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34년(순조 34)부터 1920년 까지 용궁향교(龍宮鄕校)에서 작성한 청금록(靑衿錄)
1834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함창향교
| 예천 용궁향교
甲午十一月日都有司幼學行縣監金啓灃掌議安挺確齋任安挺馹高夢賢掌議李尙豹乙未正月日掌議鄭昌德都有司幼學生員李武龍掌議鄭昌德齋任高夢賢三月日安挺馹都有司幼學李章五掌議鄭昌德齋任高夢賢四月日都有司幼學尹汝頊掌議鄭昌德齋任高夢賢七月日都有司幼學尹汝頊掌議權麟孚齋任高夢賢尹光璨八月日都有司幼學尹汝頊掌議權麟孚
-
1902년(광무 6) 작성한 용궁향교(龍宮鄕校) 전답안(田畓案)
1902
| 고문서-치부기록류-부조기
| 경제-회계/금융-부조기
| 함창향교
| 예천 용궁향교
校土田畓査正案壬寅九月日校土田畓査正案新邑初漁川員北君字五北犯直畓 東西長八十七尺 南北廣十四尺 六負七束三夜味貳斗伍升落四北犯裁直畓 東西長十八尺 南北廣四尺 一負五束伍升落 作權文建北非字五十九西犯直畓 東西長六十八尺 南北廣三十八尺 十一負七束一夜味肆斗落作李德祚北陰字十一南犯直畓 東西廣十七
-
1898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사림(士林) 첩문(帖文)
1898
| 고문서-첩관통보류-첩보
| 정치/행정-보고-첩보
| 옥산서원 사림, 경주군수
| 경주 옥산서원
郡守爲相考事正朝歲 謁堂中圈出斗流權有司旣僉鄕論亦合官意春 享在迫有司行公必無異議今番 享禮官亦晉參向事合下仰照驗施行須至帖者右下玉山書院士林 準此戊戌正月 日郡守
-
달성(達城) 도동서원(道東書院) 소장 『각처통문등초(各處通文謄草)』 제1(第一) 수록 1918년 「도산서원래문(陶山書院來文)」
1918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도동서원, 도산서원, 도동서원
| 대구 도동서원
一陶山書院來文【參奉李中轍郡守李中喆進士金?參奉李昶鎬】右通諭事伏以後學而崇報聖師子孫而尊慕先祖是固人情之所必至者而其或崇報而禮有所未至尊慕而事有所過當則不但尊之者有猥越之罪而未安之譏反歸於所尊之地可不戒哉可不懼哉生等近聞一方士林創立夫子祠于晉州配以朱先生而幷及晦軒安文成公名之曰道統祠云當此正學寥寥
-
1897년 대구향교(大邱鄕校) 통문(通文)
189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대구향교, 성주향교, 모연재, 월천재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禮記大經也。至兩漢而有傳會之譏。昌黎大家也。纔一傳而有銀根之誚。所以人家之印布文字也。十分審愼。一以傳信爲例者也。今此大浦之刊行先集也。賢孫之裒稡必誠主座。而勘整必愼。可無傳會銀根之失矣。厥或前輩文字措辭稱爲之間。慮有傳寫之誤監印之失。則通諭而卞之。本稿而證之。何患無道理之得
-
1908년 영천군(永川郡) 하첩(下帖)
1908
| 고문서-첩관통보류-관
| 정치/행정-명령-관
| 영천군, 향교
| 성주 초전 벽진이씨 명암고택
郡守爲下帖事。本郡鄕校田畓及三日齋接所畓。與各面里營堂及洞契畓。一一査報之意。學部與上道訓飭非止一再。然第觀隣邑形止矣。隨聞各郡一規皆然。催訓踵至。故玆以帖諭。校宮所有田畓。從實修成冊馳報。無至生梗之地幸甚爲遣。合下仰照驗施行須至帖者。右下校宮。準此。此亦中。學校錢。自鄕中發論已久。尙無實效云亦。卽
-
○○년 영천군(永川郡) 전령(傳令)
고문서-첩관통보류-관
