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성균관 | 경주 옥산서원
1906년 閏4월, 先代의 賢人인 晦齋를 망령되이 핍박하고 그의 學問 淵源을 거짓으로 지은 慶州孫氏들과 眞城李氏들을 聲討하며 慶州鄕校에 보낸 成均館의 通文
-
1906년 낙빈단소(洛濱壇所) 회중(會中) 통문(通文)
-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유도필, 유도위, 병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06년 1월 25일, 驪州李氏들이 晦齋에 대한 退溪의 行狀을 杜撰했다는 慶州孫氏들의 誣告를 처벌할 것을 요구하며 玉山書院에 보낸 屛山書院의 通文
-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상표, 사양서당 | 경주 옥산서원
1906년 4월 5일, 晦齋와 愚齋 사이의 學問 淵源과 道學 授受 關係에 대해 올바르지 못한 말을 퍼뜨린 자들을 처벌할 것을 요구하며 玉山書院에 보낸 泗陽書堂의 通文
-
191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중철, 이중철, 이중균, 도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16년 6월 29일, 屛山書院에서 『陶山及門諸賢錄』의 내용을 誣告하는 冊子의 發刊을 저지하는데 동참해줄 것을 호소하며 玉山書院에 보낸 陶山書院의 通文
-
191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호계서당 | 경주 옥산서원
1917년 10월 4일, 玉山書院과 관련된 紛爭이 일어나 事態가 더욱 커질 幾微를 보이자 서로 양보하여 타협하라고 충고하는 虎溪書堂의 通文
-
1918년 구강영당(龜岡影堂) 회중(會中) 통문(通文)
1918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중구, 최현필, 손진섭, 구강영당 회중 | 경주 옥산서원
1918년 7월 20일, 益齋 李齊賢을 모시던 龜岡書院의 옛터에 講堂을 건립하는데 대한 玉山書院의 意見을 물어온 龜岡影堂 會中의 通文
-
1918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중철, 이중철, 김영수, 도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18년 7월 20일, 李源海의 妻 平陽朴氏의 烈行을 널리 알려 人倫을 바로 세우자며 玉山書院에 보낸 陶山書院의 通文
-
1918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양산서당 | 경주 옥산서원
1918년 9월 10일, 鄭夢周를 새로이 主享하여 釋菜禮를 거행하는데 대한 同意 與否를 玉山書院에 질의해온 軍威 陽山書堂의 通文
-
1919년 도동서원(道東書院) 회중(會中) 통문(通文)
-
1919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권상수, 김복연, 김동규, 김홍규, 영천향교 | 경주 옥산서원
1919년 2월 5일, 張文弼의 妻 安東金氏의 烈行을 널리 알릴 것을 요청하며 玉山書院에 보낸 榮川鄕校의 通文
-
1919년 자계서당(紫溪書堂) 회중(會中) 통문(通文)
1919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용희, 자계서당 | 경주 옥산서원
1919년 9월, 濯纓 金馹孫, 三足堂 金大有, 道淵亭 金致三의 文集을 發刊하는 일에 대한 玉山書院의 意見을 묻는 紫溪書堂 會中의 通文
-
1920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낙빈단소 | 경주 옥산서원
1920년 4월 10일, 屛山書院에서 行悖를 부린 宣城李氏의 處理方案을 위한 會合의 개최를 玉山書院에 알리는 洛濱壇所의 通文
-
1920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순영, 권용진, 삼계서당 | 경주 옥산서원
-
192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최준, 용산단소 | 경주 옥산서원
1923년 3월 19일, 玉山書院에서 제안한 杜村 李彭壽의 齋室 建立에 贊同의 答辯을 담아 보내온 龍山壇所의 通文
-
1923년 금호서당(琴湖書堂) 도회중(道會中) 통문(通文)
192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금호서당 도회중 | 경주 옥산서원
1923년 2월 26일, 許稠의 後孫이 琴湖書院을 復元한 뒤 또 다른 許氏가 금호서원이란 扁額을 내건 것에 대해 聲討해줄 것을 당부하며 玉山書院에 보낸 琴湖書堂 道會中의 通文
-
192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병관, 조종석, 안종한 | 경주 옥산서원
1926년 12월, 陶山書院의 運營이 後孫들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嶺南士林의 團合을 촉구하며 서울에 거주하는 李炳觀 등이 玉山書院에 보낸 通文
-
1926년 안동향회(安東鄕會) 회중(會中) 통문(通文)
192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장기연, 김홍락, 이충호, 안동향회 | 경주 옥산서원
1926년 12월 3일, 小山 李光靖의 祭享施設을 건립하기 위한 道會의 개최를 玉山書院에 알리는 安東鄕會 會中의 通文
-
193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중철, 이중균, 이충호, 도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
1931년 삼계서당(三溪書堂) 회중(會中) 통문(通文)
193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삼계서당 회중 | 경주 옥산서원
1931년 3월 26일, 『冲齋集』을 重刊하면서 退溪의 署名을 諱로 바꾸어 쓴 것이 잘못이 아님을 알리기 위해 玉山書院에 보내온 三溪書堂 會中의 通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