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49년 김중우(金重佑) 고신(告身)
1849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헌종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49년 1월, 헌종이 김중우를 통정대부에 임명하는 문서
-
1849년 김중우(金重佑) 고신(告身)
1849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헌종, 김중우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49년 4월, 헌종이 김중우를 절충장군 행 용양위부호군 겸 오위장에 임명하는 문서
-
1849년 김중우(金重佑) 처 정씨(鄭氏) 증직교지(贈職敎旨)
1849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헌종, 정씨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49년 4월, 헌종이 김중우의 처 정씨를 숙부인에 증직하는 문서
-
1856년 김두흠(金斗欽) 고신(告身)
1856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철종, 김두흠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56년 5월 10일, 철종이 김두흠을 통훈대부 행 현풍현감에 임명하는 문서
-
1856년 김두흠(金斗欽) 고신(告身)
1856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철종, 김두흠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56년 5월, 철종이 김두흠을 겸 대구진관현풍병마절제도위에 임명하는 문서
-
1857년 김두흠(金斗欽) 고신(告身)
1857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철종, 김두흠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57년 11월 15일, 철종이 김두흠을 통훈대부 행 사간원정언에 임명하는 문서
-
1862년 김두흠(金斗欽) 고신(告身)
1862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철종, 김두흠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62년 獻納, 철종이 김두흠을 통훈대부 행 사간원헌납에 임명하는 문서
-
1863년 김두흠(金斗欽) 고신(告身)
1863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철종, 김두흠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63년 8월 15일, 철종이 김두흠을 통훈대부 행 사간원사간에 임명하는 문서
-
1864년 김두흠(金斗欽) 고신(告身)
1864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김두흠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64년 12월 27일, 고종이 김두흠을 통훈대부 군자감정에 임명하는 문서
-
1865년 김두흠(金斗欽) 고신(告身)
1865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김두흠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65년 4월 29일, 고종이 김두흠을 통훈대부 행 사헌부집의에 임명하는 문서
-
1866년 김두흠(金斗欽) 고신(告身)
1866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김두흠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66년 4월, 고종이 김두흠을 통정대부에 임명하는 문서
-
1866년 김두흠(金斗欽) 고신(告身)
1866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김두흠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66년 4월 26일, 고종이 김두흠을 통정대부 병조참지에 임명하는 문서
-
1866년 김두흠(金斗欽) 처 박씨(朴氏) 증직교지(贈職敎旨)
1866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박씨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66년 4월, 고종이 김두흠의 처 박씨를 숙부인에 증직하는 문서
-
1870년 김두흠(金斗欽) 고신(告身)
1870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고종, 김두흠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70년 7월, 고종이 김두흠을 절충장군 행 용양위부호군에 임명하는 문서
-
1727년 권두응(權斗應) 서간(書簡)
172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두응, 김낙행
| 안동 천전 의성김씨 제산종택
1727년 11월 24일, 권두응이 상대의 병환에 대한 안부를 묻기 위해 김낙행에게 보낸 편지
-
1877년 유도성(柳道性) 서간(書簡)
187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유도성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877년 12월 16일, 류도성이 연말인사를 전하고 금곡 소수가 출발한 일을 알아보기 위해 보낸 편지
-
1852년 이인량(李寅亮) 서간(書簡)
185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인량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52년(철종 3) 기하(記下) 이인량(李寅亮)이 보낸 서찰로 상대의 시를 판각하여 보낸다고 하였다.
-
1913년 안동군 동후면(東後面) 절강동(浙江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3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안동군청
1913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安東郡東後面浙江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
1829년 황번로(黃磻老) 외 200인 상서(上書)
1829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황번로
기축(己丑)년 8월에 생원(生員) 황번로(黃磻老) 등이 어사[巡相]에게 입재(立齋) 조대윤(趙大胤)에 대한 조정의 특전을 하사하도록 촉구한 호소문이다.
-
생원시 2등 제14인 입격 시권(試卷)
고문서-증빙류-시권
| 정치/행정-과거-시권
생원시 때 요순임금의 덕망과 정치이념을 칭송하여 제출한 과거시험 답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