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25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사림(士林) 김최선(金最宣) 등 상서(上書)
1825
|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 국왕/왕실-보고-상서
| 이해상, 이정익, 옥산서원 유생, 순상
| 경주 옥산서원
玉山書院士林幼學金最宣孫永壽李海祥等謹再拜上書于巡相公閤下伏以本院姓孫李埴山訟事端恰至三數月之久侤案始成於兼官而費經滯囚掘限屢定於新府而猶事抵賴幸蒙 閤下一聞洞燭片言嚴斷果於晷刻之內便有掘撥之擧多士之慰望居民之洩怨當復何如仍伏念世道漸汙人心益渝今日李埴之訟雖或幸而妥帖安知無異時幾李埴輩復做出幾番此等
-
1861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수노(首奴) 광손(光孫) 소지(所志)
1861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사도주
| 경주 옥산서원
玉山書院首奴光孫右謹陳所志矣叚本面所在綿川鐵店卽以 朝家之劃給爲本院之所屬者許久年所而雜役則永爲勿侵之意前後完文昭昭載在而曾無侵索之弊矣千萬匠意今者以巡營卽駕數迭備次正鐵七斤備納之意官隷之來姑不有餘地是如乎院中所屬與他尤別況以劃給之物今忽見侵者此必該掌之弄奸故玆敢仰訴爲去乎 參商敎是後卽以依劃給勿侵
-
1763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유생(儒生) 이관국(李觀國) 등 상서(上書)
1763
|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 국왕/왕실-보고-상서
| 이정훈, 옥산서원 유생, 경주부윤
| 경주 옥산서원
玉山書院儒生李觀國等謹再拜上書于城主閤下伏以今此書院所屬疤定之擧乃是前來未有之事而學宮之興廢是係章甫之憫迫尤切則齊聲仰曝不可但已玆因正參大會陳情仰訴於 右文明政之下伏惟閤下垂察焉本院創建在於隆慶壬申前後數百餘年之間 朝家象賢(之意)搢紳尊道之誠靡不用極土田臧獲之外劃給良丁以爲士子捿息講習之資用其餘按
-
1848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수노(首奴) 명손(命孫) 소지(所志)
1848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사도주
| 경주 옥산서원
玉山書院首奴命孫右謹陳所志事本院事體關係甚重故凡干典守規模無非自朝家劃給而 營府之奉承顧護與他自別是如至若院位結㐲則合入於都㐲中而零餘三㐲以位戶作夫權減例對 答結與戶還上非所可論者而不意近來該色輩任意出秩於戶還分給之中揆以法意萬萬可駭除良以本邑邑例言之朝官生進孝烈戶及鄕賢各祠無不入於 官減不受▣
-
1876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수노(首奴) 도치(道致) 소지(所志)
1876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사도주
| 경주 옥산서원
玉山書院首奴道致右謹陳所志矣叚本院所屬柯亭鐵店卽朝家劃給而 營本府雜役一切蠲減之意踵成完文使之守護者由來三百年于玆矣不意月前該面都掌以正鐵錢鐵石米價合二十八兩五戔五分具本利徵索百般侵督分隱除良况又日前鎭營橫徵多至十斤鐵本院 劃給之店如是橫侵則勢難支保玆敢仰訴而敎書謄冊封上爲去乎參商敎是後 特下題音事
-
1843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사림(士林) 품목(稟目)
1843
| 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 사회-조직/운영-품목
| 옥산서원 사림, 성주 합하
| 경주 옥산서원
玉山書院士林稟目仰凟于城主閤下伏以本院之有水鐵店一所卽我正廟朝特命畫給以備院用者也猗歟盛哉 大聖人崇儒衛道之道至矣該匠輩不知所繫之鄭重出牌侵督混入於凡他店冶官納之例 朝家恩頒之晟典將至廢墜本院遵守之規今幾爽失玆敢仰籲于嚴明之下伏乞依前轍蠲減完文無使該匠輩舞弄侵討永杜後來踵襲之頑弊千萬祈懇之至城主閤下
-
1839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서목(書目)
