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35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군위군(軍威郡) 의흥향교(義興鄕校) 『의흥교록(義興校錄)』 수록 「교임상체록(校任相遞錄)」
1935
| 고서-기타
|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 의흥향교
| 군위 의흥향교
1635년부터 1935년까지의 역대 義興鄕校 校任 역임자 명단으로 1935년 慶尙北道 軍威郡 소재 義興鄕校에서 간행한 『義興校錄』에 수록된 자료
-
1599년까지 작성된 풍기향안(豊基鄕案)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 풍기향교
| 영주 풍기향교
16세기 중반부터 1599년까지 총 3차례에 걸쳐 추가 입록된 풍기지역 유향소 향원의 인명과 관직 및 직임 등을 기록한 향안
-
을해년 순흥향교(順興鄕校) 원임안(原任案)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 순흥향교
| 영주 순흥향교
을해년(1815), 병자년(1816), 신사년(1821), 임오년(1822)에 걸쳐 수정개수된 순흥향교 원임안
-
1835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향약절목(鄕約節目)
1835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상주 상주향교
鄕約節目鄕約節目乙未十一月日鄕約節目鄕約四條一曰德業相勸二曰過失相規三曰禮俗相交四曰患亂相恤[印]右呂氏条約德業相勸条見善必行聞過必改能治其身能治其家能事父兄能教子弟能事長上能睦親族能擇交遊能守廉介能廣施惠能導人爲善能畏法令能謹租賦右件德業同約之人各自進修互相勸勉會集之日推與推擧其能者書于籍以警其不
-
1876년 권중연(權重淵) 사약일통(社約一統)
1876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권중연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奈城洞約洞約序奈之縣本地僻民物鮮小人心頑惡近於禽獸庸詎知義禮之所在大抵率子弟者不事詩書專以漁獵爲業有挾冊者則爲齟齬人也爲孝悌者則爲釣名人也或不謹父母之喪而恣行不義或相怨讟而無所不至或鄙吝而詭秘爭利有年矣近年二三長老列居左右忼慷於風俗之不美而教人漸磨然習俗已久難以化之良可慟哉惟我洞中人皆有庭訓寧不於此
-
1610년 경상도(慶尙道) 청도군(淸道郡) 향안(鄕案)
1610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청도 청도향교
鄕案【仙】幼學金遇錘【仙】幼學崔泗源【仙】幼學閔參【仙】縣監朴慶傳■……■【仙】僉正朴慶胤【仙】郡守金克裕【仙】幼學崔汝峻【仙】進士金致三【仙】幼學趙成麟【仙】忠義衛李洙■……■【仙】息城君李雲龍【仙】萬戶元士彪【仙】忠義衛李濂【仙】幼學高嶸【仙】幼學李廷翰【仙】幼學朴誠【仙】幼學朴詳【仙】忠義衛李
-
1632년 경상도(慶尙道) 청도군(淸道郡) 향안(鄕案)
1632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청도 청도향교
鄕案【屳】僉知高崙幼學趙成麟【八十歲以上鄕任】【屳】忠義衛李洙【屳】幼學郭永鎭幼學郭永錫【七十歲以上鄕任】參奉朴烱【七十歲以上鄕任】【屳】幼學芮夢辰幼學朴馚【七十歲以上鄕任】同知李湍【七十歲以上鄕任】【屳】幼學芮廷馧【屳】幼學李廷卓奉事朴隣【七十歲以上鄕任】【屳】忠義衛李澤幼學李廷翼【七十歲以上鄕任
-
1623년 경상도(慶尙道) 비안현(比安縣) 향안(鄕案)
