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현상(吳顯相)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오현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오현상(吳顯相)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과거날짜를 물리는 바람에 일어난 상황을 전하고 있다.
-
이형진(李亨鎭)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형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이형진(李亨鎭)이 보낸 서찰로, 조복(朝服)을 빌려달라는 내용이다.
-
안부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수발신자가 기록되지 않은 서찰로, 상주목사(尙州牧使)가 답한 바에 맹랑한 상황에까지는 이르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이다.
-
이인설(李寅卨)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인설,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이인설(李寅卨)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서울 다녀오는 것이 한 달이 걸릴 것임을 알리는 내용이다.
-
정기락(鄭基洛)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기락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정기락(鄭基洛)이 보낸 서찰로 환곡미(還穀米)를 제대로 거둘 수 없음을 알리고 허제(許題)를 받았다는 소식을 전하였다.
-
이광두(李光斗)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광두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이광두(李光斗)가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로, 상대의 안부를 묻고 자신의 근황을 전하였다. 한 때 이웃 고을을 겸임하였는데, 많은 백성과 선비들이 뜰에 가득하고, 자신은 그 중앙에 앉아서 송사를 처리하는 모습이 남의 웃음거리가 될 만하다는 내용.
-
첨향전(添餉錢) 구획 관문(區劃關文)에 관한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첨향전(添餉錢)을 구획(區劃)한 관문(關文)이 지체된 연유를 적고, 400석과 돈을 구획한 관문과 함께 보냈으니 비교하라고 하였다. 나누어 주어야 할 물품을 계속해서 쌓아두게 되는 것은 아닌지 염려하였다.
-
경연 중 『論語』 강경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경연에서 상번(上番)이 ‘信’자에 대해서 강경하였다. 『論語』, 「顔淵」편을 인용하여 ‘信’자의 중요성을 부각시켰고, 또한 ‘인도(人道)’, ‘인군(人君)’에 있어서 ‘신의(信義)’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말하였다. 현재 임금이 조칙을 내림에 있어서 무엇보다 ‘신의’가 중
-
경연에서 치도(治道)에 관한 논의를 적은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치도(治道)의 내용이 담긴 간찰로 『論語』, 「顔淵」편의 말을 인용하여 군신(君臣) 사이에 보(輔)·인(仁)이 있어, 어질고 능력있는 신하가 지위에서 임금을 도우면 치도가 잘 이루어질 것이라는 내용.
-
영하(永夏)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영하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영하(永夏)가 보낸 간찰로 당신의 고을이 세금납부를 거절함이 더욱 심하니, 주호(主戶)들을 잘 일깨워 서로 어려운 경지에 이르지 않았으면 한다는 내용.
-
준(準)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준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준(準)이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보낸 간찰로 조세 납부관계로 의문 사항이 있으니 의심을 상세하게 풀어달라는 내용.
-
사제(舍弟)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정월 18일 사제(舍弟)가 자신의 형님에게 보낸 간찰로 아버지는 복냉(服冷) 때문에 간간이 배탈이 난다고 하고 형님께서 빨리 내려와 아버지를 모시고 싶겠지만, 대정(大政)이 끝난 뒤에 내려오는 것이 좋겠다는 내용.
-
이경로(李敬魯)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경로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이경로(李敬魯)가 이진사댁(李進士宅)에 보낸 답신으로 자신은 질병 때문에 힘들다고 하고, 세 종류의 물품을 넉넉하게 보내지 못해 죄송하다는 내용.
-
박문현(朴文鉉)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박문현,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 모일(某日)에 박문현(朴文鉉)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김우주(金宇周)를 소개하고 상대방 고을인 고탄리(高灘里)에 살고 있으니 잘 보살펴주기 바란다는 내용.
-
양묵(養黙)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양묵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 서찰을 받은 즉일에 복인(服人) 양묵(養黙)이 대포(大浦)로 보낸 간찰로, 지난번에 존문한 서찰도 회답을 하지 못하여 죄송한데 거듭 서찰을 보내준데 대한 고마움을 표시하고, 자신은 집안이 불행하여 시집 온지 1년밖에 안된 손부(孫婦)의 참척(慘慽)을 당하여
-
이재성(李載聲)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재성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 서찰을 받은 즉일에 이재성(李載聲)이 성주(城主)에 올린 간찰로, 관아의 문을 나와 그놈의 동정(動靜)을 들으니, 자못 ‘완강하게 거절하고자 하는 뜻이 있다’고 하고, 나머지 큰 행동거지는 없는 것 같으며, 특별히 잡아가두겠다는 뜻을 보이면 좋은 해결방법이
-
기해년 수민(壽民)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수민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기해년 단오에 수민(壽民)이 보낸 간찰로, 서로 헤어진 이후의 울적한 심정을 전하고, 거듭 초대하는 것이 예이기 때문에 말과 하인을 보내니 춘부장(春府丈)과 함께 왕림하여 달라는 내용.
-
단오 안부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 단오(端午)에 보낸 서찰로, 발신인 · 수신인 모두 생략되었다. 부모님 모시는 상황이 어떠한지를 묻고, 자신은 백전(栢田)에 나가 농사일을 구경하려고 하며, 한양에서의 회답이 어제 왔으니 춘부장(春府丈)을 모시고 나오라는 내용.
-
임술년 정기락(鄭基洛)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기락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임술(壬戌)년 5월 20일에 정기락(鄭基洛)이 보낸 간찰로, 한번 만나고 싶었던 소원은 이루었으며, 협지(夾紙)의 내용은 백성들에게는 큰일이니 잘 주선해주고, 자신은 외창(外倉)의 일을 보러 간다는 내용.
-
신명순(申命淳)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신명순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발신일이 기록되지 않은 신명순(申命淳)이 보낸 서찰로, 녹지(錄紙)에 말한 것을 자세히 적어 보냈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