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845년 표종제복인(表從弟服人) 김동선(金東善) 서간(書簡)
-
184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대긍,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6년(헌종 12) 11월에 권대긍(權大肯)이 장현철(張鉉喆)을 잘 돌보아 달라며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
-
184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대긍,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6년(헌종 12) 11월에 권대긍(權大肯)이 장현철(張鉉喆)을 잘 돌보아 달라며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別紙).
-
184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유도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6년 6월 6일유도식(柳道軾)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로, 딸의 혼인문제로 상대방에게 도움을 청하고 먼 길의 여행의 즐거움을 들려달라는 내용.
-
-
-
-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서대순,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돈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7년(헌종 13) 6월 10일 이돈영(李敦榮)이 자산부사(慈山府使)로 재직 중이던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이다.
-
1847년 권용수(權用脩)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인설,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하생(下生) 이인설(李寅卨)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제향(祭享)에 쓰기 위해 제수(祭需)를 빌려달라는 부탁의 간찰.
-
1847년 홍종무(洪種茂)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종무,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7년(헌종 13)홍종무(洪種茂)가 자산부사(慈山府使)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자신과 친한 사람을 잘 부탁한다는 간청의 서찰.
-
1847년 김도희(金道喜)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
-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재철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7년(헌종 13)홍재철(洪在喆)이 보낸 서찰에 첨부된 별지로, 마을의 아전을 잘 부탁한다는 간청하는 내용이다.
-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돈인,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7년(헌종 13)권돈인(權敦仁)이 자산부사(慈山府使)로 있는 이원조(李源祚)가 보내준 물품에 관하여 고마움을 표시한 내용이다.
-
-
1848년 이해상(李海祥)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위문 간찰.
184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해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8년(헌종 14) 이해상(李海祥)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위문 서찰이다.
-
1848년 이공우(李恭愚)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4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공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8년(헌종 14)이공우(李恭愚)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첨향미(添餉米)와 경식전(輕殖錢)에 관한 소식을 전한 서찰.
-
1848년 이공우(李恭愚)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에 첨부된 별지.
184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공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8년(헌종 14)이공우(李恭愚)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에 첨부된 별지로, 일이 잘 처리되어 가슴이 시원하다는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