1623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鄕案品官座目【天啓三年十月日修正】學諭鄭輝參奉朴昌年部將金元俊訓導金亨俊訓導禹弘綏縣令宋琚兵曹正郞鄭景祐部將鄭延祐察訪張文瑞部將卞瑠主簿卞璃忠順衛鄭霖部將金善復幼學金禮昌參奉朴駿禎幼學宋琦金仁復金義復直長金禮復幼學李昌國權大智朴忠一進士李仲陽幼學林希雨林汝雨周胤昌卞世琪引儀禹弘緖金纘叔僉知朴稢生員李
-
1614년 경상도(慶尙道) 청도군(淸道郡) 향안(鄕案)
1614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청도 청도향교
鄕案【仙】幼學金遇錘【仙】幼學崔泗源【仙】縣監朴慶傳【仙】僉正朴慶胤【仙】幼學崔汝峻【仙】進士金致三【仙】幼學趙成麟【仙】忠義衛李洙【仙】忠義衛李濂【仙】幼學高嶸【仙】幼學李廷翰【仙】幼學郭永鎭【仙】幼學朴誠【仙】校生張翼參【仙】幼學朴詳【仙】幼學李慶春【仙】幼學郭永錫【仙】幼學朴瑍【仙】參奉朴烱【
-
1621년 경상도(慶尙道) 안동부(安東府) 하회(河回)마을 동안(洞案)
1621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안동 하회 풍산류씨 충효당
洞案金舜▣【慶會▣▣】參奉柳德源【潤甫丁卯】柳信【信甫丁卯】南自薰【彥和戊辰】生員安貴壽【益郡己己】敎授柳襑【汝吉壬申】權俊英【▣彥壬申】安眉壽【汝綏甲戌】權俊秀【而彥丁丑】安楗【啓而己卯】權俊明【汝彥辛巳】洗馬柳袗【季華壬午】柳元直【淸之戊寅】安▣▣【▣▣▣▣】安▣【士正▣▣】柳承元【汝敬甲辰】安
-
1600년 경상도(慶尙道) 청도군(淸道郡) 향안(鄕案)
1600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청도 청도향교
鄕案【仚】僉正李白新【仚】習讀朴誠【仚】僉知李礬【仚】幼學金遇錘【仚】幼學崔泗源【仚】幼學閔參【仚】縣監朴慶傳【仚】僉正李白新【仚】習讀朴誠【仚】僉知李礬【仚】幼學金遇錘【仚】幼學崔泗源【仚】幼學閔參【仚】縣監朴慶傳【仚】幼學盧慶濬【仚】幼學蔣思孝【仚】判官朴慶胤【仚】前郡守金克裕【仚】幼學崔汝峻【
-
1651년 경상도(慶尙道) 청도군(淸道郡) 향안(鄕案)
1651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청도 청도향교
鄕案【屳】參奉朴烱【屳】幼學朴馚【屳】同知李湍【屳】僉知李漑【屳】幼學朴希章【屳】縣監李儼幼學朴璣【屳】幼學李稹幼學李稑訓導崔建幼學金胤先幼學李穰【屳】幼學潘潤【屳】幼學朴東秀參奉李重慶幼學朴東徽幼學朴東信幼學朴東老幼學朴東欽【屳】忠義衛李光宇幼學朴東維忠義衛李琛都事朴東貞忠義衛李珉察訪朴東溫幼學朴
-
1911년 경상도(慶尙道) 청도향교(淸道鄕校) 간행 청도향안정명록(淸道鄕案正名錄)
1911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淸道鄕案正名錄淸道鄕案正名舊錄僉正李白新載寧人習讀朴誠密陽人僉知李礬固城人僉知李礱固城人進士朴光亨密陽人幼學崔泗源閔參驪興人盧慶濬長淵人都守金克裕淸道人進士金致三金海人幼學趙成麟咸安人僉正朴譚密陽人忠義李洙固城人李潜固城人息城君李雲龍載寧人忠義李濂固城人李澈固城人幼學李廷翰慶州人李廷郁慶州人忠義李濟
-
1851년 도산서원(陶山書院) 통문(通文)
185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시양, 안행준, 도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生等每莊誦 冲齋權先生袖珍近思錄御製序文窃嘆其 先生精湥之學契遇於 上聖若是融洽而尙闕 文廡從祀之典者實吾東方後學之責也六十年前已發之論本院無與有聞而當時乍發而旋寢者其無以本家之遇於鄭重者耶迺者 貴院文諭更申於周甲之歲天意人事無似有不偶然者矣第伏念斯文大擧不可無合席相講玆以今二十
-
