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98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하첩(下帖)
1898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영양군
| 영양 영양향교
1898년에 英陽郡守가 英陽鄕校 에 내려 보낸 것으로 漢陽에 파견되는 인원의 관리를 위한 節目을 벌써 만든 바 있으니 향교에서 이를 준수하라는 내용의 下帖.
-
1898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하첩(下帖)
1898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영양현
| 영양 영양향교
1866년에 英陽縣監이 향교집강에게 내려 보낸 것으로 세금 액수의 산정에 불만을 가져서 민원이 있으므로 그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각 호수의 세액 등을 상세히 기록한 節目을 만들어 시행하도록 한 下帖.
-
1899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통문(通文)
1899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영양군
| 영양 영양향교
光武3년(1899년) 3월 25일에 英陽鄕校에서 발급되었는데 당시의 喪禮에 있어 禮法이 많이 문란해졌으니 이를 바로잡아 올바른 法道로 치러질 수 있도록 널리 유포하여 聖賢들의 큰 法道를 사회에 뿌리박히게 하고 皇帝의 걱정거리도 덜어주게 하자고 하는 通文이다.
-
1899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통문(通文)
1899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영양군
| 영양 영양향교
1899년 大邱樂育齋 유생들이 밀양에 있는 둔토의 소유권을 남도의 낙육재 유생들이 주장하는 것에 대해 반발하여 學部에 이것을 바로잡게 해달라고 청원하는 상소를 올리는데 英陽鄕校에서도 도움을 주길 바란다고 보낸 통문이다.
-
1899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하첩(通文)
1899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영양군
| 영양 영양향교
1899년 英陽郡守가 齋任名單을 成冊으로 만들어 통보할 것을 지시하는 下帖이다.
-
1899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하첩(下帖)
1899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영양군
| 영양 영양향교
1899년에 英陽郡守가 踏勘有司를 사퇴한 두 명의 재임을 대신할 명단을 올리도록 지시한 下帖
-
1900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하첩(下帖)
1900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영양군
| 영양 영양향교
1900년 英陽郡守가 英陽鄕校의 校土를 宮內府査檢委員姜學朝가 보고한 內掌院 奉飭訓令에 근거하여 내장원으로 이관한다는 내용의 下帖
-
1900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하첩(下帖)
1900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영양군
| 영양 영양향교
1900년에 英陽郡守가 成均館과 學部의 훈령에 근거하여 英陽鄕校에서도 經義考試를 치를 것을 지시한 下帖
-
1900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훈령(訓令)
1900
| 고문서-첩관통보류-훈령
| 정치/행정-명령-훈령
| 이종원
| 영양 영양향교
光武8年 學部에서 經義試驗 실시에 관한 사항을 英陽鄕校에 하달한 훈령
-
1904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하첩(下帖)
1904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영양군
| 영양 영양향교
1904년에 영양군수가 향교의 기강해이를 질책하며, 향교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이해진 향교의 기강을 일대 쇄신할 것을 주문하는 내용의 下帖.
-
1904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하첩(下帖)
1904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영양군
| 영양 영양향교
1904년에 英陽郡守가 慶尙道 觀察使 訓令에 근거하여 訓長姓名과 校講冊子 등을 기록하여 成冊으로 보내라는 내용의 下帖
-
신묘(辛卯) 9월 액내완의(額內完議)
고문서-증빙류-완의
| 사회-조직/운영-완의
|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辛卯年 9월 額內儒生들의 鄕任差定에 따른 弊端과 관련한 完議
-
무신년(戊申年) 영양향교(英陽鄕校) 통고(通告)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英陽鄕校에서 庫子處에 보낸 賣買文記를 환수하라는 通告
-
1864년 청송향교(靑松鄕校)에서 영양향교(英陽鄕校)로 보내온 통문(通文)
1864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진곤,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1864년 靑松鄕校에서 金能玉에 대한 軍役부과와 戶布制 시행에 반대한다는 通文
-
1890년 도청(都廳)에서 보내온 통문
1890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명화, 김종화, 김영진,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1890년 巡相金明鎭의 生祠堂 건립을 위한 都廳을 만든 후 각 읍별로 排錢이 거둬지지 않아 이를 독촉하는 통문
-
1891년 영양향교(영양향교) 출문(出文)
189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오세원, 조언정
| 영양 영양향교
1891년 英陽鄕校에서 영양의 儒林 22인에게 발송한 것으로 釋奠祭日 이전 入齋하기를 요청하는 出文
-
1901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통문(通文)
190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영양군
| 영양 영양향교
1901년 11월 12일에 도산서원상덕사에 모셔진 퇴계선생의 위판을 도난당한 사건으로 인해 예안도회에서 영양 영양향교로 통문을 보내 금월 30일에 상주 산양에서 소유를 정할 예정이니 향교의 유생들이 참석할 것을 알려준 것이다.
-
1903년 영양향교(英陽鄕校)통문(通文)
190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조병식, 영양현
| 영양 영양향교
1903년 궁내부 특진관趙秉式이 영양향교(英陽鄕校)에 보낸 통문(通文)
-
1931년 도산서원(陶山書院) 도회(道會)에서 보내온 통문(通文)
193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회욱, 권응선,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1931년 陶山書院 道會에서 발행한 것으로 退溪가 聾巖의 제자라고 한 『授受錄』의 편찬 및 『聾巖續集』에서 퇴계의 諱字를 直書한 것에 대하여 수정을 요구하였지만, 이를 거부한 汾川李氏들을 儒案에서 삭제함을 알리는 通文
-
병진(丙辰) 7월 석전제물등록(釋奠祭物謄錄)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丙辰년 7월에 작성된 釋奠祭에 사용할 祭物의 종류와 수량을 기록한 謄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