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68년 족질(族姪) 김성직(金聲稷) 서간(書簡)
186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성직, 김인섭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1868년 5월 20일에 족질 김성직(金聲稷)이 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에게 보낸 편지.
-
1869년 김희영(金熙永)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6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희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9(고종 6년)김희영(金熙永)이 판서(判書)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아들이 죽은 것에 대한 위로하며 보낸 간찰.
-
1869년 장복추(張福樞)ㆍ장희추(張禧樞) 형제 서간(書簡)
186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복추, 장희추, 이정상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9년(고종9)장복추(張福樞)ㆍ희추(禧樞)형제가 이원조(李源祚)의 아들인 정상(鼎相)에게 보낸 간찰로, 상대방이 오래도록 병상에 있음을 알고서도 문안하지 못한 미안함을 전하고, 자신은 형수가 풍담(風痰)으로 폐물이 되었으며, 중형(仲兄)은 오랜 병에 오래도록 이맛살
-
1869년 조석태(曺錫泰) 서간(書簡)
186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석태, 조석필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1869년(기사) 10월 25일에 曺錫泰와 曺錫弼이 金麟燮의 집안으로 보낸 간찰로 상대의 시를 받고 화답하는 시를 지어 보내니 다듬어서 시축에 올려달라는 내용.
-
KSAC+A01+KSM-XF.1870.0000-20090831.E47840172_0-DES.BSC
187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충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0년(고종 7) 12월 그믐 충거(忠擧)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
1870년 충거(忠擧)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태지(胎紙).
187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충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0년(고종 7) 12월 그믐 충거(忠擧)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태지(胎紙).
-
1871년 이종익(李種翼)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7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종익,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1년(고종 8) 시하생(侍下生) 이종익(李種翼)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
수신자가 기록되지 않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7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수신자가 기록되지 않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
1871년 강병돈(姜炳敦) 서간(書簡)
187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강병돈, 김인섭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신미년(1871, 고종8)에 상중에 있는 강병돈(姜炳敦)이 단계(端磎) 김인섭(金麟)에게 보낸 서찰이다.
-
1874년 조성교(趙性敎)가 이관희(李觀熙)에게 보낸 답신
187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성교, 이관희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4년(고종11)에 아우 조성교(趙性敎, 1818∼1876)가 이관희(李觀熙, 1824~1892)에게 조부(祖父) 이원조(李源祚, 1792~1871)의 시장(諡狀)을 지어 올렸으나, 고인의 훌륭한 행적을 치켜세우지 못하여 부끄럽다고 보낸 답신
-
을해년 김인락(金麟洛) 서간(書簡)
187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인락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乙亥年 11월16일에 金麟洛이 某人에게 보낸 편지
-
1876년 안찬(安鑽) 서간(書簡).
187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안찬, 김인섭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1876년 8월 19일에 弟 안찬(安鑽)(1829∼1888)이 단계 김인섭에게 보낸 편지.
-
1877년 이태희(李泰羲) 서간(書簡)
187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태희, 김인섭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1877년(고종3) 6월 25일 사돈인 이태희(李泰羲)가 단계(端磎)에게 보낸 서찰
-
1878년 이교영(李敎永) 서간(書簡).
187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교영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무인년(1878, 고종15) 12월 4일 이교영(李敎永)이 보낸 서찰.
-
1878년에 장우원(張祐遠)이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
187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우원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8년(고종 15) 1월 8일에 장우원(張祐遠, 1828~?)이 수취자 미상에게 안부를 묻고 자신의 근황을 전하며, 또한 세상살이의 위험과 흉흉한 세상인심을 전하는 간찰
-
1879년 장석유(張錫裕) 서간(書簡)
187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석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9년 6월 21일에 장석유(張錫裕)가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서찰. 연이은 문안편지에 고마움을 전하고 상대방 가족들의 안부를 물었다. 6월의 도목정사(都目政事)에서는 상대방뿐만 아니라 영남에서는 한 사람도 없음을 알리고, 남쪽지방의 차를 보내
-
1879년 장석유(張錫裕) 서간(書簡)
187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석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9년장석유(張錫裕)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답신에 첨부된 별지로, 선영(先塋)과 가까운 다포(多浦)에 묘지를 쓰려다가 현지 주민들의 완강한 반대에 부딪치자, 상대방에게 100민(緡)의 돈을 지불하고 한양과 도내의 여러 장로(長老)들을 잘 설득하여 묘지를 쓸 수
-
1880년 문회장(文繪章) 서간(書簡)
188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문회장, 김인섭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1880년(경진)년 5월 2일에 문회장(文繪章)이 김인섭(金麟燮)에게 보낸 간찰로 사위는 몹시 사랑스럽고 맑은 모습이라고 칭찬하면서, 와서 머문 지 얼마 되지 않아 갑자기 돌아간다고 하여 말류하지 못하고 보낸다는 내용.
-
1880년 양언(陽彦) 서간(書簡)
188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양언, 단계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경진년(1880)양언(陽彦)이 단계(丹溪) 김인섭(金麟燮) 에 보낸 간찰.
-
1881년 김기선(金驥善)ㆍ김노선(金魯善)형제 서간(書簡)
188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기선, 김노선, 이관희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81년(고종18) 4월 그믐날 사촌(沙村)에 살고 있던 김기선(金驥善)·김노선(金魯善)형제가 대포(大浦)에 살던 이원조(李源祚)의 손자인 이관희(李觀熙)에게 보낸 간찰로, 이원조에게 ‘정헌(定憲)’이라는 시호(諡號)가 내려왔으나 욕의(縟儀)에 참석치 못하는 아쉬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