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99년 8월 6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정사(政事)5
1799
|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사회-역사-역사기록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日省錄]己未八月初六日承旨前望單子入之。李益運金達淳落點。行左李行右金左副鄭右副尹同副沈[•]吏曹 佐郞尹在陽
-
1799년 8월 6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정사(政事)1
1799
|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사회-역사-역사기록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日省錄]己未八月初六日承旨前望單子入之。閔台爀沈象奎李東稷。落點。行都閔左鄭右尹左副李右副沈同副李[•]吏曹 佐郞尹在陽
-
한말(韓末) 간행 경상도 밀양 지역 향헌(鄕憲)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韓末 慶尙道密陽 지역의 鄕案 운영관련 규정 및 17세기 鄕案 入錄時 可否 상황을 기록한 것과 『邑誌』 소재 人物 및 亭閣 자료를 엮어 간행한 자료
-
1618년 경상도 의령현 의령향안(宜寧鄕案)
1618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의령 의령향교
1618년 경상도의령현에서 만들어진 重修鄕案으로 1618년 이전 입록자 83명, 1618년 당대의 입록자 42명, 1620년 추가 입록자 9명, 기타 추가 입록자 3명 등 모두 137명에 이르는 鄕員을 수록
-
1835년 상주(尙州) 도남서원(道南書院) 통문(通文)
183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강굉흠, 이정환, 권세영, 도남서원
| 경주 옥산서원
1835년 道南書院에서 玉山書院과 臨皐書院으로 10월 22일에 있는 愚伏의 位版奉安禮에 참석해 주길 요청하는 通文
-
1896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진보군(眞寶郡) 진보향교(眞寶鄕校) 체임록(遞任錄)
1896
| 고서-기타
|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 진보향교
| 청송 진보향교
1836년부터 1902년까지 慶尙北道 진보군(眞寶郡) 소재 眞寶鄕校의 校任으로 활약했던 인사들의 명단과 교체 연월을 기록한 서책.
-
1840년 하양교원(河陽校院) 답통문(答通文)
1840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하양향교
| 경주 옥산서원
1840년에 河陽鄕校와 琴湖書院에서 錢文 10兩을 助物로 玉山書院에 보낸다는 答通文
-
1717년 경주(慶州) 옥산서원(玉山書院) 도회제명록(道會題名錄)
171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717년 8월의 肅宗聽政反對疏의 捧入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를 성토하고 疏首와 疏色 등의 관련자 처벌을 요구한 옥산서원 道會 通文과 연명한 유림들의 명단 및 安東, 英陽사림의 答通을 엮은 책.
-
1839년 회연서원(檜淵書院) 통문(通文)
1839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호성, 회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839년 8월 17일, 玉山書院의 火災에 대한 對策을 論議하기 위해 道會의 개최를 알리는 檜淵書院의 通文
-
1835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향약절목(鄕約節目)
1835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상주 상주향교
鄕約節目鄕約節目乙未十一月日鄕約節目鄕約四條一曰德業相勸二曰過失相規三曰禮俗相交四曰患亂相恤[印]右呂氏条約德業相勸条見善必行聞過必改能治其身能治其家能事父兄能教子弟能事長上能睦親族能擇交遊能守廉介能廣施惠能導人爲善能畏法令能謹租賦右件德業同約之人各自進修互相勸勉會集之日推與推擧其能者書于籍以警其不
-
1840년 의성향교(義城鄕校) 도회(道會) 통문(通文)
1840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지재, 채주욱, 김용우, 의성향교 도회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惟我 退陶先生遺集重刊之役積年經營迄今未就此實(斯)文之欠典而吾黨之丕責也迺者鳳停之會己有所商論區劃派定於四鎭管以爲收合始事之謀而閱了許多時日尙無段(落)夫豈 僉君子衛道之誠或有一分歇后而然哉第物力恒患於凋弊蕫勅或失禮玩愒頭白件靑究竟無期竊不勝慨然者也今此梓板己鳩寫本就净不可不及今措
-
