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오년(丙午年) 이선호(李璿鎬)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선호
|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丙午年 9월 10일, 李璿鎬가 全州 柳氏 三山宗家에 있는 어른에게 자기 아들을 가르쳐 줄 것을 당부하는 편지
-
1731년부터 1741년까지 함창향교(咸昌鄕校)에서 작성한 청금록(靑衿錄)
1741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함창향교
| 상주 함창향교
靑衿祿申世城【守鄕甲申】【寧海】蔡之演【潤甫甲申】【仁川】金珽【玉汝丙戌】【商山】蔡光徵【章彦丁亥】【仁川】蔡之疇【錫甫丁亥】【仁川】申命呂【穆以戊子】【平山】申命建【立之戊子】【平山】李檉【惟聖戊子】【月城】金爾運【享叔戊子】【甘泉】李世榮【爾顯己丑】【完山】權佖【敬甫己丑】【花山】蔡恒吉【夢祥己
-
1845년 개정(改正) 1845~1853년 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문경향교(聞慶鄕校) 임원록(任員錄)
1845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 문경향교
| 문경 문경향교
乙巳三月日改正乙巳三月日都有司申仁東掌議李道行齋任成復源四月日都有司申益煥掌議李東陽齋任安恭欽十月日都有司行縣監趙元和齋任金?鉉十二月日掌議鄭文熙齋任琴錫範同月日齋任趙奎增丙午二月日掌議申錫元齋任洪陽燮四月日掌議申匡弼齋任李宅培八月日都有司崔章憲掌議趙相增齋任柳進河十二月日掌議鄭驥文丁未正月日都有司
-
1814년 수정 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문경향교(聞慶鄕校) 1726~1798년 임원록(任員錄)
1814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 문경향교
| 문경 문경향교
甲戌十月日修正任員錄丙午二月日都有司金日昇掌議鄭國樑齋任李重亨丁未二月日掌議金日省齋任李後白六月日掌議鄭國柱八月日都有司李後松掌議金是鉉齋任金日晃戊申二月日都有司閔周彬掌議權希選齋任金南錫己酉八月日掌議鄭國柱齋任申弼楚庚戌二月日都有司張宗閔掌議閔周綱齋任申弼直辛亥二月日都有司李厚亨八月日齋任李重亨壬
-
1884년 비안향교(比安鄕校) 유계안(儒契案)
1884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의성 비안향교
比安鄕校甲申七月十八日舊案儒契案 新案參照座目 甲申七月十八日鄭道欽 丙子 貫一 延日人張基錫 庚辰 聖圭 順天人金洙鎭 辛巳 泗一 淸風人禹熙穆 辛巳 敬緝 丹陽人卞彰燮 壬午 極七 草溪人張在寬 癸未 舜敦 順天人卞顯純 丙戌 周顯 草溪人金起八 丁亥 終玉 善山人朴建鎬 丁酉 斗汝 密陽人甲申
-
1845~1853년 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문경향교(聞慶鄕校) 임원록(任員錄)
1845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 문경향교
| 문경 문경향교
任員錄三月朔乙巳掌議李道行望都有司申仁東四月朔掌議李東陽齋任安恭欽望行縣監趙元和都有司申益煥掌議李東陽五月朔掌議李東陽齋任安恭欽望掌議李東陽六月朔都有司申益煥掌議李東陽望掌議李東陽齋任安恭欽七月朔行縣監趙元和都有司申益煥齋任安恭欽望都有司申益煥掌議李東陽齋任安恭欽八月朔都有司申益煥掌議李東陽望齋任安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69년 하양현보장등서(河陽縣報狀謄書)
1769
| 고문서-첩관통보류-보장
| 정치/행정-보고-보장