1839
| 고문서-첩관통보류-서목
| 정치/행정-보고-서목
| 옥산서원 사림, 경주부
| 경주 옥산서원
玉山書院士林書目本院以去月二十八日夜半失火正堂十間盡爲灰燼東西兩齋亦多燒燬而御賜扁額及創建時備忘記揭板正廟朝賜祭文奉 敎揭板俱未免虐熖中燒了斯文之厄會此極士林之依歸無所民等顚倒齊會罔知攸措而不謹典守之任司已爲鐫黜當次守直之院隷亦爲勘罪是在果大抵本院創設在於萬曆壬申宣 額在於翼年癸酉而事體之鄭重規撫之
-
1879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사림(士林) 첩정(牒呈)
1879
|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정치/행정-보고-첩정
| 경주부윤, 옥산서원 사림
| 경주 옥산서원
右文報事伏以玉山書院卽我 晦齋先生妥靈之所而列聖朝尊衛曲護之方已成完例至若鐵水土各一店排置仰役使備春秋享禮之器用以繼廟樓修補之什物 營本府公役一倂蠲減肅廟朝傳敎揭版堂宇奉守規例已許三百年所間或於 官府新莅之初雜役之混同出秩而院奴呈訴多士仰籲頉免之完文立旨在在昭詳不意今者奴令輩搆誣等狀爲攘奪土店之計至
-
1839년 경주(慶州)사림(士林) 상서(上書)
1839
|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 국왕/왕실-보고-상서
| 이연상, 경주사림, 경주부윤
| 경주 옥산서원
慶州士林幼學孫永祿韓公翼崔元復等謹齋沐上書于城主閤下伏以院者庠序之遺也庠序隆替斯文之興喪係焉本鄕玉山書院火變顚末已悉於本院士林文報而至蒙傷痛報 營之 題旣有以仰見尊賢衛道吊災哀禬之摯意矣 先正妥靈之所多士講學之地盖三百年於玆而一朝灰燼此莫非本州爲士者不謹典守之責而使本院營建盡出於士林之經劃猶自惶蹙之
-
1862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수노(首奴) 원문(願文) 소지(所志)
1862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사도주
| 경주 옥산서원
玉山書院首奴願文右謹陳所志矣叚本里眠川店以本院所屬元無貰錢之侵漁故 使道主僕已 親分付勿旋是白加尼所謂都將稱以店貰錢買納是白遣每每出秩侵督是乎則店民何可扶支乎玆敢仰訴爲去乎 參商敎是後該色該匠了更勿侵責之意嚴明 分付事 行下爲只爲行下向敎是事使道主 處分壬戌正月 日詳査勿侵事三十該堂
-
1841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사림(士林) 품목(稟目)
1841
| 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 사회-조직/운영-품목
| 옥산서원 사림, 관찰사
| 경주 옥산서원
玉山書院士林稟目恐鑑伏以本院之有水鐵店一所卽我正廟朝特命畫給以備院用者也於戱 大聖人崇儒衛道之道至矣吏胥輩不知所繫鄭重出牌侵督混入於凡他店冶官納之例店人不耐其困若橫納錢至爲壹百兩之多足貰亦十五兩也究厥所爲竊恐非例飭之所可懲勵也不塞不流不拔不萌伏乞 特下訓令所橫奪錢物依數責納還給店人且 立旨成給永杜後
-
1769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사림(士林) 이현국(李鉉國) 등 상서(上書)
1769
|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 국왕/왕실-보고-상서
| 옥산서원 사림, 순상
| 경주 옥산서원
巡相公 座前惶悚仰瀆于巡相公閤下生等伏見本府下帖則以弘文館推納本院所藏朱子大全語類兩帙事自 營門行關上送故生等取見院在考往錄則所藏兩帙果是亂前本而萬曆丁丑宣賜者也一自奉修之後本邑儒生愛翫而寶藏之至今數百年之久而宛然如昨日卽出千里外輸送之際莫重宣賜或有致傷閪失之患則大爲士林之所共慨惜日後奉推之事惟在
-
1860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수노(首奴) 원문(願文) 소지(所志)
1860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사도주
| 경주 옥산서원
玉山書院首奴願文右謹陳所志矣段本院 晦齋先生主妥靈之所也自朝家劃給水冶鐵一店以爲多士供饋之費是乎遣繼又前後 營府之踵成完文勿侵官役者由來三百年于玆矣今夫本里眠川谷新設一店守護本院之計者不遇未幾自 本府 巡營印鞍鐵及 鎭營修粧鐵備納之意牌差星火侵督是乎尼此必是該匠輩謾告操縱者也此路一開則來頭之獘已無可
