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99년 8월 23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전교(傳敎)6
1799
| 고문서-교령류-교서
| 국왕/왕실-교령-교서
| 국왕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傳曰。禮房承旨入侍。
-
1799년 5월 30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탑전하교(榻前下敎)1
1799
| 고문서-교령류-교서
| 국왕/왕실-교령-교서
| 국왕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〇]上今五月三十日。藥房入診入侍時。他承旨入侍事。榻前下敎。
-
1799년 4월 20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탑전하교(榻前下敎)2
1799
| 고문서-교령류-교서
| 국왕/왕실-교령-교서
| 엄기, 국왕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〇]上今四月二十日同副承旨入侍時。在外承旨許遞。與未差之代。前望單子入之。待下批牌招察任事。榻前下敎。[•]吏曹 正郞 金光遇
-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계사(啓辭)6
1799
| 고문서-소차계장류-계사
| 국왕/왕실-보고-계사
| 김희조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日省錄]行左。諸承旨持公事入侍事。命下。而六房無公事。不得入侍之意。敢啓。持廳坐時先入公事。詣【閤。可也。】
-
1799년 4월 27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초기(草記)2
1799
| 고문서-소차계장류-초기
| 국왕/왕실-보고-초기
| 의금부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日省錄]右副。同。義禁府。啓曰。前承旨沈象奎推考事。傳旨啓下。而時任閣臣。勿爲拿囚。載在大典通編矣。沈象奎。留置待命所。待開坐捧供之意。敢啓。過大享後。更爲草記。可也。
-
1799년 8월 23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초기(草記)8
1799
| 고문서-소차계장류-초기
| 국왕/왕실-보고-초기
| 형조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日省錄]忠勳府啓曰。■(傳)曰。■■(獻陵)展謁。昔在■■(世宗)朝行之。至■(孝)廟朝。欲行之而未果。至肅廟朝。甲戌始行之。而先朝癸丑行之。戊子修改時。又行展謁。予於其時。陪駕今年又展謁。有紀實之文。而先朝展謁時。致祭於永昌大君墓。海昌尉明安公主墓。明惠·明善公主墓。亦皆致祭。今番依此擧行。大君
-
1799년 8월 23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계목(啓目)1
1799
| 고문서-소차계장류-계
| 국왕/왕실-보고-계
| 의금부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日省錄]禁府啓目。呂州前牧使申獻朝原情云云。傳旨內辭緣。泛稱遲晩。所當請刑是白乎矣。曾經侍從。勿爲請刑。載在大典通編。議處。何如。判付。啓。伊日雲捲天。萬里秋毫。可數兺不喩。治道如砥。蹕路塵淸。與牛眠川以東廣州地方。不可同日而語。則其所謂塵埃蔽目云者。雖未可曉。而又以數十行五馬隊突過之際爲證。則先
-
1799년 8월 23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계사(啓辭)2
1799
| 고문서-소차계장류-계사
| 국왕/왕실-보고-계사
| 정상우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傳曰。軍士房承旨入侍。
-
1788년 호계서원(虎溪書院) 조덕린(趙德隣) 신원 관련 통문(通文)
1788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호계서원
| 영양 주곡 한양조씨 옥천종택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玉川趙先生官牒旣復。而旋收盆寃己暴。而還翳其爲輿情之抑鬱。實有甚於昔年抱枉之日。而自來四十餘年一味。畏約不復。敢出氣申論圖。所以辨白者。豈非吾嶺吾林慨惋之甚乎。況今太歲涒灘追。惟先生當日奉命號召之績。而莊誦我正考。是年是人政合記錄之敎。尤豈不愴然而興感。惕然而思奮乎。迺者陶
-
1878년 박제인(朴齊寅) 서간(書簡)
187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박제인, 박제연
|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承旨宅 回納。 角山歸客 謝書。詹詠臨日愈切。卽逢令抱。且承惠書。旣慰復欣。容有其極。矧審比來令體連護萬旺。區區控禱不任。族末。登程數日。更覺浩然。猶不省驅馳之爲惱耳。夾敎恪悉。而銓任之重。豈或容易致哉。如或當之。則未可預度其時事機也耳。劇擾。不備謹謝禮。 戊寅二月念二。族末朞服人 齊寅 拜狀上。
-
1884년 박제성(朴齊性) 서간(書簡)
188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박제성, 박제연
