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50년 정치익(鄭致翼)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5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치익,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0년(철종1) 2월 8일, 외생(外甥) 정치익(鄭致翼, 1824~1879)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족질(族姪)인 정진로(鄭鎭魯)가 상놈[常漢]에게 욕을 당하였으니, 담당 관아로 서찰을 보내어 공론(公論)으로 삼는 것이 어떠냐는 별지(
-
1850년 강두준(姜斗俊) 서간(書簡)
185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강두준,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0년 9월 6일 사제(査弟) 강두준(姜斗俊)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
1851년 이진상(李晉祥) 서간(書簡)
185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진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1년(철종2년)이진상(李晉祥)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당시에 수신자는 만귀정(晩歸亭)에서 지내고 있었으며, 자신은 벼슬을 그만두고 돌아온 뒤로 가난에 시달리는 어려움을 말함.
-
1851년 이진상(李晉祥) 서간(書簡) 별지(別紙)
185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진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1년(철종2년)이진상(李晉祥)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별지로, 자신의 친척집 행랑채에 붙어살던 하인이 억울한 일로 끌려가자 구원을 청하는 내용.
-
1852년 이인량(李寅亮) 서간(書簡)
185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인량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2년(철종 3) 기하(記下) 이인량(李寅亮)이 보낸 서찰로 상대의 시를 판각하여 보낸다고 하였다.
-
1854년 신우(愼愚)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5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신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4년(철종 5)에 신우(愼愚)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상대의 아들이 과거에 급제한 사실을 축하하고 자신의 조카가 과거에 급제한 사실을 전하는 내용이다.
-
1857년 이해상(李海祥)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5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해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7년(철종 8)이해상(李海祥)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오른 것을 축하하며 보낸 서찰.
-
1854년 조석우(曺錫雨) 서간(書簡)
185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석우, 수취인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4년(철종 5) 기하(記下) 조석우(曺錫雨)가 보낸 서찰로, 자신이 잉임(仍任)어 감사하다는 내용이다.
-
1855년 이재우(李在羽)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5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재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5년(철종6) 11월 초 6일, 시하생(侍下生) 이재우(李在羽)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탐라록(耽羅錄)』을 빌려줄 수 있는지, 이연서원(伊淵書院)의 도회(道會)와 소행(疏行)은 괜찮았는지, 최치홍(崔致弘)의 서찰을 전하려 했는데 방
-
1855년 이재우(李在羽)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별지(別紙).
185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재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5년(철종6) 11월 초 6일, 시하생(侍下生) 이재우(李在羽)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강경(講經)에 대한 문의(文義)를 초록해 두었으니, 한 번 비평해 달라는 별지(別紙)
-
1855년 김학성(金學性) 서간(書簡)
185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학성,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5년(철종 6) 기하(記下) 김학성(金學性)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자신의 시를 고쳐 판각하여 보낸다고 하였다.
-
1855년 김학성(金學性) 서간(書簡) 별지(別紙)
185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학성,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5년(철종 6) 기하(記下) 김학성(金學性)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에 첨부된 별지로, 박(朴)·권(權) 두 사람의 송사문제에 관하여 말하였다.
-
1856년 김진형(金鎭衡)이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보낸 간찰.
185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진형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6년(철종7) 4월 18일, 세소제(世小弟) 김진형(金鎭衡)이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내달 초에 시골 행차가 있을 터인데, 행장을 꾸릴 자금이 없다고 하고, 9월쯤에 혹시 서울에서 만날 수 있을까 하는 심정을 보낸 간찰.
-
1856년 문진(文鎭)이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보낸 답신.
185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문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6년(철종7) 10월 16일, 아우 문진(文鎭)이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초건(草件) 1책과 「노성부(盧城賦)」와 「백운루 상량문(白雲樓上樑文)」 을 보내니, 친구사이의 정으로 봐달라는 답신.
-
1856년 이휘찬(李彙纘) 서간(書簡)
185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휘찬,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6년(철종7)이휘찬(李彙纘)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로 선고(先考)의 상(喪) 때문에 힘든 삶을 이어가는 자신의 심정을 읊고, 이원조가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제수(除授)된 것을 축하는 내용.
-
1856년 이휘찬(李彙纘) 서간(書簡) 별지(別紙)
185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휘찬,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6년(철종7)이휘찬(李彙纘)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別紙)로 자신을 오위장(五衛將)에 주선해달라고 청탁하는 내용.
-
1856년 이휘찬(李彙纘) 서간(書簡) 별지(別紙)
185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휘찬,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6년(철종7)이휘찬(李彙纘)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別紙)로 신주(神主)를 만드는 나무[主材]가 결함이 있으니, 바르는 분 한 통을 보내달라는 내용.
-
모년(某年) 모월 8일에 경(敬)이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
185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경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 8일, 아우 경(敬)이 수취자 미상에게 이 모임이 초 열흘 경이라면 내일 나가겠으며, 신곡(新谷)의 일은 사▣(士▣)가 움직여 나아가는 데에서 나온 것이니, 세상의 일을 헤아릴 수 없다고 보낸 간찰
-
1857년 장석우(張錫愚)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5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석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7년(철종 8) 7월 23일, 기하(記下) 장석우(張錫愚, 1787-?)가 대포(大浦)에 사는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1792∼1871) 정자(亭子)의 기문(記文)을 지어 보내니 이 본 그대로 각수(刻手)에게 부쳐서 새겨 걸어 놓으라는 내용의 간찰
-
1857년 신석우(申錫愚)가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보낸 답신.
185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신석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7년(철종8) 3월 19일, 기하(記下) 신석우(申錫愚)가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세도(勢道)있는 집안을 끼고 족당(族黨)을 침범한 임백학(林白鶴)을 궁 밖으로 보냈으니, 멋대로 침범하는 근심이 없어질 것이라고 보낸 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