-
1616년 호조(戶曹) 관문(關文)
1616
| 고문서-첩관통보류-관
| 정치/행정-명령-관
| 호조, 경상도관찰사
| 경주 옥산서원
戶曹爲相考事節到付送關粘連密陽府華陽落該慶州玉山書院儒生進士李宜潛二十六人上書▣次使路送據書(院)位畓貳結拾貳卜貳束是■■以未用良粘關是??之書院雖重難後以■■奉承田稅卽減除重難但同書院若乃 先生杖屨之地似難與他書院有異落八卜減稅何事▣▣移關後照驗施行便(須)至關者右關慶尙道觀察使(萬曆)四十四年二
-
1853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사림(士林) 첩정(牒呈)
1853
|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정치/행정-보고-첩정
| 경주부윤, 옥산서원 사림
| 경주 옥산서원
玉山書院士林爲文報事伏以民等卽本院之後孫也而通言之則士林也故院有事變不得不依士林例文報是如乎盖前月望日 香謁時新儒作鬧卽一無前之變而幸伏蒙 城主屢次處決齋任則有下帖敦勉之敎彼輩則有刑囚捧侤之擧故意謂先院自此靜帖矣昨日乃朔朝香謁之晨也民等五六人爲觀齋任行公以晦日夕相率入院則齋任終始引義辭單來到而所謂鄕
-
1860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수노(首奴) 원문(願文) 소지(所志)
1860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진사도주
| 경주 옥산서원
玉山書院首奴願文右謹陳所志矣叚本院 晦齋先生主妥靈之所也守護等節曾自朝家逈出尋常冶鐵一店劃給聖旨昭載板上是乎遣繼又 營府勿侵 官役之完文每每踵成使之勿毁遵行者三百餘年之久是乎斯今夫本里綿川店以本院所屬新設未幾 本營所用正鐵一百斤出牌侵督是乎尼此必是該掌輩謾告操縱者也此路一開則本院守護之節萬無計策分隱
-
玉山書院士林爲文報事伏以民等卽本院之後孫也而通言之則士林也故院有事變不得不依士林例文報是如乎盖前月望日 香謁時新儒作鬧卽一無前之變而幸伏蒙 城主屢次處決齋任則有下帖敦勉之敎彼輩則有刑囚捧侤之擧故意謂先院自此靜帖矣昨日乃朔朝香謁之晨也民等五六人爲觀齋任行公以晦日夕相率入院則齋任終始引義辭單來到而所謂鄕
-
임신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수노(首奴) 순봉(順奉)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순사도주
| 경주 옥산서원
慶州玉山書院首奴順奉右謹陳所志情由端本院位畓在於淸道地是在今年秋收段 營門分付至嚴敎▣…▣半分之道稍勝於已前是乎矣其中或有百般巧避一切拒納矣身等以遠地之人當此▣寒數朔留滯等無畢捧之道是乎等以拒納作者後錄仰訴爲去乎如此巧訴頑惡之民自營門各別嚴治懲急事行下敎是乎旀又有駭然之事是如乎淸道內西居乭山上典蔣生
-
1795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유생(儒生) 손응익(孫應翼) 등 상서(上書)
1795
|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 국왕/왕실-보고-상서
| 옥산서원 유생, 순상
| 경주 옥산서원
慶州玉山書院儒生孫應翼李雲祥等謹再拜上書于巡相公閤下伏以本院自創建之後田畓之在淸道者殆過數百餘斗落之多而惟其土地甚沃水旱不入故穀出之倍徙自古已然而本院之維持經用者實賴此一保障也近年以來人心不古機巧日生半分者傳子孫而與奪不由於本主多寡唯所制而所入半縮於前數每逐年審檢便先時收穫正謂無麵之不托有毛之安傳而
-
1860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수노(首奴) 원문(願文) 소지(所志)
1860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사도주
| 경주 옥산서원
玉山書院首奴願文右謹陳所志矣事段本院守護等節曾自朝家逈出尋常是如冶鐵一店劃給聖旨昭載板上是乎遣繼又 營府完文每每踵成使之勿毁遵行者三百餘年之久是乎所所以杞溪面火川鐵店爲本院所屬而年久仰役是加尼累經荒年店弊民虛將欲移設於本里綿洞是乎所日後該掌輩不知前店之移設慮或以綿洞之新創橫侵公役之端是乎等以玆敢具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