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55년 생원(生員) 이현(李垷) 등 상서(上書)
1655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이현, 경상좌병영
| 경주 옥산서원
乙未九月日生員李垷等上書于 兵相國閤下伏以玉山書院乃 晦齋李先生奉安之地而 宣廟賜額之院也院之一里許有古刹曰定惠寺也是先生遊賞讀書之處而 先生手書筆迹至今宛然於窓壁間 先生之文集求仁錄九經衍義及諸子集鋟梓之板藏置於寺中而使僧典守之故自前使相之過是邑者莫不有完文杜護之凡諸各衙門雜役一切蠲減之使數三殘僧
-
乙未九月日生員李垷等上書于 兵相國閤下伏以玉山書院乃 晦齋李先生奉安之地而 宣廟賜額之院也院之一里許有古刹曰定惠寺也是先生遊賞讀書之處而 先生手書筆迹至今宛然於窓壁間 先生之文集求仁錄九經衍義及諸子集鋟梓之板藏置於寺中而使僧典守之故自前使相之過是邑者莫不有完文杜護之凡諸各衙門雜役一切蠲減之使數三殘僧
-
1842년 봉정회중(鳳停會中) 통문(通文)
184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유철조, 이언순, 정지락, 권재옥, 김조수,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我 老先生遺集重刊之役 實係斯文顯晦之數也 有非人謀所及 然軆先輩廣敎之意 爲後學嘉惠之地者 亦豈非吾黨之責乎 嚮於丁酉之春 始敦此議業 已奉告於道內 僉君子矣 尙未得一言之敎 未知地步 相間事 故有所蹭蹬而然歟 抑以始事無期 有不得奮發而然歟 四五年間 自安禮近邑 定所於花西
-
향안(鄕案)
1602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고령향교
| 고령 고령향교
고령현(高靈縣)에서 작성된 1602년부터 1620년까지의 향원(鄕員) 명단
-
정묘가록(丁卯加錄)
1747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상주향교
| 상주 상주향교
1747년 상주목에서 작성된 향안
-
고령향안(高靈鄕案)
1896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고령향교
| 고령 고령향교
고령현(高靈縣)에서 작성된 1623년부터 1769년까지의 향원(鄕員) 명단
-
1906년 소수서원(紹修書院) 통문(通文)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소수서원,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莫重且嚴者師門之淵源緖私蔽公者士論之淆漓鄙院近日事一失而答孫氏之通再失而還 貴院之答生等於此雖不敢抗頹辨說而亦豈無徑始一義憣然改圖者乎孫氏之所以疑亂遠通眩暸士林者只據 先生祭文與 大山樑頌而致有此鄙鄕之誤着也今於齊會之席更考其文其頌則剛毅字義方字未足爲淵源之徵而旁啓淵源之句來改以
-
1763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유생(儒生) 이관국(李觀國) 등 상서(上書)
1763
|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 국왕/왕실-보고-상서
| 이정훈, 옥산서원 유생, 경주부윤
| 경주 옥산서원
玉山書院儒生李觀國等謹再拜上書于城主閤下伏以今此書院所屬疤定之擧乃是前來未有之事而學宮之興廢是係章甫之憫迫尤切則齊聲仰曝不可但已玆因正參大會陳情仰訴於 右文明政之下伏惟閤下垂察焉本院創建在於隆慶壬申前後數百餘年之間 朝家象賢(之意)搢紳尊道之誠靡不用極土田臧獲之外劃給良丁以爲士子捿息講習之資用其餘按
-
1839년 경주(慶州)사림(士林) 상서(上書)
1839
|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 국왕/왕실-보고-상서
| 이연상, 경주사림, 경주부윤
| 경주 옥산서원
慶州士林幼學孫永祿韓公翼崔元復等謹齋沐上書于城主閤下伏以院者庠序之遺也庠序隆替斯文之興喪係焉本鄕玉山書院火變顚末已悉於本院士林文報而至蒙傷痛報 營之 題旣有以仰見尊賢衛道吊災哀禬之摯意矣 先正妥靈之所多士講學之地盖三百年於玆而一朝灰燼此莫非本州爲士者不謹典守之責而使本院營建盡出於士林之經劃猶自惶蹙之
-
1871년 의성도회중(義城道會中) 통문(通文)
187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도화, 의성도회중, 경주교원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祠院之厄至于今日而極矣吾黨痛鬱之情夫豈有遠邇之間哉盖自戊辰 令甲以後卽有瀝血叫 閽之議而閱歲徊徨尙未遂袒胸之擧則今此 額院之幷撤豈不由於吾林玩愒之所以自召者乎生等於是乎知其罪矣旣往之悔雖曰勿諫來者之追庶幾可圖故約束同志更申前論一以效爲先師致死之誠一以爲扶元氣報國之道而今幸闔道齊聲
-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斯文重地不可任一家白廢道內大擧不可使一儒不參玆庸廣告之典敢冀同聲之義恭惟我玉山書院卽海東俎豆之首嶠南衣冠之會先賢建規已經三百年遵守本鄕講會亦爲七十州矜式遠近章甫孰不延頸接武以爲齋誠依仰之地哉近因事變出於玉李輩非分之覬斥逐儒林沮敗院規讐視嫡宗扶曳冠裳求仁堂上奉踢不息亦樂門外絃誦文絶