| 정치/행정-명령-관
| 이태일, 영천군
| 성주 초전 벽진이씨 명암고택
鄕校直員任大夷重。不可經遞哛除。本員之呈單裏由未知緣何。而郡守遞歸前。斷不可許施事。單子封還事。六五日。城主[印]
-
1909년 영천군(永川郡) 하첩(下帖)
1909
| 고문서-첩관통보류-관
| 정치/행정-명령-관
| 이태일, 영천군
| 성주 초전 벽진이씨 명암고택
郡守爲帖諭事。貴職之受牒。迨近三朔。尙未赴任。不幹事務。事體所在。寧容若是。不覺慨歎。玆以帖諭。到卽來臨于校宮之地。合下仰照驗施行須至帖者。右下帖鄕校直員。隆熙三年六月十六日。郡守[印]
-
1581년 정사성(鄭士誠) 향약(鄕約)
1581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정사성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鄕約易曰辨上下定民志上下之辨名分之所以立民志之所由定也四民惟士農工商而中國則立賢無方不問其類之所自出蓋國俗然也我國則區而別之者其來已久百里不同風又何必强而同之邪吾鄕在乙未前雖淸門士族結昏之際或惟視田民之多寡財產之貧富不擇族系之所自出門戶之高下而相爲聯結者比比有之其弊風陋矣前郡守李股痛憤此弊一時剗剔雖
-
北道面魯洞里上任爲牒事本里士人金英淑妻李氏以天賦之誠孝善養其舅遠近大少之欽艶興嘆者推年久事親以孝人子常職何可一〃煩瀆而苟有卓絶之異蹟不容不仰是齊李氏侍父金學俊往在十五年前偶患勞病頓無差效將至危谻藥云若非獐肉莫能救藥李氏呼泣禱天山獐夜到仍以炊飯之木畧打俛首之獐取以用藥竟得回甦病除軆完如是十年之後又患痰
-
1908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첩유(帖諭)
1908
| 고문서-첩관통보류-통유
| 정치/행정-명령-통유
| 이기, 이태영
| 경주 경주향교
帖諭卽到付 觀察使公函內開敬啓者禮安郡陶山 退溪李先生祠宇重建助役捐義金募集趣旨書一度送呈오니照亮시고境內有志人士의게도亦爲一軆諒悉케하심을敬要이신바玆에翻帖며該趣旨書亦爲翻謄粘後니須即輪示各門야俾各諒悉케할사隆熙二年四月十五日 郡守李 琦鄕校掌議李泰榮 座
-
1909년 경주군에서 내린 제153호 훈령
1909
| 고문서-첩관통보류-훈령
| 정치/행정-명령-훈령
| 영정취삼, 이정구
| 경주 경주향교
隆熙三年十一月二十三日郡守署理郡主事永井就三[印]鄕校直員李正久 座下鄕校財産引繼에関件現到道第二七五号訓令內開에鄕校財産引繼을財務署에셔郡守의게要求事實로該財産所屬에関야各道에셔學部로交涉事가有바右學部어셔 度支部에交涉結果로鄕校財産을國有에篇入된者가아니오從來와如히鄕校所屬의財産으
-
1908년 경주군수가 경주향교에 내린 첩유(帖諭)
1908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이기, 이정구
| 경주 경주향교
帖諭昔者子雲이讀史曰不有遺編이면無以記古人이라고王儉이選史曰諸子志라야以記古今諸子니是는尙友古人也라故로本郡之有東京誌가乃是東都一卽史記也라歷自羅麗로庙我聖朝히 邦國之興替寶鑑이며 諸家之祖先傳集이 莫不章〃可換즉可謂前人之述이備矣라實合寶而蔵之▣刊而穡之어늘十叛年來로 改府爲郡에 百度减省
-
1908년 경주향교 첩유(帖諭)
1908
| 고문서-첩관통보류-통유
| 정치/행정-명령-통유
| 복강충일, 이기, 이태영, 경주군,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帖諭卽接財務署主事福崗忠一의面話즉謂有依賴調査事이다이고袖示財務監督局長訓示一度인바其金文內開에其管內公私學校의經費에鄕校田鄕屯院屯學校位田屯齋屯贍學庫養士庫와其他田畓에生收入又는雜稅者或于敎科等과如收入으로以야支辦이不小故로右를調査必要인즉自來로公私學校의經費에充用과又講學을目的
