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864년 2월 1일 경주(慶州) 지역 8개 문중 수급 경상도(慶尙道) 경주부(慶州府)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864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현곡 서씨문중 등 | 경주 옥산서원
1864년 2월 1일 慶尙道 慶州府 玉山書院이 경주 지역 내 8개 門中에 享禮 일자를 통보하기 위하여 발급한 回文
-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중철, 이중찬, 이만현, 이만윤, 도산서원,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도산서원, 동강서원,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06년 6월 27일, 慶州孫氏들이 부당하게 實記를 간행하고 牌旨를 돌린 것에 대해 항의하기 위해 東江書院 창고지기에게 보내는 陶山書院의 通告文
-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남강서원,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06년 7월 13일 영덕 南江書院에서 孫李是非와 관련하여 손씨측의 잘못에 대하여 벌을 주어야 한다는 의견을 玉山書院에 보내온 通文
-
1917년 윤2월 21일 경주(慶州) 지역 8개 문중 수급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군(慶州郡)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91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하구 서씨 문중 등 | 경주 옥산서원
1917년 윤2월 21일 慶尙北道 慶州郡 玉山書院이 경주 지역 내 8개 문중에 鄕會 연기 사실을 통보하기 위해 발급한 回文
-
191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유연박, 김한락, 김진의, 김홍락, 호계서당,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17년 閏 2월 3일, 大山 李象靖을 모실 廟宇의 건립에 대한 논의를 위해 道會를 安東 龜尾 市基에서 개최함을 玉山書院에 알리는 虎溪書堂의 通文
-
1918년 8월 1일 경주(慶州) 지역 6개 문중 수급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군(慶州郡) 옥산서원(玉山書院) 향례일(享禮日) 통보 회문(回文)
1918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현곡 서씨문중 등 | 경주 옥산서원
1918년 8월 1일 慶尙北道 慶州郡 소재 玉山書院에서 경주군 내 6개 門中에 享禮 일자를 알리기 위해 발급한 回文
-
1918년 8월 1일 경주(慶州) 지역 16개 문중 수급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군(慶州郡)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918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두동 등 | 경주 옥산서원
1918년 8월 1일 慶尙北道 慶州郡 소재 玉山書院이 陶山書院과 大田 鄕會의 通文을 수급했다는 내용으로 고을 내 16개 門中에 발급한 回文
-
1918년 8월 1일 경주(慶州) 지역 6개 문중 수급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군(慶州郡)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918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현곡 등 | 경주 옥산서원
1918년 8월 1일 慶尙北道 慶州郡 소재 玉山書院이 陶山書院과 大田 鄕會의 通文을 수급했다는 내용으로 고을 내 6개 門中에 발급한 回文
-
1918년 7월 23일 경주(慶州) 지역 13개 문중(門中) 수급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군(慶州郡)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918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판교 등 | 경주 옥산서원
1918년 7월 23일 慶尙北道 慶州郡 소재 玉山書院이 學校畓의 매도하는 것과 관련하여 고을 내 13개 門中에 발급한 回文
-
1918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유연박, 남경희, 김병식, 호계도회소,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18년 3월 3일, 霽山 金聖鐸을 不遷位로 모시는 일에 대해 의논하기 위해 모임을 개최함을 玉山書院에 알리는 虎溪都會所의 通文
-
1920년 구강단소(鷗江壇所) 회중(會中) 통문(通文)
1920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구강단소 회중,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20년 2월 25일, 愼巖 李運協을 祭享하는데 동의해줄 것을 당부하며 玉山書院에 보내온 鷗江壇所 會中의 通文
-
192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석호, 옥산서원,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21년 5월 12일, 玉山書院이 서원 內部의 알력에 대해 반성하고 會議를 통해 合議한 내용을 서원 내부의 벽에 게시했음을 알리는 通文
-
192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황진섭, 흥해향교,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22년 10월 9일, 曲江書院 옛터에 偸葬한 것을 질책하는 玉山書院에 그간의 처리과정에서 있었던 사실에 대해 알리는 興海鄕校의 回諭文
-
1922년 2월 1일 경주(慶州) 지역 10개 문중 수급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군(慶州郡)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92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사동 김씨 문중 등 | 경주 옥산서원
-
192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구강서원,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23년 2월 29일, 玉山書院에서 杜村 李彭壽의 齋室을 건립하자는 제안에 대해 龜岡書院에서 답변으로 보내온 通文
-
192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정기락, 구강서원,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23년 3월 29일, 鶴圃 李寅七의 孝誠과 學德을 세상에 드러내어 알리는 방안을 강구하자며 玉山書院에 보내온 龜岡書院의 通文
-
1924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최현필, 경주향교,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24년 2월 26일, 玉山書院에서 忘機堂 曺漢輔가 생활했던 옛터에 祠宇를 짓기 위해 契를 조직하자는 제안에 동의한다는 내용의 답장으로 보내온 慶州鄕校의 通文
-
1924년 소수서원(紹修書院) 회중(會中) 통문(通文)
1924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충호, 김석, 김동규, 소수서원,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24년 5월 15일, 충청북도에 거주하는 孫元謨의 세 孝婦의 훌륭한 자취를 세상에 알릴 방도를 강구해줄 것을 玉山書院에 당부하는 紹修書院 會中의 通文
-
1925년 8월 1일 경주(慶州) 지역 7개 문중 수급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군(慶州郡)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92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 사동 김씨문중 등 | 경주 옥산서원
1925년 8월 1일 慶尙北道 慶州郡 玉山書院이 경주 지역 내 7개 門中에 享禮 일자를 통보하기 위하여 발급한 回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