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59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부륜 | 안동 오천 광산김씨 설월당종택
1592년 9월 29일에 金富倫이 奉化假守로 부임한 뒤의 상황을 전하고 자신이 가지 못한 사정과 두 곳에 생긴 사단에 대한 걱정을 미상의 수신자에게 전하는 편지.
-
159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윤수, 김부륜 | 안동 오천 광산김씨 설월당종택
-
-
159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부륜, 조목 | 안동 오천 광산김씨 설월당종택
1597년에 金富倫이 한식을 맞이하여 어제 상대가 보내준 시에 차운하고, 조카 坪과 함께 보러갈 것을 전하기 위해 東皐에게 보낸 답장편지
-
1555 | 고문서-교령류-백패 | 정치/행정-과거-백패 | 명종, 김부륜 | 안동 오천 광산김씨 설월당종택
1555년 3월, 명종이 유학 김부륜에게 생원 2등 제7인으로 합격한 것을 증명하여 발급한 생원시 합격 증서
-
1573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김부륜, 이조 | 안동 오천 광산김씨 설월당종택
-
1912년 성주군(星州郡) 벽진면(碧珍面) 해평동(海平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2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성주군청
1912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 星州郡 碧珍面 海平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
1912년 성주군(星州郡) 벽진면(碧珍面) 봉학동(鳳鶴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2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성주군청
1912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 星州郡 碧珍面 鳳鶴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
1912년 성주군(星州郡) 벽진면(碧珍面) 외기동(外基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2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성주군청
1912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 星州郡 碧珍面 外基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
1912년 성주군(星州郡) 벽진면(碧珍面) 매수동(梅水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2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성주군청
1912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 星州郡 碧珍面 梅水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
1912년 성주군(星州郡) 벽진면(碧珍面) 봉계동(鳳溪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2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성주군청
1912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 星州郡 碧珍面 鳳溪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
1610년 황섬(黃暹) 퇴계선생향약조발(退溪先生鄕約條跋)
1610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황섬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慶尙道豊基郡에서 退溪鄕約을 모방하여 제정한 향약의 跋文으로, 향약 제정을 주도했던 黃曄의 부탁을 받아 1610년 黃暹이 작성
-
1724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박서봉 | 경산 하양향교
1724년 4월, 하양향교의 유생 朴瑞鳳이 慶尙監司에게 環城寺를 하양향교의 屬寺로 해줄 것을 청원한 소지(上書)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24년 9월 순사도계문초(巡使道啓文草)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40년 하양유생원정(河陽儒生原情)
1740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하양현유생, 하양현 | 경산 하양향교
1740년 慶尙道 河陽縣의 儒生들이 관내 環城寺에 대해, 永川郡의 臨皐書院이 橫侵하는 것을 막아달라며 河陽縣監에게 올린 原情
-
1751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김윤택, 예조 | 경산 하양향교
慶尙道 永川郡의 臨皐書院이 河陽縣 소재 環城寺를 見奪해가자, 1751년 하양현의 金潤澤이 禮曹에 올린 所志와 소지에 의거해 예조가 踏印해 준 1724년의 禮曹回啓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28년 정월 하양현감보장(河陽縣監報狀)
1728 | 고문서-첩관통보류-첩보 | 정치/행정-보고-첩보 | 하양현,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1728년 정월 慶尙道 河陽縣의 環城寺를 하양향교에 退屬시켜 달라는 하양현 儒生 都萬重 등의 청원에 대해, 河陽縣監이 慶尙道觀察使에게 올린 牒報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41년 8월 하양유생상달장문(河陽儒生上達狀文)
1741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하양현 유생 황윤중 등,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慶尙道 永川郡의 臨皐書院 측이 河陽縣의 環城寺 전답을 據奪해 가자, 1741년 8월 하양현 幼學 黃允中 등이 하양현 관아로 환성사를 退屬시켜 달라며 慶尙監營에 올린 狀文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62년 4월 영천유생의송(永川儒生議送)
1762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영천군 유생 박수성 등,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1762년 4월 慶尙道 永川郡의 儒生들이 河陽縣으로 移屬된 環城寺를 재차 臨皐書院으로 돌려 줄 것을 慶尙道觀察使에게 청원한 議送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71년 태학관통문(太學館通文)
177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성균관, 경주향교 등 | 경산 하양향교
1771년 成均館 儒生들이 臨皐書院 간행 『圃隱集』 수록 圃隱先生年譜의 添註 11자를 刊去하자는 의견으로 慶尙道 소재 주요 鄕校·書院에 보낸 通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