1904년 이의정(二宜亭)회중(會中) 통문(通文)
1904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재영, 노응호, 안효제, 이의정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奉告事伏以衛道尊賢人性之所同然討亂懲惡天理之所不容已也斯文事變在古何限而豈有如今日晉陽之曺鉉承者乎惟我南冥曺先生德山之碑卽 眉叟許先生所撰也所以表章盛德徵信於百世之下者顧何如也噫彼鉉承夫何一種疾氣包藏凶肚頃於山天齋儒會時揭榜門楣曰尊 眉叟者不入此齋爲宜且以鬼斧惡習罔念祖先墓衛之重敢誨先賢文
-
1905년 도동서원(道東書院)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노동, 곽태순, 곽종건, 도동서원
| 경주 옥산서원
玄風 道東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道學之淵源至重不可以妄論也文字之眞贋易卞難容以杜撰也窃惟 貴鄕孫氏李之是非乃定亦已久矣顧此遐鄕晩生不須更事覼縷而盖我永直沂閩洛一句正廟朝雲章侑祭之孔昭罔有淵源無授受處等語 陶山翁扶德之金釋至公凡我東方之爲臣庶與後學者固當恪守尊信達諸不悖而俟諸不惑者也所以 大山先生所撰
-
1939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령향안(新寧鄕案)
1939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新寧鄕案序夫案徵也盖因藍田氏鄕約而起而所以重其事而徵其後也知其制度節目之詳然意者有在於斯乎傳之久故守之重而未免爲蠹食古紙鄕父老爲是慨歎者累矣往者安君庸洛因邑誌落成之會恢修正之論而事遂寢焉見山權丈畀余以修潤之責爲後日計終不敢辭謹按舊本刪之以一名疊出增之以貫鄕表號又書其某爲某之子某爲某之孫而或有未詳者則
-
1852년 안동향회소(安東鄕會所) 통문(通文)
185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정수, 류치명, 김기운, 고산서원 / 안동향회소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我大山李先生易簀己七十有年于玆矣粤自喪畢之日己建尸祝之議當時及門賢達道中耈德磊相望一言一爲無不裁之以中正而爲先汲汲於此者其意豈苟然哉至若 川沙 立齋諸先輩至成一本疏草整頓義理以爲待時之器盡未始一日忘此事也而中間一再擧置每出於觀象玩占知進知退之義則先輩作事固無慎之至也然而世遠人亡聲
-
1905년 삼계도회소(三界都會所)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진영, 권상중, 권돈연, 삼계서원/삼계도회소
| 경주 옥산서원
三溪 通文安東右文爲回諭事伏承 尊諭備審孫氏諸公追刊 景節公實紀之擧生等不覺惶然以駭而繼之以吁歎也噫孫氏此擧已發於去乙丁而當時闔道之聲討鄙中先父老之洞辨攷據精博義理嚴正雖以孫氏追孝闡先之心自知悔悟亟罷其役矣孰謂天道一周之會乃有詖遁更肆之擧也夫淵源也道脉也的授也數段語攷之晦翁祭文無其意攷之退翁所撰行狀
-
1905년 고산서당(高山書堂)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기락, 김도화, 김경락, 고산서당
| 경주 옥산서원
安東高山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公共之見自有涇渭之分大同之論必無軒輕之執則 僉尊於東江樑頌中變換句語之事想或聞知而恐未洞悉其源委曲折之詳矣 先師大山先生當日勘定遠通之所共知而今以的授道脉一句語倡出三本之說驀地執拗重刊登板未知孫氏之私自擅改亦可謂一本耶然而念其做措之間似非公議所扶回則生等更不欲呶呶爭辨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