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65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65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5년(고종 2) 1월, 국왕이 이원조를 가선대부 행 용양위 호군에 임명하는 4품 이상 고신[敎旨]
-
1865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65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5년 2월, 국왕이 이원조를 자헌대부 한성부 판윤 겸 지춘추관사에 임명하는 4품 이상 고신[敎旨]
-
1865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65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5년 2월, 국왕이 이원조를 자헌대부 한성부 판윤 겸 지의금부춘추관사에 임명하는 4품 이상 고신[敎旨]
-
1865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65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5년 2월, 국왕이 이원조를 자헌대부 행 용양위 대호군에 임명하는 4품 이상 고신[敎旨]
-
1865년 이원조(李源祚) 증조모 풍양 조씨(豊壤趙氏) 추증교지(追增敎旨)
1865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조씨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5년(고종 2) 1월, 국왕이 趙氏를 貞夫人으로 추증하는 추증교지
-
1865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65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5년 1월 12일, 국왕이 이원조를 자헌대부 겸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하는 4품 이상 고신[敎旨]
-
1866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66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6년 12월 9일, 국왕이 이원조를 자헌대부 공조판서에 임명하는 4품 이상 고신[敎旨]
-
1866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66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6년 12월, 국왕이 이원조를 자헌대부 행 용양위 대호군에 임명하는 4품 이상 고신[敎旨]
-
1869년 이원조(李源祚) 홍패(紅牌)
1869
| 고문서-교령류-홍패
| 정치/행정-과거-홍패
| 고종,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9년(고종 6) 1월, 국왕이 李源祚에게 내린 回榜紅牌
-
1869년 이원조(李源祚) 홍패(紅牌)
1869
| 고문서-교령류-홍패
| 정치/행정-과거-홍패
| 고종,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9년(고종 6) 3월, 국왕이 李源祚에게 내린 回榜紅牌
-
1869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69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9년(고종 6) 1월 12일, 국왕이 李源祚를 정헌대부에 제수한 4품 이상 고신[敎旨]
-
1871년 이민겸(李敏謙) 추증교지(追贈敎旨)
1871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이민겸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1년(고종 8) 1월, 국왕이 李敏謙을 자헌대부 호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으로 추증하는 추증교지
-
1871년 이석문(李碩文) 추증교지(追贈敎旨)
1871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이석문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1년(고종 8) 1월, 국왕이 李碩文을 가선대부 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훈련원도정으로 추증하는 추증교지
-
1871년 이규진(李奎鎭) 추증교지(追贈敎旨)
1871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1년(고종 8) 1월, 국왕이 李奎鎭을 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지경연춘추관사 홍문관제학 동지성균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으로 추증하는 추증교지
-
1871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71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1년(고종 6) 1월, 국왕이 이원조를 판의금부사에 제수한 4품 이상 고신[敎旨]
-
1871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71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1년(고종 6) 1월, 국왕이 李源祚를 숭정대부에 제수한 4품 이상 고신[敎旨]
-
1871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1871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1년(고종 6) 1월, 국왕이 李源祚를 숭정대부 행 용양위 상호군에 제수한 4품 이상 고신[敎旨]
-
1885년 이관희(李觀熙) 고신(告身)
1885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이관희, 이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85년 6월 29일, 이조가 국왕의 명령을 받들어 진사 이관희를 승사랑 행 의금부도사로 임명하는 4품 이하 고신[敎牒]
-
1820년 병조(兵曹) 노문(路文)
1820
| 고문서-증빙류-노문
| 정치/행정-조직/운영-노문
| 이○○, 병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 20) 4월, 병조에서 星州의 正言 李某에게 발급한 路文
-
조운긍(趙雲兢)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운긍,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 윤월(閏月) 17일에 시생(侍生) 조운긍(趙雲兢, 1818~?)이 찬물(饌物)을 보내면서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