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99년 8월 24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초기(草記)6
1799
| 고문서-소차계장류-초기
| 국왕/왕실-보고-초기
| 정조, 병조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日省錄]同[李魯春。以]兵曹[言]啓曰。義禁府啓目。驪州前牧使申獻朝原情判付內。伊日雲捲天。萬里秋毫。可數兺不喩。治道如砥。蹕路塵淸。與牛眠川以東廣州地方。不可同日而語。則其所謂塵埃蔽目云者。雖未可曉。而又以數十行五馬隊突過之際爲證。則先廂馬軍陣之不在導駕之後。亦可推知。其委折。令兵判嚴査馬兵將領
-
상주향교(尙州鄕校) 준분록(駿奔錄)
1620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상주 상주향교
1620년에서 1625년 까지 작성된 상주향교 준분록
-
을해년 예안향교(禮安鄕校) 향교서책치부(鄕校書冊置簿)
1824
|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경제-회계/금융-치부책
| 예안향교
| 안동 예안향교
乙亥年부터 기록되기 시작하여 癸巳, 庚申에 걸쳐 작성한 禮安鄕校가 갖추고 있는 서책의 출납을 기록한 鄕校書冊置簿이다.
-
1855년 예안향교(禮安鄕校) 향교강회일기(鄕校講會日記)
1855
| 고문서-치부기록류-일기
| 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예안향교
| 안동 예안향교
乙卯년(1855) 3월 초 3일의 禮安縣監 權宅夏가 강학한 사정을 기록한 향교강회일기이다.
-
1623년 경상도(慶尙道) 비안현(比安縣) 향안(鄕案)
1623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鄕案品官座目【天啓三年十月日修正】學諭鄭輝參奉朴昌年部將金元俊訓導金亨俊訓導禹弘綏縣令宋琚兵曹正郞鄭景祐部將鄭延祐察訪張文瑞部將卞瑠主簿卞璃忠順衛鄭霖部將金善復幼學金禮昌參奉朴駿禎幼學宋琦金仁復金義復直長金禮復幼學李昌國權大智朴忠一進士李仲陽幼學林希雨林汝雨周胤昌卞世琪引儀禹弘緖金纘叔僉知朴稢生員李
-
1862년 도산서원(陶山書院) 통문(通文)
186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진하, 이효순, 이휘재, 안행준, 도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鄙等之與烏川交惡子于今三十八年矣原其所爭非出於帶氣務勝之而則是非之根於理者何嘗一日休歇而顧以歲月浸久不必長事呶呶且念事起之初急於推喆而氣或傷於激惱審語分疏而言或沙於張皇致令岸上公眼不得折裏於扶抑之間又或疑其論議之有所參錯同 謚之有些猜滅而往往視之私鬨鄙等誠不敢曰每事盡善然尙不?無
-
1905년 도산서원(陶山書院)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만윤, 이만창, 이현섭, 이중식, 도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陶山 通文禮安右文爲通諭事伏以公議所在不容私意義理所關不可無卞鄙鄕之乙巳聯章屢而不一無復餘蘊此非一鄕之私言乃一道之公議也今者伏承 尊諭則貴鄕孫氏重刊 景節公實紀而多有曲折更以淵源字起閙於兩門之間起閙於兩門則却是起閙於道內者未知孫氏有何所據而復友此擧也耶凡其未安之意難愼之義今不必更事覼縷而鄙等之所遵守
-
상주향교(尙州鄕校) 준분록(駿奔錄)
1620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상주 상주향교
庚申四月二十日告由進士趙光望生員趙基遠曹希仁進士李大圭幼學趙▣▣辛洙 掌議李身圭金珩金堡 有司金銑 掌議鄭憲世趙光臺李尙馦丘景濬 有司韓克昌朴?申嶠韓克禮河晉瀛李德圭庚申秋 亭行牧使 金止男提督官 李汝馪 金遠振卞{日+昱}曹希仁朴永鎭李大圭康用侯金濤趙光瑬柳潪金堡 有司卞球李?韓克正趙丞遠趙光
-
1951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향안(鄕案)
1951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신녕향교
| 영천 신녕향교
鄕校保管鄕案新寧鄕案序今鄕有案何哉時在亂中鄕人皆曰聖廟不可闕享蓋出於秉彛之性而豈他邑之所可及哉表誠者物也以物定先後別其門題之曰鄕案是役也權兄寧滿氏之一言動得衆心及竣其事不其難乎觀此可以試推人心反古之漸也遂感而置略言于卷首辛卯六月初庚日英陽金秉鉉序規例一古禮에上自天子之子로下至凡民之秀히皆入大學하야各
-
정해(丁亥 1707)년 안동(安東) 향록(鄕錄)
1707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안동향교
