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16년 만규(晩奎)가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
181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만규,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16년(순조 16)만규(晩奎)가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간청에 따른 응답의 서찰.
-
1817년 만규(晩奎)가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간찰.
181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17년(순조17) 동짓달 그믐날, 기하(記下) 만규(晩奎)가 장령(掌令)이규진(李奎鎭, 1763~1822)에게 흉년과 군전(軍錢)으로 인해 괴로운 심정을 말하고, 또 새 책력(冊曆) 네 건을 보낸다는 간찰.
-
1819년 이학수(李鶴秀)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1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학수,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19년(순조 19) 부사(副使)이학수(李鶴秀)가 정언(正言)이원조(李源祚)에 자신이 사신을 가는 상황을 알리는 서찰.
-
1819년 조봉진(曺鳳振)이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
181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봉진,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19년(순조 19) 조봉진(曺鳳振)이 은율현감(殷栗縣監)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
-
1819년 정재홍(鄭在弘)이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
181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재홍,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19년(순조 19)정재홍(鄭在弘)이 이규진(李奎鎭)을 방문하러 가면서 보낸 서찰.
-
1819년 이영하(李瀯夏)가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
181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영하,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19년(순조 19)이영하(李瀯夏)가 이규진(李奎鎭)에게 황기중(黃基中)을 부탁하는 내용의 서찰.
-
1820년 권비응(權丕應)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비응,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 20)에 권비응(權丕應)이 정언(正言)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
1820년 권비응(權丕應)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비응,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 20)에 권비응(權丕應)이 정언(正言)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에 첨부된 별지.
-
1820년 유한원(柳漢源)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유한원,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 20)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유한원(柳漢源)이 이규진(李奎鎭)가 제수(祭需)를 빌려달라는 부탁에 답한 서찰.
-
1820년 조기영(趙冀永)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기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 20) 교리(校理)조기영(趙冀永)이 이규진(李奎鎭)에게 억울하게 벌을 받고 있는 김상홍(金尙弘)을 잘 부탁한다는 서찰.
-
1820년 이재수(李在修)가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답신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재수,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 20) 2월 1일에 황주 목사(黃州牧使)로 재직 중인 아우 이재수(李在修, 1769~?)가 은율현감(殷栗縣監)을 재직 중인 이규진(李奎鎭, 1763~1822)에게 아들 혼인(婚姻)으로 집에 돌아왔지만, 길에서 피곤하고 업무(業務)를 비운 것이 모두 근심
-
1820년 이흡(李土+翕)이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간찰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흡,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 20) 3월27일, 화산수령[花山倅]로 재직 중인 아우 이흡(李土+翕)이 은율현감(殷栗縣監)으로 재직 중인 이규진(李奎鎭, 1763~1822)에게 석동(石洞)에 가지 못하여 금사(金沙)에는 가려했으나, 이 또한 여의치 못하다는 아쉬운 심정을 담은 간찰
-
1820년 정재홍(鄭在弘)이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답신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재홍,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 20) 3월 17일에 기하(記下) 정재홍(鄭在弘)이 은율현감(殷栗縣監)으로 재직 중인 이규진(李奎鎭, 1763~1822)에게 세금 거두는 일을 잘 못 처리한 수리(首吏)를 처벌하는 것과 왕씨(王氏)의 동산에서 시를 지어 보낸다는 내용의 답신
-
1820년 남기흥(南紀興)이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간찰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남기흥,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 20) 2월 27일에 기하(記下) 남기흥(南紀興)이 은율 현감(殷栗縣監)으로 재직 중인 이규진(李奎鎭, 1763~1822)에게 본 읍에 귀양 온 태인(泰仁) 김상홍(金相洪)을 잘 돌봐달라는 것과 지난번에 말한 약방문(藥方文)을 인편에 보낸 달라는 내용의
-
1820년 이종억(李宗億) 서간(書簡)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종억,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20)이종억(李宗億)이 은율 현감(殷栗縣監)인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로, 황해도신천(信川)의 상사(上舍) 박제명(朴躋明)과 그의 아우 회명(會明)과 사촌 한명(漢明)을 소개하며, 그들은 향리의 훌륭한 집안이므로 교유할 것을 권하는 내용.
-
1820년 우순(愚淳) 서간(書簡)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우순,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20) 아우 우순(愚淳)이 은율현감(殷栗縣監)으로 재직 중인 이규진(李奎鎭, 1763~1822)에게 보낸 간찰로 아들의 관례(冠禮)에 참석하여 줄 것을 바라는 내용.
-
1821년 강세륜(姜世綸) 서간(書簡)
182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강세륜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1년(순조 21) 9월 17일 척기(戚記) 강세륜(姜世綸)이 보낸 간찰.
-
1821년 정윤원(鄭允元) 서간(書簡)
182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윤원, 대포 은율댁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1년(순조 21) 2월 19일 소제(小弟) 정윤원(鄭允元)이 대포(大浦)은율댁(殷栗宅)에 자신의 아들이 과거(科擧)에 급제(及第)하기 위하여 수령에게 서찰을 보내달라는 부탁하는 서찰.
-
1824년 술효(述孝) 서간(書簡)
182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술효,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4년술효(述孝)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과거시험장에 좋은 자리를 차지하지 못한 아쉬움을 전하고 있다.
-
1825년 이계우(李啓宇) 서간(書簡)
182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계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5년(순조25) 9월 18일 이계우(李啓宇)가 대포(大浦)에 사는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답신. 먼저 서찰을 보내준데 대하여 고마움을 전하고, 협지에서 지적한 후손을 이을 방도와 학문에 전념하라는 가르침을 힘을 다하여 실행하겠다는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