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99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하첩(通文)
1899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영양군
| 영양 영양향교
1899년 英陽郡守가 齋任名單을 成冊으로 만들어 통보할 것을 지시하는 下帖이다.
-
기미년 영천향교(永川鄕校) 완문(完文)
고문서-증빙류-완문
| 경제-세금-완문
| 영천군
| 영천 영천향교
기미년에 영천군에서 영천향교典祀廳의 수리․보수를 위해 4명의 免講校生에게 禮錢을 받고, 이들을 軍保와 雜役에서 면제한다는 취지로 발급한 完文.
-
무술년 영천향교(永川鄕校) 완문(完文)
고문서-증빙류-완문
| 경제-세금-완문
| 영천군
| 영천 영천향교
무술년에 永川郡에서, 나이가 많은 校生들을 軍役에서 면탈하도록 하라는 내용으로 永川鄕校에 발급해준 完文.
-
갑인년 영천향교(永川鄕校) 완의(完議)
고문서-증빙류-완의
| 사회-조직/운영-완의
| 영천향교
| 영천 영천향교
갑인 년에 永川鄕校에 소속된 奴婢得每가 죽었으므로 그의 두 아들을 팔고 다른 노비를 사겠다는 결정을 永川郡에 알리는 完議
-
갑인년 영천향교(永川鄕校) 완의(完議)
고문서-증빙류-완의
| 사회-조직/운영-완의
| 영천향교
| 영천 영천향교
갑인년에 죽은 永川鄕校 소속의 奴婢得每가 죽었으므로, 남겨진 두 아들을 팔고, 다른 노비를 사겠다는 결정을 永川郡에 알리는 完議
-
1901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통문(通文)
190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영양군
| 영양 영양향교
1901년 11월 12일에 도산서원상덕사에 모셔진 퇴계선생의 위판을 도난당한 사건으로 인해 예안도회에서 영양 영양향교로 통문을 보내 금월 30일에 상주 산양에서 소유를 정할 예정이니 향교의 유생들이 참석할 것을 알려준 것이다.
-
1903년 영양향교(英陽鄕校)통문(通文)
190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조병식, 영양현
| 영양 영양향교
1903년 궁내부 특진관趙秉式이 영양향교(英陽鄕校)에 보낸 통문(通文)
-
1622년 영천향교(永川鄕校) 대성전중수상량문(大成殿重修上梁文)
1622
| 고문서-시문류-상량문
| 경제-토목/건축-상량문
| 정사물
| 영천 영천향교
임진왜란 이후, 재건된 永川鄕校大成殿을 重修할때 작성한 上梁文
-
1838년 영천향교(永川鄕校) 양사재상량문(養士齎上梁文)
1838
| 고문서-시문류-상량문
| 경제-토목/건축-상량문
| 이원흠
| 영천 영천향교
1838년 영천향교의 養士齋를 새로 건축하면서 養士齋新築의 경위를 밝히고 있는 養士齋上梁文.
-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도유사품목(都有司禀目)
1843
| 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 사회-조직/운영-품목
| 청도향교
| 청도 청도향교
1843년 2월, 淸道鄕校의 현황조사를 한 都有司가 工役價의 인상을 건의하고 있는 都有司禀目
-
1897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통고(通告)
189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1897년 영양 영양향교에서 高宗의 還宮을 요구하는 儒疏에 참여할 것을 儒生들에게 호소하는 通告文.
-
영양향교(英陽鄕校) 향교전안(鄕校田案)
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 경제-농/수산업-전답안
|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작성연대를 알 수 없는 英陽鄕校에서 작성한 鄕校田案으로 字號를 비롯한 자호 내 각각의 전답 필지 전반에 관한 것들을 5단으로 나누어 기재해 놓고, 문서말미에 전에도 田畓案이 있었으나 校土에 대한 弊端이 고쳐지지 않아 다시금 새롭게 鄕校田案을 작성한다고 부기해 놓음.
-
1618년 장기향교(長鬐鄕校) 유안(儒案)
1618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장기향교
1618년 장기향교에 소속된 교생들의 儒案
-
1680년 경산향교(慶山鄕校) 경산관유안(慶山官儒案)
1680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경산향교
| 경산 경산향교
1680년 경산향교에서 儒生들의 명단을 기록하고 작성한 慶山官儒案
-
1884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향회시소자전(鄕會時疏資錢) 각문중배록질(各門中排錄秩)
1884
|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경제-회계/금융-치부책
| 영양 영양향교
1884년 영양 영양향교에서 儒疏경비를 위해 모금한 내역을 기록한 鄕會時疏資錢 各門中排錄秩
-
1694년 영양향교(英陽鄕校) 국왕제문(國王祭文)
1694
| 고문서-시문류-제문
| 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이순,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1694년 肅宗이 禮曹佐郞金遇一을 영양 영양향교에 보내어 대독하게 한 國王祭文
-
1724년 하양향교(河陽鄕校) 상서(上書)
1724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박서봉
| 경산 하양향교
1724년 4월, 하양향교의 유생 朴瑞鳳이 慶尙監司에게 環城寺를 하양향교의 屬寺로 해줄 것을 청원한 소지(上書)
-
1724년 하양향교(河陽鄕校) 상서(上書)
1724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박서봉
| 경산 하양향교
1724년 5월, 河陽鄕校의 儒生朴瑞鳳이 慶常監司에게 環城寺를 다시 河陽鄕校의 屬寺로 해 줄 것을 청원한 소지(上書)
-
1854년 영양향교(英陽鄕校) 상서(上書)
1854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정치/행정-보고-청원서
| 조병상, 오종준, 정주묵,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1854년 3월에 英陽 儒生 趙秉常 등이 李晩友와 향교의 토지에 대해 분쟁이 있으니 이를 조정하기 위해 巡察使에게 보고하고 처분을 요청하는 上書
-
1854년 작성된 영양향교(英陽鄕校) 첩정(牒呈)
1854
|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정치/행정-보고-첩정
|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甲寅(1854)년 5월에 英陽鄕校에서 작성한 牒呈으로 禮安에 사는 李晩友와의 校畓爭訟에 대해 향교의 토지임을 증명하는 舊田案을 보내니 이를 근거로 하여 해결을 청하고 이에 현관은 향교의 토지라고 결론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