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60년 3월 5일
| 哲宗11
| 庚申
| 오후에 비가 내리다.
<지명>저곡(楮谷)지명> <인명>이상화(李相樺)인명>가 <지명>상방동(上芳洞)지명> 유사였기 때문에 방재(芳齋) 20관을 가지고 와서 일을 물었고 이어서 이날 머물렀다. 하방동(下芳洞) 20민전(緡錢)또 마련되었으나, 먼저 제수용 물건에 지급하고 남은 것은
-
1860년 3월 14일
| 哲宗11
| 庚申
| 맑다.
동풍이 매우 혹독했다. 주사(廚舍)의 기와 덮는 것이 시급했으나 농사일이 많아 군정(軍丁)들이 겨를이 없었다.
-
1860년 2월 16일
| 哲宗11
| 庚申
| 맑다.
기둥을 세운 것은 이날 오(午)시에 있었다. 재목을 다 깎지 못해 기둥 2개만 세웠다. 저녁을 먹은 뒤에 성조소(成造所)로 가서 제사를 지냈다. 축문(祝文)을 지은 것은 <인명>이수영(李秀榮)인명>, <인명>이학영(李學榮)인명>이었고 헌관(獻官)은 <인명>이현발
-
1860년 3월 30일
| 哲宗11
| 庚申
| 맑다.
마을 노소(老小)들이 모두 모여 각기 판삽(版鍤)을 잡고 다졌으나 목수는 계속 원옥(元屋) 다듬는 일을 했다. 점심은 안계댁(安溪宅)과 옥현댁(玉峴宅)에서 보내주었다.
-
1860년 4월 1일
| 哲宗11
| 庚申
| 맑다.
노소(老小)들이 무리를 나누어 톱질하는 일을 하거나 판축(版築)하는 일을 하며 종일 그치지 않았다. <인명>정퇴묵(鄭退默)인명>이 문안하러 왔다. 점심을 보낸 것은 귀호댁(龜湖宅)이었다.
-
1860년 4월 28일
| 哲宗11
| 庚申
| 맑다.
목수가 잠깐 갔다가 잠시 왔다. 이미 끝났어야 하는 목수일이 뜻대로 되지 않았다. 대장장이 또한 집에 갔다가 저녁에 왔다.
-
1860년 3월 22일
| 哲宗11
| 庚申
| 비가 내리다.
물이 불어났다.
-
1860년 4월 17일
| 哲宗11
| 庚申
| 흐리다.
목수의 별공(別供)은 그의 뜻이라고 하지는 않았지만 개 한 마리를 잡고 물고기를 사 와 대접하게 했다.
-
1860년 3월 22일
| 哲宗11
| 庚申
| 흐리고 한랭하다.
목수의 간청이 비할 데 없어 근근이 4냥을 마련하여 그에게 주었다. 내일 기와를 덮을 계획이었기 때문에 저녁을 먹은 뒤에 노소(老小)들이 역소(役所)에 모였다. 단속을 도탑게 하여 빠뜨리는 폐해가 없도록 했다.
-
1860년 3월 10일
| 哲宗11
| 庚申
| 가랑비가 내리다.
목수 한 놈이 영영 돌아가고 <인명>윤금동(尹金同)인명>만 혼자 일을 했다. <지명>동리(東里)지명> 신 생(申生)의 집에 새 기와를 쌓아 두어 신생을 불러 매매에 관해 말했다.
-
1860년 2월 12일
| 哲宗11
| 庚申
| 맑다.
목수 <인명>윤금동(尹金同)인명>을 꼭두새벽에 불러왔다. 비로소 설목(設木)하는 일을 시작했으나, 들보 재목에는 새로 할 것이 많았기 때문에 종가(宗家) 뒤편 기슭의 소나무들을 골라, 예닐곱 개를 베었는데, 가까운 곳에서 얻기 편리했기 때문이었다. <지명>원구(元邱
-
1860년 3월 25일
| 哲宗11
| 庚申
| 맑다.
<인명>윤금동(尹金同)인명>놈이 매일 병을 핑계 댄 것은 먼저 값을 치르지 않았기 때문이라서 부득이 10민동(緡銅)을 주었다.
-
1860년 3월 28일
| 哲宗11
| 庚申
| 맑다.
-
1860년 4월 2일
| 哲宗11
| 庚申
| 맑다.
목수의 일은 예전처럼 문간(門間)을 영립(營立)하려 했으나 남은 기와가 얼마 되지 않아 부득이 각 집에서 겨릅대를 거두어 덮었다. 전치(傳置)곤이 문안하러 왔다.
-
1836년 강면규(姜冕奎) 서간(書簡)
183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강면규, 박제연
|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1836년 10월 10일, 姜冕奎가 朴齊淵에게 상복을 벗은 것을 위로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860년 류진우(柳進瑀) 서간(書簡)
186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류진우
|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1860년 7월 6일, 柳進瑀가 선물에 대한 감사와 근황을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860년 류진황(柳進璜) 서간(書簡)
186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류진황, 박제연
|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1860년 5월 5일, 柳進璜이 朴齊淵에게 소식을 보내줄 것을 부탁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860년 류진황(柳進璜) 서간(書簡)
186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류진황, 박제연
|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1860년 7월 초8일, 柳進璜이 朴齊淵에게 괴질을 피해 돌아오기를 권하는 편지
-
1860년 이기동(李基東) 서간(書簡)
186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기동, 박제연
|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1860년 10월 1일, 李基東이 朴齊淵에게 인사에 관한 조정의 논의를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
-
김중휴일기(金重休日記) 2책
1861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김중휴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참봉댁
金重休가 1861년부터 1863년까지 일상생활을 기록한 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