|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謹拜謝上。 壯洞承旨 彛陽阮府丈。意外。復來嶠南。而相距宿舂之地。聲光若接。詹誦政勤。卽拜承惠翰先施。謹審展下令靜養體事萬旺。區區仰慰。實副勞祝。耋齡康健。可賀。而第歉餘調度之節。竊爲獻念。宗下。孔路殘局。兼以賑政惱心。而老病益侵。吏事難强。悶憐何喩。躬枉果是不易之事。而替以賢仍委訪。深用感謝。餘。
-
1799년 4월 23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정사(政事)2
1799
|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사회-역사-역사기록
| 국왕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日省錄]己未四月二十三日。承旨前望單子入之。金載翼。落點。左副金。右副徐。同副尹。[•]吏曹。佐郞崔禧延。
-
1799년 4월 23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정사(政事)3
1799
|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사회-역사-역사기록
| 국왕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日省錄]己未四月二十三日。承旨前望單子入之。李羽逵落點。行都金。右洪。左副徐。右副尹。同副李。[•]吏曹。佐郞崔禧延。
-
1931년 임천서원(臨川書院) 통문(通文)
193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임천서원
| 영양 주곡 한양조씨 옥천종택
通文。右文爲通諭事。卽接陶山文諭。則李聾巖先生後孫所創出授受錄云者。誠斯文之一大事變也。竊伏念老先生之於聾翁齒爵。以尊之德望。以推之致敬之無不至焉。特出於大賢謙退之盛德。而爲聾翁後承者。不體當日相處之義拈所文句之加敬處冒加題目。有似傳道受業者。然不知稅駕何地。以來月十六日定道會于禮安鄕校。伏願僉尊趁
-
1799년 4월 23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정사(政事)4
1799
|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사회-역사-역사기록
| 국왕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日省錄]己未四月二十三日。承旨前單子入之。尹在醇落點。同副尹。[•]吏曹。佐郞崔禧延。
-
1884년 김수로(金壽老) 서간(書簡)
188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수로, 김인섭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父主前 上白是音問漠然難承 伏菀何極 伏未審屬玆端陽外內主氣體候 一向萬安 家中大小節 幷皆無事 乳兒充茁 遠外伏慕無任區區之至 子 科事空然逐式觀光 良貝如此 伏悶伏悶 以一所相換去 其終焉何益也哉 卽欲登途發去 而如干付下者 猝難如意求得與望林崔文見同行爲計 有卜軍故耳德源令家 勖勸以過夏 觀八
-
간정일록(艱貞日錄)
1862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김령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壬戌 六月六月 初四日 御史李寅命 以姦胥胥讒入于左腹, 送晉州鎭校推捉 倉猝乏丁 未克下去. 正言冒昏先去.初五日 午後 鎭差十餘輩趕到 不得已冒雨下去. 昏且雨 止宿文台店.初六日 晴. 午後抵晉, 拘繫鎭營軍房. ○ 與郭士維【埰】, 韓弘洛 同戹.十二日 御史到晉, 遂入圓扉. 士維亦同.
-
숭재일록(崇齋日錄)
1845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김두흠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乙巳八月小 ○初一日【庚寅】晴。○初二日【辛卯】晴。○初三日【壬辰】陰。○初四日【癸巳】小雨。【初五日日記當在四日下。五日則終日大雨。】 ○初五日【甲午】陪 季父主, 往素山東野集刊役所。午後遇雨欲往河上仍小留。聞京伻下來, 夕冐雨而還家, 日已昏矣。歸見李寢郞【彙溥】書(李吏郞潭九書), 盖初一
-
○○년 료 말(僚末)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
| 상주 승곡 풍양조씨 입재공파종택
趙佐郞 ▣▣▣(書)。伏惟多日勞攘之餘。仕履萬相。仰慰且溯。無任區區。僚末五日入直。且家有忌故。自不無速往指揮者。使禮吏請番。則托以勞攘。不肯就直。使此老漢將爲仍直其所。不諒僚末之情勢耶。雖非僚席之當入。此漢之情勢。有難仍直。況於僚席之應入之番耶。敢以病爲托。政院近七十堂上。皆詣院方入侍。僚席雖甚爲
-
1848년 이공우(李恭愚)서간(書簡)
184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공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謹拜上候書伏承下札 謹審近候多厲政體節連護萬旺 區區伏慰且荷之至 第俶裝之際 公私惱擾 夜應多端 旋用伏念 記下生 一是前狀 它無仰聞 由單 更以敎意 仰稟棠軒 所敎以爲今番倩由 奉無遲速之所拘 差退幾箇月 未爲不可 況値試官苟艱之時乎 雖此屢勤 恐難仰副 以此意更告爲敎矣 所敎旣如此 則更無以贅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