1835년 상주(尙州) 도남서원(道南書院) 통문(通文)
183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강굉흠, 이정환, 권세영, 도남서원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愚山之修契所實爲我愚伏鄭先生本院之奉而設者也 先生盖嘗講道於愚山而文集中二十景題詠卽當日藏修之蹟也遺芬賸馥愈久不沫亭臺巖石尙爲後人之所受賞 杖屨圖書至入宸章之所興感則就其地立祠揭處以寓羹墻之慕者卽吾嶺中 諸先輩本院崇奉之通例而此實百年來未遑之擧也往在 健陵辛亥間 先生門人後裔爲是
-
1852년 안동향회소(安東鄕會所) 통문(通文)
185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정수, 류치명, 김기운, 고산서원 / 안동향회소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我大山李先生易簀己七十有年于玆矣粤自喪畢之日己建尸祝之議當時及門賢達道中耈德磊相望一言一爲無不裁之以中正而爲先汲汲於此者其意豈苟然哉至若 川沙 立齋諸先輩至成一本疏草整頓義理以爲待時之器盡未始一日忘此事也而中間一再擧置每出於觀象玩占知進知退之義則先輩作事固無慎之至也然而世遠人亡聲
-
1905년 사양서당(泗陽書堂)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강준영, 이상표, 이장연, 사양서당
| 경주 옥산서원
泗陽 通文柒谷右文爲通諭事伏以天㭬斯文襲謬而行隱者多出於爲吾徒地也而尤惜夫 貴鄕孫氏家之復有今日事也夫道脉淵源者自來賢聖所傳以是受以是之統緖而景節公之於 文元先生也可以着說傍啓而的授耶是不足加損於 先生然得無未安於 先生之賢舅而愈所自懼於 先生之後徒者也此良李氏所以首發議諭而且在生等烏可視以鄕隣而俱
-
1905년 부지암정사(不知巖精舍)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장승원, 부지암정사
| 경주 옥산서원
東洛仁同 通文右文爲回諭事伏以淵源授受之統有不待明卞而自有百世之公案文字眞贗之蹟有不得不卞而難掩一家之偏見噫鄙等亦當扝臂於是而不微盡捄正之道矣今於 貴壇通諭尤不勝慨然于中也肆惟 文元先生淵源道統正考侑文中不由師承一句斷之矣 退陶狀文中無授受處一句書之矣此所謂公案而不待卞說而自明者矣迺若東院樑欐之頌
-
1905년 호계서원(虎溪書院)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장석용, 이수염, 류동운, 호계서원
| 경주 옥산서원
虎溪 通文安東右文爲回諭事竊以大賢授受之重非後人之所敢臆定同室分爭之閙非傍聽之所可挽回而惟其事關斯文義在尊衛故在昔兩門轇轕之日鄙鄕先父老盖嘗不辭纓冠而若心救解便見氷雪渙釋水月無恙而不意今者孫氏剞劂方張 僉尊之文諭遠及生等相顧驚駭不省其源委機緘之因何而有是也然生等之於是論實世守之公見而已勘之定案也亦何
-
1919년 임천서원(臨川書院) 통문(通文)
1919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류연박, 김홍락, 임천서원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天下之事變無窮而惟人心之根於天性者終殄滅他不淂如風兩晦塞而鷄鳴不已荊棘茂沒而蘭心自保今節婦金孺人之流離萬里之外而不失三綱之重者亦可見事變之無已而人心之不誣也孺人郞鶴峯先生後孫金益模之仲女也自幼時孝愛天出年十五爲興海裵君在衡之妻高麗節臣栢竹堂先生後裔仁煥之子也壬子春擧家入西間島孺人
-
1896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진보군(眞寶郡) 진보향교(眞寶鄕校) 체임록(遞任錄)
1896
| 고서-기타
|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 진보향교
| 청송 진보향교
丙申八月中元修正眞寶鄕校遞任錄一遞任錄置任錄兩示久遠者所以重儒籍也亦所以追先輩勸後學也况聖宮首善之地送竪禮拂遞掌重任者之首副姓銜尤豈不尊且重歟莊惟先父老之處鄕也式遵退陶先生鄕學之規約設條例講立學令章甫濟濟厥有條諸兩詃誦禮樂之風魚雅如也騄騄至衰叔寒鄕儒敎弊盡之今日兩先輩遺風餘徵無從可尋且中經掇院之變故
-
1951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향안(鄕案)
1951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신녕향교
| 영천 신녕향교
鄕校保管鄕案新寧鄕案序今鄕有案何哉時在亂中鄕人皆曰聖廟不可闕享蓋出於秉彛之性而豈他邑之所可及哉表誠者物也以物定先後別其門題之曰鄕案是役也權兄寧滿氏之一言動得衆心及竣其事不其難乎觀此可以試推人心反古之漸也遂感而置略言于卷首辛卯六月初庚日英陽金秉鉉序規例一古禮에上自天子之子로下至凡民之秀히皆入大學하야各
-
1677년 안동(安東) 향록(鄕錄)
1677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안동향교
鄕錄丁巳二月 日 三叅錄仚 幼學 李文海仚 幼學 鄭基中仚 幼學 金植仚 忠義 朴文{土+韋}仚 幼學 金光逸仚 幼學 裴漢章仚 幼學 李文洙仚 幼學 權文壁仚 忠義 朴文墀仚 幼學 金秦淵仚 幼學 柳世楨仚 參奉 柳世翊仚 幼學 李文澐仚 忠義 金穟仚 幼學 李震華仚 幼學 權養正仚 幼學 權致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