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37년부터 1651년까지의 선산향교(善山鄕校) 청금록(靑衿錄)
1637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선산향교
| 구미 선산향교
靑衿錄丁丑八月十九日? 吉震龜 時任? 崔斗極? 金鼎燮? 黃道弘? 朴重煥? 宋?? 李友白? 金之約? 宋炯? 金亨燮? 金舜星? 金俊燮? 金士燮? 黃道宗? 田東稷? 呂必聞? 金賢燮? 金徽燮? 朴重圭? 朴成遠? 李挺宇? 金顯基? 金景星? 朴成理 改名成權? 金彦燮? 李晉華? 吉尙
-
1903~1939년 경상북도(慶尙北道) 문경군(聞慶郡) 문경향교(聞慶鄕校) 향교수선록(鄕校修繕錄)
고문서-치부기록류-중수기
| 경제-토목/건축-중수기
| 문경향교
| 문경 문경향교
鄕校修繕錄金永年郡守特題辭內以是皆義非徒嘉尙一以之欽仰當報府褒揚宜乎向事成均館通文右敬通事夫鄕有善俗則褒之人有善行則揚之者所以崇古道而勸後人者也今聞貴郡章甫鄭琪逵孝友操行著於一鄕且於慕聖之地一念到底凡有關於校宮者自當已財前後不怠祭器自備至於七十餘座之多門墻修改位土補築靡不容極其爲有功可謂絶無而僅有也
-
정축년부터 을축년까지 풍기향교(豊基鄕校) 출의안(出義案)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풍기향교
| 영주 풍기향교
出義案郁錦洞? 黃大鎭 平海人? 黃永萬? 黃達鎭黃善周黃永河黃憲? 黃永源黃正鎭黃秉德黃奭鎭黃翼鎭? 金洙學 金寧人黃錫琮 濟安人黃錫璋白洞? 黃在錫 昌原人? 黃在慤? 黃樂成? 黃在燾黃在哲黃炳欽? 黃性欽黃奎欽黃喆夏? 黃在淸黃在河黃在默黃正欽黃洛欽? 黃商欽黃在熙黃命欽金泰永 義城人金震林
-
1603년 선산향교(善山鄕校) 향안(鄕案)
1603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선산향교
| 구미 선산향교
鄕案萬曆三十一年四月十七日鄕案幼學 琴應林提督 高應陟幼學 金九淵許?郡守 李瑀幼學 金?朴思沆參奉 金宗翰幼學 金錫胤縣監 崔山立幼學 高沖雲進士 金復初水使 權晉慶幼學 李惟聖直長 黃錞部長 朴思深幼學 金誠宋光弘生員 崔晛幼學 李廷夔直長 金錫光參奉 金天莫幼學 盧景倫郡守 盧景任幼學 金錫老
-
00년 선산향교(善山鄕校) 향안(鄕案)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선산향교
| 구미 선산향교
작성연대를 알수 없는 선산향교(善山鄕校) 향안(鄕案)
-
1603년 선산향교(善山鄕校) 향안(鄕案)
1603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선산향교
| 구미 선산향교
1603년에 작성된 선산향교 향안
-
1605년 1606년 선산향교(善山鄕校) 합계 향안(鄕案)
1605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선산향교
| 구미 선산향교
1605년과 1606년에 작성된 선산향교(善山鄕校) 2건의 문서를 합계한 향안(鄕案)
-
1607년 함창현(咸昌縣) 향안(鄕案)
1607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함창향교
| 상주 함창향교
1607년에 작성된 경상도 함창현(咸昌縣) 향안(鄕案)
-
1748년 함창현(咸昌縣) 향안(鄕案)
1748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함창향교
| 상주 함창향교
1748년에 작성된 경상도 함창현(咸昌縣) 향안(鄕案)
-
1980년 간행 『영천향교교지(永川鄕校校誌)』 수록 1611~1712년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향안(鄕案)
1980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천군 향청
| 영천 영천향교
1611년부터 1712년까지의 慶尙道 永川郡 역대 鄕案을 엮어 1980년 간행 『永川鄕校校誌』에 수록한 자료
-
고령향약안(高靈鄕約案)
1931
|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정치/행정-조직/운영-절목
| 고령향교
| 고령 고령향교
1931년 재시행된 고령향약의 구체적인 규약을 기록한 문서
-
1724~1767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원록(院錄)
