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86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최영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0년(철종11) 4월 28일, 노포의 복인 최영록이 유림의 분쟁에 대한 의견 진술차 한개의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
-
186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최영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0년(철종11) 4월 1일, 노포의 복인 최영록이 유림의 제반 문제를 논의코자 한개의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
-
1861 | 고문서-서간통고류-위장 | 종교/풍속-관혼상제-위장 | 강우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1년(철종12) 10월 9일, 강우영이 상대방 맏형의 상사를 위로하고 이정상이 장릉참봉에 제수된 것을 축하하기 위해 한개의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
-
186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남희중,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8년 윤4월 21일, 남희중이 편지를 붙이겠다는 약속에 대하여 인편을 기다렸다가 보낼 것임을 알리기 위해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
-
-
1860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철종,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0년(철종 11) 12월, 국왕이 李源祚를 嘉善大夫 行 龍驤衛 護軍 兼 五衛都摠府 副摠管으로 임명하는 4품 이상 고신[敎旨]
-
-
1864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4년(고종 1) 11월, 국왕이 李源祚를 嘉善大夫 行 司諫院 大司諫으로 임명하는 4품 이상 고신[敎旨]
-
-
186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만각 |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1860년 2월 5일, 李晩慤이 자신의 딸을 잘 돌봐주고 있는 것에 대해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柳基鎬에게 보낸 편지
-
186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병학, 권복규, 권상묵 |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1860년 3월 23일, 權秉學 외 2인이 潛庵 金義貞이 死後 贈職이 된 것에 축하하고 禮式에 부조를 보내기 위해 五美洞의 豊山金氏측에 보낸 편지
-
-
186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기인, 권덕진, 권진화 |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1860년 3월 23일, 權器仁 외 2인이 潛庵 선생이 높은 작위를 받은 일을 축하하기 위해 美洞으로 보낸 편지
-
186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용헌, 장용응, 장지목 |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
-
1860 | 고문서-서간통고류-위장 | 종교/풍속-관혼상제-위장 | 이정상, 이○○, 이○○ | 안동 도산 진성이씨 하계파 근재문고
1860년 3월 6일에 李鼎相이 상을 당한 슬픔을 위로하고 찾아가 위문하지 못하는 사정을 李生員에게 전하는 위장
-
-
1823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홍낙건 | 경주 양월 경주이씨 양월문중
1823년 1월 1일부터 1860년 7월 10일까지 38년간 문경시영순면을 배경으로 기록된 洪洛建(1798~?)의 생활일기
-
1834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만송, 예안현 | 안동 도산 진성이씨 하계파 근재문고
-
1837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만송, 예안현 | 안동 도산 진성이씨 하계파 근재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