-
1908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첩유(帖諭)
1908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이기, 이정구
| 경주 경주향교
帖諭道訓令第一四四八號를奉准즉內開에卽到付學部訓令內開現에內部照會를接査즉內開에各地方鄕校當初建設主旨가養士興學을專爲인즉其性質이單純學校와同은勿論이거늘挽近以來로地方官憲이事務區分에未詳야鄕校에關事項을弊部에誤報弊가每多오니現今刷新時代를當야各自擔去事務를明確히區
-
1910년 경주군(慶州郡) 446호 통첩(通牒)
1910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훈령
| 이정구,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四四六號隆熙四年六月九日 慶州郡守鄕校直員李正久 座下 太極敎宗財産에 關件太極敎宗의付屬財産上管理에對야別紙와如道書記官通牒이現着얏기謄本粘付야玆에通知니注意遵行거믈爲要右通牒홈隆熙四年五月二十三日 慶尙北道書記官慶州郡守太極敎宗의事業이往往히新敎育의普及을
-
1909년 경주향교 첩유(帖諭)
1909
| 고문서-첩관통보류-통유
| 정치/행정-명령-통유
| 이기, 경주군,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帖諭第五八号大邱協成學校剙建以來로孰不無贊成之美而永遠히維持기爲야道下各郡이捐金輔助고觀察使閤下께압서且有申勤面諭이온바以本郡鄕中으로言之즉五十円請助가元非夥然之額이어늘尙無區劃야該校公函이至有存到니其曰補助之地에以不可遷延打過이게玆庸帖諭니贊校的思想으로受議於一鄕士林야該金額五十円
-
한말(韓末) 간행 경상도 밀양 지역 향헌(鄕憲)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鄕憲歲丙午三月十六日余以校長參拜于山花李先生奉安之廟翌日李斯文鍾潤言吾鄕古鄕憲冊一卷在南山故謄來云余時忙還不即奉覽矣其後一望餘托惠於就明之行故編錄于戊子鄕約之上以見吾鄕古君子世守鄕憲之槩云爾鄕社堂座目○密陽大提學朴允文大提學朴宜中【號貞齋諡文敬】領議政朴仲美左議政朴翊【號松隱諡文肅】大司成朴文彬【號
-
1940년 간행 창녕향안증주(昌寧鄕案增註)
1940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昌寧鄕案增註序夫子作春秋游夏之徒不敢贊一辭然至若重大文籍未得曉人耳目則付之束閣可乎此昌寧鄕案之所以有增註也竊伏念是案也承朝家之盛典作士族之懿範原其意非特閔時病俗也士氣頹弊鄕綱不正使民類將漸於夷虜魑魅之域故坦定朝鮮大同之重法盖取諸在昔少昊之衰九黎亂德民神雜糅不可方物司天屬神司地屬民使無相侵瀆者也語其規
-
1980년 거창 거창향교(居昌鄕校) 간행 거창향안(居昌鄕案)
1980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거창 거창향교
| 거창 거창향교
>居昌鄕案全嗚呼鄕之有錄尙矣京鄕異制慶閥之居于鄕者莫不各立鄕舍世錄其名豈非鄕飮與鄕射之制乎箕封八路中文物鄒魯莫如我嶺表而最雄者吾鄕故每於春秋明酒講義有補風敎信乎可觀者多也世代旣遠難以稽古姑據其見在者言之愼爲始書盖以土姓而然也于後名門甲族之來于是土者亦隨以錄而數百年來祖先名籍儘在鉄券矣不幸丁酉火于世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