일 인제(婚弟) 조술립(趙述立)이 대포(大浦)의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로, 벼슬을 그만두고 돌아온 지 얼마되지 않았는데 또다시 한양으로 가려고 하느냐고 질책하고, 수다사(水多寺)에사 만나 자신의 선조 문집을 교정하자고 제의하는 내용.
-
1843년 정유성(鄭裕成)이 이원조(李源祚) 가족에게 보낸 간찰.
184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유성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3년(헌종9) 8월 17일, 제복인(弟服人) 정유성(鄭裕成)이 대포(大浦)에 사는 이원조(李源祚) 가족에게 자신이 직접 한양로 가서 춘부장(春府丈)이원조를 모시고 와야 하는데, 아내의 병 때문에 가지 못하고 종을 먼저 보낸다는 간찰.
-
1846년 권대긍(權大肯) 서간(書簡)
184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대긍,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6년(헌종 12) 11월에 권대긍(權大肯)이 장현철(張鉉喆)을 잘 돌보아 달라며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
-
1846년 황원선(黃源善) 서간(書簡)
184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황원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6년황원선(黃源善)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의 별지로, 꿈에 전 제주목사(濟州牧使)와 함께 제주에서 소요한 일을 시로 쓰고 서문을 기록하여 자신이 제주를 방문하고 싶은 욕망을 드러낸 내용.
-
1847년 서대순(徐戴淳) 서간(書簡)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서대순,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7년(헌종 13) 3월 3일 예조참의(禮曹參議)서대순(徐戴淳, 1805~1871)이 자성부사(慈城府使)로 재직 중이던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805~1871)에게 보낸 간찰이다.
-
1847년 이돈영(李敦榮) 서간(書簡)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돈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7년(헌종 13) 6월 10일 이돈영(李敦榮)이 자산부사(慈山府使)로 재직 중이던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이다.
-
1847년 홍종무(洪種茂)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종무,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7년(헌종 13)홍종무(洪種茂)가 자산부사(慈山府使)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자신과 친한 사람을 잘 부탁한다는 간청의 서찰.
-
1849년 장인원(張仁遠)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4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인원,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9년(헌종 15)장인원(張仁遠)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상대가 보내준 호경골(虎脛骨)에 대한 감사의 답서.
-
1849년 이노면(李魯勉) 서간(書簡)
184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노면,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9년(헌종 15) 척제(戚弟) 이노면(李魯勉)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자신의 선고(先考)를 정리할 계획을 알리는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