丁亥正月日鄕錄座首參判 洪萬朝 乙酉知府 李萬元 辛卯護軍 李世華 丙寅學生 張鐡堅學生 鄭宣輔通德郞 金啓昌 丁卯學生 李玭通德郞 李國苾護軍 金履基 戊辰縣監 張璶學生 金垶學生 李由基通禮 金夏世 庚午學生 辛碩煥 辛未學生 金承瑞 壬申從仕郞 金鼎基學生 權洽通德郞 金邦照 癸酉生員 金楷將
-
1855년 예안향교(禮安鄕校) 향교강회일기(鄕校講會日記)
1855
| 고문서-치부기록류-일기
| 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예안향교
| 안동 예안향교
鄕校講會日記乙卯三月初三日校院者爲講學而設也春絃夏誦日考月試雖有古制近來風(?)漸下敎法寢(?)有志之士慨然於斯今我城主閤下下車來久蜀(?)學改勸諭一邑使面里儒生月朔考講因受姓名成冊以觀勤慢此非但爲一時文具而己乃是振作(?)起以爲復古之漸甚 盛意也今月初三日(?)召面里諸生各以三餘所(?)來會校中
-
1905년 도산서원(陶山書院) 회중(會中)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만현, 이만윤, 이중두, 도산서원 회중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告事 先師退陶先生墓道改碣祭 告在今十月十一日巳時 伏願僉尊濟濟賁臨共敦斯門大事幸甚右文通玉山書院乙巳八月初一日陶山書院會中 幼學 李燦和金輝璟李晩喆通政李晩鉉前牧使李晩胤前承旨李中斗李晩燾 幼學李中稷金性敎琴鼎基李昺淵金鳳相朴來鳳金達源前參奉李中轍幼學李中祐吳建永李晩瑗前正言李中彦幼學
-
1599년까지 작성된 풍기향안(豊基鄕案)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 풍기향교
| 영주 풍기향교
豊基鄕案先生案知事 李賢輔左贊成 黃士祐郡守 金學曾安公信縣監 秦淵牧使 黃俊良同知 黃應奎領相 柳永慶前承旨 黃暹前牧使 黃曙行府使 金九鼎前郡守 黃是權知正字 秦冥鴻前修撰 金光燁黃尙謙權斗南朴瑨座目進士 安應箕內禁衛 安公健參奉 黃彦良生員 黃得謙幼學 黃潤奎僉知 安衛幼學 李弘基僉知 南忠宗
-
1577년부터 1759년까지 작성된 풍기향안(豊基鄕案)
1577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 풍기향교
| 영주 풍기향교
豊基鄕案先生知事 李賢輔 棐仲左成 黃士祐 國輔郡守 金學曾 士確安公信 大孚直講 秦淵 彦默牧使 黃俊良 仲擧同知 黃應奎 仲文領相 柳永慶 善餘參判 黃暹 景明參議 黃曙 光遠府使 金九鼎 景鎭承旨 黃是 是之正字 秦冥鴻 而遠應敎 金光燁 而晦佐郞 黃有中 中正承旨 朴守緖 敬承監察 秦尙弘
-
고유사실록(告由事實錄)
1878
|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교육/문화-서원/향교-절목
| 상주향교
| 상주 상주향교
告由事實錄大凡二丁之 享禮萬世之大經也昭彰之洽肹蠁之未時也順也而若値國恤則 因山前 享事未行之意前一日告由於聖廟卽一經禮也今秋 丁享以國恤廞衛以前 享事未行之意方行告由之禮稟白 時牧伯都有司朴公憲陽議定告由之節文 牧伯丈以禮義家庭之儀範修成告由之節文薦請鄕員中西南幾人則執禮之任以告由不當作牌禮吏轉聞
-
갑술(甲戌)년 선산향교(善山鄕校) 문과안(文科案)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선산향교
| 구미 선산향교
前朝文科金澍 官禮曹判書 號籠岩 臨江寄朝服 入享月岩書院吉再 官注書 號冶隱 種竹 御賜田 謚忠節公 入享金烏書院本朝文科河緯地 壯元 官司諫 號丹溪 入享月岩書院 參死六臣李孟專 丁未 官正言 號耕隱 入享月岩書院 參生六臣金淑滋 己亥 官司藝 號江湖 入享洛峯書院金宗直 己卯 官刑曹判書 號?
-
1637년부터 1651년까지의 선산향교(善山鄕校) 청금록(靑衿錄)
1637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선산향교
| 구미 선산향교
靑衿錄丁丑八月十九日? 吉震龜 時任? 崔斗極? 金鼎燮? 黃道弘? 朴重煥? 宋?? 李友白? 金之約? 宋炯? 金亨燮? 金舜星? 金俊燮? 金士燮? 黃道宗? 田東稷? 呂必聞? 金賢燮? 金徽燮? 朴重圭? 朴成遠? 李挺宇? 金顯基? 金景星? 朴成理 改名成權? 金彦燮? 李晉華? 吉尙
-
향약절목(鄕約節目)
1835
|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정치/행정-조직/운영-절목
| 상주향교
| 상주 상주향교
1835년 상주에서 작성된 향촌규약
-
고유사실록(告由事實錄)
1878
|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교육/문화-서원/향교-절목
| 상주향교
| 상주 상주향교
1878년과 1890년 당시 고유제 시행의 전말을 기록한 고유사실록
-
상주향교(商州鄕校) 분향록(焚香錄)
1697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상주향교
| 상주 상주향교
1697년부터 1698년까지 상주향교의 삭망제를 주관한 교임 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