| 하양현,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己丑六月二十五日河陽縣報狀謄書爲狀報事節永川郡儒生申協龜等聯名呈議送題音內環城寺元無營吏廳來屬之事云往呈本官處之宜當向事本縣的只敎是乎狀內辭緣段節該圃隱鄭先生書院恩賜敎是在以爲劃給位田畓寺刹則永川之雲浮義興之麟角金山之直指河陽之環城也雲浮麟角直指等三寺自恩賜以後至于今歸屬本院春秋享祀時依受敎服役是乎
-
헌종 10년(1844) 함창에서 작성된 경로소절목(敬老所節目)
1884
|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사회-조직/운영-절목
| 함창향교
| 상주 함창향교
敬老所節目甲辰十二月 日敬老所記事歲在甲辰春鄕有一員來言曰吾鄕即嶺以下規範居最之邑也肆有司馬講學入接之各所而獨於敬老第節曾無設所焉大是欠典願某樣倡施以駿吾鄕之美事何如也哉予憮然勵意而作曰美哉議乎夫敬老者卽事行間長長老老之義也 是以周家有介眉祝嘏之詩孔門有悌長安老之訓至若香山有結社之遊洛濱有耆英之會於
-
1980년 간행 『영천향교교지(永川鄕校校誌)』 수록 1611~1712년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향안(鄕案)
1980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천군 향청
| 영천 영천향교
鄕案僉知李汝起鄕案【共十一號中前校誌四,八九號謄寫甲子三月搜得分一,二,五,六,七,十號,其外三號,十一號遺失今般年代順位自一號更謄】壹號【萬曆三十九年九月十三日檀紀三九四四年(光海三年辛亥創案)僉知李守謙【讓仲】僉知李定國【元老】主簿李守?【仁仲】僉知田時漑【▣之】察訪鄭世雅【和叔】訓正李?【士任
-
병오년(丙午年)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당중, 사동 김씨문중, 리문 이씨문중, 천서 이씨문중
| 경주 옥산서원
回文右回論事 本院享禮以今月十一日丁亥 爲定望須 僉尊趂期賁臨以敦將事之地千萬幸甚沙洞 金氏門中里門 李氏門中川西 李氏門中松谷 李氏門中前谷 孫氏門中杞溪 李氏門中駕川 徐氏門中鳳溪 金氏門中草堤 孫氏門中丙午八月初一日玉山書院齋任李
-
1906년 이면주(李冕宙) 서간(書簡)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면주
|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省地不遠而湖嶺間之便未久而獻發已有日矣尊得無阻悵也謹詢履端靖養起居迓休萬祉阮府經體對序茂膺僉允侍學與歲俱新孫息吟病自來伎倆未知能脫去舊病不至貽憂否跨歲修候之地無恙外有何可問耶査弟服人幔幃移設長位遽虛不但爲流年之感而已旦歸歸之病朝夕亢未爲不可而有時擧首而坐猶憂穉嬌之無襦可笑可悶阿侄尙此不還西奇間絶要之
-
1906년 도산서원(陶山書院) 통고(通告)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도산서원, 동강서원,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東江庫子處除孫氏實紀冊子中此中作文三家不幸近出其忘先背義何代無之聲討踏至而苦不知悔抑未知執拗何由孫氏勝然不省故爲刊附此等人文字大有欠於爲先尊衛之道而不性罔念尊祖反乃侮逼 先正杜撰毁板等字肆然筆之於書是何等悖習得罪斯文惡可曰輕於作家乎謬刊冊子斷不可私布道內而此近所謂情面所受者這這推還玆又投牌 須持告于
-
병오년(丙午年)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당중, 호계 권씨문중, 판교 홍씨문중, 두류 권씨문중
| 경주 옥산서원
回文右回論事 本院享禮以今月十八日丁卯爲定望須 僉尊趂期賁臨以敦將事之地千萬幸甚虎溪 權氏門中▣▣ ▣▣▣中▣▣ ▣▣▣中元堂 ▣▣門中板橋 洪氏門中斗流 權氏門中霞谷 鄭氏門中霞上 李氏門中玉山 李氏門中山垈 李氏門中杏村 李氏門中丙午二月初一日玉山書院齋任李
-
병오년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재임, 호계권씨문중, 양월이씨문중, 육통황씨문중, 원당김씨문중, 두류권씨문중, 하곡정씨문중
| 경주 옥산서원
