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26년 신홍주(申鴻周)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신홍주,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 26) 7월 27일에 훈련대장(訓練大將)신홍주(申鴻周, 1772~1829)가 승호군(陞戶軍)과 숙위군(宿衛軍)에 관한 일로 결성현감(結城縣監)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서찰.
-
1826년 홍영관(洪永觀)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영관,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 26) 제(弟) 홍영관(洪永觀)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권보인(權輔仁)을 시관(試官)에 선발해 줄 것을 간청하는 내용이다.
-
1826년 신이록(申履祿)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신이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26) 10월 1일 신이록(申履祿)이 결성 현감(結城縣監)인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로, 자신은 8월 초에는 종정(宗正)에서 병조(騎曹)로 옮겼음을 전하고, 이광거(李廣居)는 곧 아계상공(鵝溪相公)의 종손인데, 노유(老儒)가 습오(拾鰲)의 계책을 세
-
1826년 조충식(趙忠植)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충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26)조충식(趙忠植)이 결성현감(結城縣監)인 이원조에게 보낸 서찰로, 김명련(金命錬)명록(命錄)형제를 추천하고, 관정동(冠井洞)에 사는 아사(雅士)인 김군을 통하여 향리의 물정을 살피라는 내용.
-
1826년 김종린(金宗麟)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종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순조26) 9월 27일 김종린(金宗麟)이 결성 현감(結城縣監)으로 재직 중인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식형(識荊)도 갖지 못하였는데 뜻밖의 서찰을 받고 기뻐하며, 조응교(趙應敎)에게는 함께 답신을 보내자는 내용.
-
1826년 김희신(金熙臣)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희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 6월 23일 김희신(金熙臣)이 결성현감(結城縣監)으로 있던 이원조에게 보낸 간찰로, 번고(反庫)는 마땅히 약속한 날짜에 거행(擧行)해야 되지만 세선(稅船)을 낼 수가 없으니 다시 편리한 날짜를 정하여 통보하라는 내용.
-
1826년 심계석(沈啓錫)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심계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26) 12월 18일 심계석(沈啓錫)이 결성 현감(結城縣監)으로 있던 이원조에게 보낸 간찰로, 평안한 시절에는 백성 교화에 할계(割鷄)로써 할 필요가 없으니, 시회(詩會)를 열어 영구히 전할 명구(名句)를 읊조리자는 내용.
-
1826년 김희신(金熙臣)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희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26) 10월 23일, 인하(隣下) 김희신(金熙臣, 1761~?)이 결성현감(結城縣監)으로 있던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로, 포보목(砲保木)과 기성목(騎省木)에 값을 정하고, 아울러 방안(榜眼)을 베껴서 별지(別紙)로
-
1826년 심동익(沈東翼)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심동익,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 26) 11월 29일 아우 심동익(沈東翼)이 결주정당(㓗州政堂)의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자신과 친한 사람의 송사(訟事)를 잘 부탁한다며 보낸 청탁 간찰.
-
1826년 정기선(鄭基善)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기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26) 9월 13일에 정기선(鄭基善)이 결성현감(結成縣監)인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상대방이 자신의 집을 방문해준데 대한 고마움과, 아전들의 도움으로 산소를 구할 수 있었으며, 새로운 산소를 조성을 위하여 관아를 수리하는 일에 산지기의 역(役)을
-
1827년 서영순(徐英淳) 서간(書簡)
182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서영순,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7년(순조27)서영순(徐英淳)이 결성현감(結城縣監)으로 재직 중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로, 성균관의 관원이 홍문관의 반인(泮人)들을 홀대하고 있으니 시정해 줄 것을 요구하는 내용.
-
1829년 장봉주(張鳳周)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2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봉주,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9년(순조 29)장봉주(張鳳周)가 결성현감(結城縣監)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일상의 안부를 전하는 서찰.
-
1829년 유주영(柳冑榮)이 보낸 서찰.
182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유주영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9년(순조 29)유주영(柳冑榮)이 길일을 잡아 보내는 조속히 혼례를 치르자고 하는 내용이다.
-
이인량(李寅亮)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2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인량,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본읍(本邑)의 수령이인량(李寅亮)이 제주목사(濟州牧使)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석결명(石決明)을 구해주기를 바라는 서찰.
-
이인량(李寅亮)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에 첨부된 별지.
182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인량,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본읍(本邑)의 수령이인량(李寅亮)이 제주목사(濟州牧使)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석결명(石決明)을 구해주기를 바라는 서찰에 첨부된 별지이다.
-
1829년 권대긍(權大肯) 서간(書簡)
182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대긍,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9(순조29)년 6월 16일에 권대긍(權大肯)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로, 이원조는 3월에 생모인 증 정부인(贈貞夫人) 박씨(朴氏)의 상을 당하여 관직을 그만두고 거상중(居喪中)에 있었다. 전고를 인용하여 상대방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전하고 조만간에 만날 수
-
1831년 이준호(李竣祜)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3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준호,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31년전북고창의 무장현감(茂長縣監)에 제수된 이준호(李竣祜)가 성균관 전적(成均館 典籍)으로 있던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조정에서 함께 근무하다가 외직으로 나가게 된 것과 상대방의 부탁으로 특별히 방면한다는 내용.
-
1831년 이원조(李源祚)가 이준호(李竣祜)에게 보낸 간찰.
183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이준호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31년이준호(李竣祜)가 무장현감(茂長縣監)에 제수되었다는 서찰을 받고 이원조(李源祚)가 발신한 서찰의 뒷면에 쓴 답신으로, 고을 수령으로 제수된데 대한 축하와 자신의 부탁을 들어준데 대한 고마움을 표시한 내용.
-
1835년 김응식(金應埴)이 보낸 소상(疏上)
183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응식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35년(헌종 1)김응식(金應埴)이 보낸 것으로, 자신의 종숙(從叔)의 초상을 알리는 보낸 소상(疏上)이다.
-
1835년 규석(奎錫) 서간(書簡)
183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규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35년 정월 23일에 규석(奎錫)이 대포(大浦)에서 변제(變制) 중인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이다. 이원조는 1833년 1월에 정경부인(貞敬夫人) 정씨(鄭氏)의 상을 당하였고, 연이어 1834년 1월에는 생부(生父)인 형진(亨鎭)의 상을 당하였는데, 종상(終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