-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祠院之厄至于今日而極矣吾黨痛鬱之情夫豈有遠邇之間哉盖自戊辰 令甲以後卽有瀝血叫 閽之議而閱歲徊徨尙未遂袒胸之擧則今此 額院之幷撤豈不由於吾林玩愒之所以自召者乎生等於是乎知其罪矣旣往之悔雖曰勿諫來者之追庶幾可圖故約束同志更申前論一以效爲先師致死之誠一以爲扶元氣報國之道而今幸闔道齊聲
-
1845년 대구도회소(大邱道會所) 통문(通文)
184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권택하, 대구도회소, 경주진 각읍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斯文重地不可任一家白廢道內大擧不可使一儒不參玆庸廣告之典敢冀同聲之義恭惟我玉山書院卽海東俎豆之首嶠南衣冠之會先賢建規已經三百年遵守本鄕講會亦爲七十州矜式遠近章甫孰不延頸接武以爲齋誠依仰之地哉近因事變出於玉李輩非分之覬斥逐儒林沮敗院規讐視嫡宗扶曳冠裳求仁堂上奉踢不息亦樂門外絃誦文絶
-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 額院撤享之 命降自 宸嚴而營關府帖次第到付凡在衿紳之列者擧皆驚惶怵惕五內煎熱莫知所言夫 國家政令固非草野韋布之所敢容啄而至若學宮興廢之機則係是儒林管攝之事吾黨之士雖欲無言其可得乎盖自三代以來王宮國都以及閭巷莫不有學而我東書院之設其名雖殊其實則閭巷建學之遺意也一賢俎豆之所其設雖疊
-
1871년 안동도회소(安東道會所) 통문(通文)
187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수익, 안동도회소, 경주진 각읍교원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 額院撤享之 命降自 宸嚴而營關府帖次第到付凡在衿紳之列者擧皆驚惶怵惕五內煎熱莫知所言夫 國家政令固非草野韋布之所敢容啄而至若學宮興廢之機則係是儒林管攝之事吾黨之士雖欲無言其可得乎盖自三代以來王宮國都以及閭巷莫不有學而我東書院之設其名雖殊其實則閭巷建學之遺意也一賢俎豆之所其設雖疊
-
1795년 조운도(趙運道) 외 1인 서간(書簡)
179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운도, 조술도, 이우열
| 영양 주곡 한양조씨 옥천종택
李生員 朞服前。 答狀上。 生式封。生式。自聞遭切戚。亟欲一書致慰。而年來老嬾相仍。久廢筆硏。兄不較此。先施辱貺。感荷之餘。愧恧實深。因審淸和。春府尊丈寢噉。不以年歲。有所大損。定餘服履。亦自診毖。舍妹曁群侄。皆依遣。是庸區區嚮慰。向來寃慘。更何忍提起耶。弟。比者衰病轉甚。杜門伏枕。以度時日。又此
-
대구광역시 옻골마을 부인동지(夫仁洞誌)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부인동 동약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正宗大王癸卯二月傳曰嶺南山川風氣之美最於八路重以二三先正倡道興學名賢之輩出俗土之敦厚良有以也近來人才雖不逮古其中讀書之人皆能步趍端詳言貌恭謹不問可知爲嶺南儒士云豈非遺風尙存經誦不衰故耶予欲拔其尤以用之特患未之知也聞前嶺伯言前主簿崔興遠不但有行誼洞有先公恤貧之庫隣里不知有常賦仍鄕約勸課云旣聞之後豈可不
-
1601년 경주향교 학령(學令)
1601
|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교육/문화-서원/향교-절목
| 황준량, 손기양,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學令學令一每月朔望敎官率諸生具冠帶詣廟庭謁聖行四拜禮一每日教官講堂諸生請行揖禮鼓一聲諸生以次入庭中心爲頭向教官立行揖禮訖各就齋前相對揖遂就齋次儒生詣教官前請行日講東西齋各抽一二人講所讀書粗及不通者差等罰楚幷通略置簿鼓二聲諸生各執所讀書詣教官先將前授論難辨疑後承新授不務多要須硏精如或對卷昏睡不留意承訓
-
이굉(李浤)이 만든 진솔회(眞率會)의 좌목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굉, 권철경
| 봉화 유곡 안동권씨 충재종택
眞率會留守 李浤佐郞 李洺縣監 鄭元老縣監 金永銓奉事 金允禹忠義 朴䃞習讀 權士英生員 權士彬上將 權哲從進士 權哲經內禁 具仁貞副正 鄭希周進士 權叔均進士 南八俊忠順 南敬智留守李公側室子孝側爲記眞率會於留守碑陰其文曰先君與某某等結眞率會乃友鄕稧子孫也予以窮甚其後窮亦明矣何能護1004松楸要與
-
경인년(庚寅年)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임장, 손윤구, 남홍양
| 경주 경주향교
進士任槳幼學孫綸九生員南鴻陽等謹再拜上書于城主大監閣下伏以徇節蹈烈士▣▣之所難而凡有秉彛者其不凜然起欽愕然興嗟古今之所同賢愚之無間者也民等因 聖殿還安之期聲會于校中時則士林成藪靑衿聯衽數百其麗而聞鄕人韓揆範妻李氏死於烈節之報無老少無遠近擧皆酸鼻嘖舌至於呑聲出涕則豈非秉彛之惻隱所同而無間者耶士論峻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