1724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옥동서원
| 상주 옥동서원
1724~1767년 사이 慶尙道 尙州牧 玉洞書院에 입학하였던 236명의 院生 성명을 기록해 놓은 명부
-
1920년부터 1933년까지 비안향교(比安鄕校) 준분록(駿奔錄)
1920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비안향교
| 의성 비안향교
1920년부터 1933년까지 작성된 비안향교의 〈준분록〉으로 향교에서 거행된 각종 제례에 참석한 인원을 기록한 명부
-
1920년부터 1933년까지 비안향교(比安鄕校) 준분록(駿奔錄)
1920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비안향교
| 의성 비안향교
1920년부터 1933년까지 작성된 비안향교의 〈준분록〉으로 향교에서 거행된 각종 제례에 참석한 인원을 기록한 명부
-
달성(達城) 도동서원(道東書院) 소장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 수록 1918년 「도산서원래문(陶山書院來文)」
1918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도동서원, 도산서원, 도동서원
| 대구 도동서원
1918년 慶尙北道 安東郡의 陶山書院 유림이 우리나라 성리학의 道統을 어지럽힌 道統祠 유림을 성토하고자 경상북도 達城郡의 道東書院 유림에게 보낸 통문
-
갑진록이정(甲辰錄釐正)
1727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상주향교
| 상주 상주향교
仙 幼學 趙元經趙復經仙 洪世錫趙允重仙 李元蓍仚 金夢興仙 趙允復姜槿丁未十二月甲辰錄釐正牧使 趙永祿通德郞 姜{木+厚}前參奉 姜楷前縣監 姜必慎前校理 姜必慶前縣監 姜樸進士 姜栒進士 姜碩年通德郞 姜㰒前郡守 趙世垕幼學 洪璄仙 吳尙遠生員 仙 李如沆
-
1980년 간행 『영천향교교지(永川鄕校校誌)』 수록 1611~1712년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향안(鄕案)
1980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천군 향청
| 영천 영천향교
鄕案僉知李汝起鄕案【共十一號中前校誌四,八九號謄寫甲子三月搜得分一,二,五,六,七,十號,其外三號,十一號遺失今般年代順位自一號更謄】壹號【萬曆三十九年九月十三日檀紀三九四四年(光海三年辛亥創案)僉知李守謙【讓仲】僉知李定國【元老】主簿李守?【仁仲】僉知田時漑【▣之】察訪鄭世雅【和叔】訓正李?【士任
-
고령향약안(高靈鄕約案)
1931
|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정치/행정-조직/운영-절목
| 고령향교
| 고령 고령향교
昭和六年辛未七月日高靈鄕約案高靈鄕約第一章約綱一, 道德을 增進함一, 敎育을 ?勵함一, 民俗을 改善함一, 産業을 振興함第一項 道德을 增進함一, 個人의 人格 德性을 涵養하여 品行을 方正히 하야 人格을 養成할 事二, 人子의 道理 父母를 孝奉하야 恩愛를 報答하며 祖先及傍親을 敬慕
-
1906년 도산서원(陶山書院) 통문(通文)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중철, 이중찬, 이만현, 이만윤, 도산서원,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通諭事嗚呼世級逾下運泊陽九百世之公議浸泯一時之私論橫流種種有斯文之怪變至於孫氏之譸張怪悖而極矣倡說實紀之重刊變幻公案之已決者已爲道內僉斯文覷破良遂則固不必覶縷辯析而所謂重刊實紀之潛布道內也又有鄙院之破板通告然或因爲孫氏情面 而受之或因爲作家顔私而强受▣▣▣▣之公心公見乎且其後孫氏之變亂誣逼愈出
-
1917년 안동 병산서원(屛山書院) 통문(通文)
191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중구, 병산서원,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通文 右文爲通諭事伏以吾道之顯晦或有時斯文之闡揚必由人是盖率性之君子修道立敎以(說)後世而或 湮沒而不傳則斯豈非後人之責也惟我 星湖李先生學貫天人文宜黼黻而未克施爲於世捲懷林樊 立言著書以惠後學其有切於斯文不啻昏衢之日星而士氣萎恭淸議不振藏棄巾行迄今數百 年之久吾黨齎鬱均抱未伸之恨何幸壽傳之論繼發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