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65년 진선(鎭宣) 서간(書簡)
186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진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5년(철종12) 9월 20일 진선(鎭宣)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로 치질의 완치가 늦느냐고 묻고, 아울러 지주고[蜘(虫+廚)膏, 거미 기름]를 복용해보라고 권하는 내용.
-
1866년 남희중(南羲重) 서간(書簡)
186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남희중,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6년 11월 25일 성주 목사(星州牧使)인 남희중(南羲重)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로, 10여 년간이나 군기(軍器)를 점검하지 않아 대다수의 총기들은 폐물이 되어버렸고, 또 색리배(色吏輩)들이 몰래 훔쳐 팔아버렸기 때문에 일부는 정비하고 고치는 중이지만 그
-
1867년 조술립(趙述立)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6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술립,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7년(고종 4) 인제(姻弟) 조술립(趙述立)이 대포(大浦)의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선고(先稿)를 손보아 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의 서찰.
-
1846년 이해상(李海祥)과 이연상(李淵祥)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6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해상, 이연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6년(헌종 12)이해상(李海祥)과 이연상(李淵祥)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일상의 안부를 전하는 서찰.
-
1867년 황규현(黃奎鉉) 서간(書簡)
186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황규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7년(고종 4) 표종제(表從弟) 황규현(黃奎鉉)이 보낸 서찰로 행직(行職)을 받아 축하한다는 인사와 종수씨(從嫂氏)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
1867년 장석준(張錫駿) 서간(書簡)
186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석준,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7년 8월 25일 장석준(張錫駿)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답신으로, 가묘(家廟)에 분황(焚黃)할 때에는 참석할 수 없을 것 같으니 한양으로 행차하는 길이 있으면 꼭 만나서 회포를 풀자는 내용.
-
1868년 남희중(南羲重)이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
186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남희중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8년(고종 5) 4월(윤) 6일, 남희중(南羲重)이 수취자 미상에게 배가 없어서 세(稅)를 완납하지 못한 사실, 덕산묘소(德山墓所)에서 양이(洋夷)가 난동을 부린 일, 장치선(張致善)의 공초(供招)를 언급하는 등 당시의 어수선한 시대상황을 담은 간찰
-
1868년 이재목(李在穆) 서간(書簡)
186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재목,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8년(高宗5) 윤4월 15일 사돈인 이재목(李在穆)이 고향 포천 계곡에 은거하고 있는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둘째 아들이 화성 원침((華城 園寢)으로 임명된 것을 축하하며, 자신은 중춘(仲春)에 호상(湖上)으로 가서 여러 벗들과 조용히 강토(講討)하여 깨
-
1868년 정경(鄭(土+敬))이 작성한 간찰.
186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경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8년(고종5) 세하생(世下生) 정경(鄭(土+敬))이 수취자 미상에게 송씨(宋氏)의 일을 묻고, 송씨의 일로 인해 세상인심 헤아리기 어렵다고 보낸 간찰.
-
1868년 정경(鄭{土+敬}) 서간(書簡)
186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경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8년(고종5) 세하생(世下生) 정경(鄭(土+敬))이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로 규보(圭甫)의 일로 과도한 거동이 있었는데, 규보도 뉘우칠 것이라고 하고, 청천서원(晴川書院)에서 일어난 변고는 한 고을이 문을 닫고 들으려 하지 않으니 한심한 것이라는
-
1869년 김희영(金熙永)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6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희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9(고종 6년)김희영(金熙永)이 판서(判書)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아들이 죽은 것에 대한 위로하며 보낸 간찰.
-
1869년 장복추(張福樞)ㆍ장희추(張禧樞) 형제 서간(書簡)
186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복추, 장희추, 이정상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9년(고종9)장복추(張福樞)ㆍ희추(禧樞)형제가 이원조(李源祚)의 아들인 정상(鼎相)에게 보낸 간찰로, 상대방이 오래도록 병상에 있음을 알고서도 문안하지 못한 미안함을 전하고, 자신은 형수가 풍담(風痰)으로 폐물이 되었으며, 중형(仲兄)은 오랜 병에 오래도록 이맛살
-
KSAC+A01+KSM-XF.1870.0000-20090831.E47840172_0-DES.BSC
187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충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0년(고종 7) 12월 그믐 충거(忠擧)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
1870년 충거(忠擧)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태지(胎紙).
187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충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0년(고종 7) 12월 그믐 충거(忠擧)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태지(胎紙).
-
1871년 이종익(李種翼)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7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종익,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1년(고종 8) 시하생(侍下生) 이종익(李種翼)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
수신자가 기록되지 않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7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수신자가 기록되지 않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
1874년 조성교(趙性敎)가 이관희(李觀熙)에게 보낸 답신
187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성교, 이관희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4년(고종11)에 아우 조성교(趙性敎, 1818∼1876)가 이관희(李觀熙, 1824~1892)에게 조부(祖父) 이원조(李源祚, 1792~1871)의 시장(諡狀)을 지어 올렸으나, 고인의 훌륭한 행적을 치켜세우지 못하여 부끄럽다고 보낸 답신
-
1878년에 장우원(張祐遠)이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
187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우원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8년(고종 15) 1월 8일에 장우원(張祐遠, 1828~?)이 수취자 미상에게 안부를 묻고 자신의 근황을 전하며, 또한 세상살이의 위험과 흉흉한 세상인심을 전하는 간찰
-
1879년 장석유(張錫裕) 서간(書簡)
187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석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9년 6월 21일에 장석유(張錫裕)가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서찰. 연이은 문안편지에 고마움을 전하고 상대방 가족들의 안부를 물었다. 6월의 도목정사(都目政事)에서는 상대방뿐만 아니라 영남에서는 한 사람도 없음을 알리고, 남쪽지방의 차를 보내
-
1879년 장석유(張錫裕) 서간(書簡)
187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석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9년장석유(張錫裕)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답신에 첨부된 별지로, 선영(先塋)과 가까운 다포(多浦)에 묘지를 쓰려다가 현지 주민들의 완강한 반대에 부딪치자, 상대방에게 100민(緡)의 돈을 지불하고 한양과 도내의 여러 장로(長老)들을 잘 설득하여 묘지를 쓸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