回文右回諭事 本院 享禮以今月十一日丁亥爲定望須 僉尊趂期賁臨以敦將事之地千萬幸甚虎溪權氏門中楊月李氏門中六通黃氏門中元堂金氏門中板橋洪氏門中斗流權氏門中霞谷鄭氏門中玉山李氏門中山垈李氏門中杏村李氏門中丙午八月初一日玉山書院齋任李
-
1906년 도산서원(陶山書院) 통문(通文)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중철, 이중찬, 이만현, 이만윤, 도산서원,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通諭事嗚呼世級逾下運泊陽九百世之公議浸泯一時之私論橫流種種有斯文之怪變至於孫氏之譸張怪悖而極矣倡說實紀之重刊變幻公案之已決者已爲道內僉斯文覷破良遂則固不必覶縷辯析而所謂重刊實紀之潛布道內也又有鄙院之破板通告然或因爲孫氏情面 而受之或因爲作家顔私而强受▣▣▣▣之公心公見乎且其後孫氏之變亂誣逼愈出
-
1906년 이면주(李冕宙) 서간(書簡)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면주
|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省遜矣不接音信已至三朔有時興言?如飢渴之甚也嘆其脩矣伏諗辰下站養起居萬毖猶庭經體燕超意護允舍長第侍做健勝女孫厚庇之下無恙善度玉抱吾能學步學語者吾能駭笑可提抱者膝前滋況想不涉鮮矣査弟朝無痛楚吟呻之症自然漸至消耗神氣其勢固爾也荊懮依前尸居兒樣餘集?在汨沒中適置陽老査奄忽謝世其言論風致儘今世不易得之人卽又
-
1906년 소수서원(紹修書院) 통문(通文)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소수서원,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莫重且嚴者師門之淵源緖私蔽公者士論之淆漓鄙院近日事一失而答孫氏之通再失而還 貴院之答生等於此雖不敢抗頹辨說而亦豈無徑始一義憣然改圖者乎孫氏之所以疑亂遠通眩暸士林者只據 先生祭文與 大山樑頌而致有此鄙鄕之誤着也今於齊會之席更考其文其頌則剛毅字義方字未足爲淵源之徵而旁啓淵源之句來改以
-
병오년(丙午年) 이선호(李璿鎬)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선호
|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入近慕誦豈比疇昔而伏承 側施卽問感德至意無以仰謝仍伏審菊秋經軆動止萬安替庭筋力無損 子舍僉侍次第淸?區區伏慰且祝之至下生偏慈調將纔遺而所謂彌?尙未釋負從叔連汨湯憂老境凡百極爲切迫兒豚雖云逐日課讀而才質魯下昇日成就猶能有恃而無恐也卽示戒勉寔出眷念敢不書紳而擧世同患之地其何可自脫也是恐恐餘便?姑不備伏惟
-
1906년 영덕 남강서원(南江書院) 답통문(答通文)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남강서원,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答通文右文爲回諭事伏以千古斯文自有正法眼藏百世儒論已輕鐵定公案恭惟我 晦齋先生當吾東文明之會倡設淵源上溯閩洛而無卽師受於當時故列聖朝侑文煥如日星 老先生撰狀炳若丹靑則後之學者當恪守服膺更不敢費舌於其間而今於東江院廟樑頌之變有甚於古之孫氏之春秋祖先于書子孫私改猶不免百世之誚而沒院宇士林?尊之卽樑頌先賢
-
1906년 김헌주(金獻周) 서간(書簡)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헌주, 유만식
|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謹拜謝候狀査兄 服座 下執無心而相忘者任作有心之事非但賣人者深反省自愧者實多每矯首北望爲之悵然而不自已也匪意惠翰投自無何滿幅辭旨滾滾令人面淡赤伏讀再三不忍釋手有如賦梅花得元履書相似其咸戢何可容喩伏惟秋風漸高靜體動止一向康旺子舍僉房善侍篤溫有了視處否院庭候當凉益邵而詩成屋就之示聞甚可賀林泉木石未知形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