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성(李載聲)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재성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 서찰을 받은 즉일에 이재성(李載聲)이 성주(城主)에 올린 간찰로, 관아의 문을 나와 그놈의 동정(動靜)을 들으니, 자못 ‘완강하게 거절하고자 하는 뜻이 있다’고 하고, 나머지 큰 행동거지는 없는 것 같으며, 특별히 잡아가두겠다는 뜻을 보이면 좋은 해결방법이
-
기해년 수민(壽民)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수민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기해년 단오에 수민(壽民)이 보낸 간찰로, 서로 헤어진 이후의 울적한 심정을 전하고, 거듭 초대하는 것이 예이기 때문에 말과 하인을 보내니 춘부장(春府丈)과 함께 왕림하여 달라는 내용.
-
단오 안부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 단오(端午)에 보낸 서찰로, 발신인 · 수신인 모두 생략되었다. 부모님 모시는 상황이 어떠한지를 묻고, 자신은 백전(栢田)에 나가 농사일을 구경하려고 하며, 한양에서의 회답이 어제 왔으니 춘부장(春府丈)을 모시고 나오라는 내용.
-
임술년 정기락(鄭基洛)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기락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임술(壬戌)년 5월 20일에 정기락(鄭基洛)이 보낸 간찰로, 한번 만나고 싶었던 소원은 이루었으며, 협지(夾紙)의 내용은 백성들에게는 큰일이니 잘 주선해주고, 자신은 외창(外倉)의 일을 보러 간다는 내용.
-
신명순(申命淳)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신명순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발신일이 기록되지 않은 신명순(申命淳)이 보낸 서찰로, 녹지(錄紙)에 말한 것을 자세히 적어 보냈다고 하였다.
-
안부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수발신자에 대한 기록이 없는 서찰로, 종과 말을 밥을 먹여 보내겠다고 하였다.
-
안부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수발신자에 대한 기록이 없는 서찰로, 일상의 안부를 전하고 만나기를 기대한다고 하였다.
-
산초(汕樵)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아우 산초(汕樵)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족인(族人)이 중명(仲明)으로 자(字)를 지은 것에 대해 만나서 의논하기를 바라는 심정과 판재(板材)는 육로로 수송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피력한 답신.
-
산초(汕樵)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산초(汕樵)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별지(別紙)로, 상대의 안부를 묻고, 떠나기 전에 뵈려고 했으나 여의치 않아서 내일 찾아뵙겠다는 내용.
-
오취선(吳取善)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오취선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오취선(吳取善)이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안부 서신으로, 상대의 안부를 묻고, 한 해가 저물어 가는 세밑에 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는 내용.
-
용(龍)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용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2월 그믐날, 아우 용(龍)이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안부 서신으로 상대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성균관[泮宮]에서 혼자 쓸쓸히 등불만 짝하고 있다는 내용.
-
김재헌(金在獻)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재헌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에 기하(記下) 김재헌(金在獻)이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보낸 간찰로 당신 아들의 과거(科擧) 시험이 어떻게 되었는지를 묻고, 매우 조마조마한 심정을 피력한 간찰.
-
양묵(養黙)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양묵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양묵(養黙)이 대포리(大浦里: 한개마을)에 사는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보낸 간찰로 완성된 『퇴계집(退溪集)』 43권을 책상위에 두고 어루만지기만 해도 좋고, 또한 포폄(褒貶)의 평가가 도착한 이후에 마땅히 등사(謄寫)하여 보내겠다는 내용.
-
상대방의 부탁을 거절한 내용의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날짜와 발신자 그리고 수취자가 누구인지를 알 수 없는 답장으로 시험 감독관인 홍우(洪友)에게 청탁을 해달라는 부탁에 정중히 거절하고, 그는 훌륭한 인재를 잘 식별하며 공정하게 감독할 것이라는 내용.
-
조언하는 내용의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에 발신자 미상(未詳)이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로 요직(要職)에 머물면서 사람의 동정을 살피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내용.
-
아우 승(昇)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승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 12월 14일 아우 승(昇)이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간차로 하교하신 일을 잘 처리하지 못하여 죄송하며, 눈병이 더욱 심하여 출입이 어렵다는 내용.
-
여름 안부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여행하는 안부를 묻고 가까운 시기에 한번 다녀가라는 발급자 수취자 미상의 간찰.
-
안부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당신을 몹시 그리워하던 차에 서찰을 받고, 만날 날을 기약하겠다는 발신자, 수취자 미상의 간찰.
-
희순(羲淳)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희순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 모월(某月)에 희순(羲淳)이 아무개에게 보낸 간찰로 당신의 아들이 과거(科擧)에 합격한 것을 축하하고, 또한 자제의 자질이 뛰어나며 총명하니 앞으로 10년을 독서하면 큰 성과가 있을 것이라는 내용.
-
제(弟) 숙원(宿源)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숙원, 이씨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 3월 25일 제(弟) 숙원(宿源)이 이 좌랑(李佐郞)에게 보낸 간찰로 혼사 준비로 인해 갈수가 없으며, 새벽에 움직여서 먼저 기다리기를 바라는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