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신자와 발신자, 발신날짜에 대한 기록이 없는 서찰.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수신자와 발신자, 발신날짜에 대한 기록이 없는 서찰.
-
수신자와 발신자, 발신일이 기록되지 않은 서찰.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수신자와 발신자, 발신일이 기록되지 않은 서찰.
-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
병원(秉遠)이 보낸 서찰.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병원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병원(秉遠)이 보낸 서찰.
-
이규진(李奎鎭)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규진, 이민겸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이규진(李奎鎭)이 아버지 이민겸(李敏謙)에게 보낸 서찰로, 서울에서 관직생활을 하면서 여러 가지 일어나는 정치변화를 소상히 적었다.
-
이규진(李奎鎭) 서간(書簡)의 첨부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규진,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이규진(李奎鎭)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에 첨부된 또 다른 서찰로, 상소의 일에 관하여 홀로 다른 주장을 하지 말 것을 당부하는 내용이다.
-
이원조(李源祚) 수신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군록(軍祿)의 부정한 일이 발생하여 바로잡아 줄 것을 요청하는 내용이다.
-
1841년경 권대긍(權大肯)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대긍,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권대긍(權大肯)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심약(審藥)박군(朴君)의 일에 대해 부탁한 이원조의 한 말에 관하여 봄을 기다려 해결하자는 내용이다.
-
말을 빌려주라는 내용의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수발급자가 기록되지 않은 서찰로 상대에게 말을 빌려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이다.
-
상대가 고향으로 돌아감을 축하하는 내용의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수발급자가 기록되지 않은 서찰로, 상대가 고향으로 돌아 간 것을 부러워한다는 내용이다.
-
돈을 빌려주는 내용을 담은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유주영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수발신자의 기록이 없는 서찰로, 쌓인 빚을 채워 넣는 일과 배수(配囚)의 일에 관하여 묻는 내용이다.
-
박승휘(朴承輝)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봉진,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발신일에 대한 기록이 없는 박승휘(朴承輝)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에게 보낸 서찰.
-
계축년(癸丑年)에 진우(鎭愚)가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보낸 답신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진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계축년(癸丑年) 12월 12일, 아우[弟] 진우(鎭愚)가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자신은 벼슬에서 물러나 휴식을 취하고 있지만, 윤감(輪感:유행성 감기)으로 달포나 고초를 겪고 있다고 토로한 답신
-
계축년(癸丑年)에 진우(鎭愚)가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보낸 답신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진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계축년(癸丑年) 12월 12일, 아우[弟] 진우(鎭愚)가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전리(銓吏)는 누구에게 위촉할지 알 수 없으니, 기미(幾微)를 살펴 힘을 쓰겠다는 별지(別紙)
-
모년(某年)에 영관(永觀)이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답신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영관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에 최복제(縗服弟) 영관(永觀)이 수취자 미상에게 안부를 묻고 자신의 근황을 전하였으며, 상대를 만나고 싶은데 타고 갈 말이 없어서 만나지 못하는 안타까운 심정을 담은 답신
-
병자년(丙子年)에 익수(益秀)가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보낸 답신.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익수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병자년(丙子年) 5월 17일, 아우[弟] 익수(益秀)가 성주군 대포리[한개마을]에 사는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사제(舍弟)의 병과 종여(種女)의 학질로 인해 괴롭다고 하고, 또 부탁하신 말씀은 20일 뒤에 있을 영행(營行) 때 말씀드리겠다는 답신
-
모년(某年)에 발신자 미상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 모월(某月)에 발신자 미상이 호우(毫宇)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산길로 다니느라 고달프고 피곤하여 즉시, 문안을 드리지 못한다고 하고 내일 조정에서 물러날 때 뵙겠다고 하는 간찰.
-
모년(某年) 경(慶)이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경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 모월(某月)에 아우[弟] 경(慶)이 수취자 미상에게 당신의 맏아들이 동당시(東堂試)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을 축하하고, 패서(浿西)의 시권(詩卷)과 절목(節目)은 천천히 돌려주겠다는 답신.
-
김학승(金學升)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학승, 수취인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발급일이 없는 김학승(金學升)이 보낸 서찰로, 이언규(李彦圭)에 관하여 기억하고 있는지 물었다.
-
이준재(李駿在)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준재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기하(記下) 이준재(李駿在)가 수신인의 형수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위로하기 위해 대필한 서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