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9년 8월 3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좌목(座目)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9+KSM-XG.1799.0000-20170630.KSAC008127500006_7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내용분류: 사회-역사-역사기록
작성시기 1799
형태사항 크기: 32.2 X 67
장정: 양면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799년 8월 3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좌목(座目)
1799년(正祖 23) 8월 3일, 형조에서 국왕에게 올린 계목(啓目)이다. 이 기록은 당일 입직한 주서류이좌가 편철해 놓은 전교축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1차 작성자 : 유지영

상세정보

1799년(正祖 23) 8월 3일, 승정원 입직 주서 柳台佐가 편철한 傳敎軸의 첨지.
1799년(正祖 23) 8월 3일, 刑曹에서 국왕에게 올린 啓目이다. 정확하게는 無啓目單子이다.
이 判付는 당일 입직한 주서柳台佐가 편철해 놓은 傳敎軸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본래 承政院日記에는 狀啓·啓本이나 啓目 등의 본문과 判付의 내용은 등재하지 않았다. 정조 5년 이후 국왕이 狀啓·啓本의 判付의 내용을 등재하고, 특정 사안의 啓目은 본문과 판부를 등재하도록 명령하여, 이후의 승정원일기에는 계목이 등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측에 '日省錄'이라는 인문의 인장이 있다. 이는 자료가 『日省錄』에 기록할 대상임을 표시하는 것을 보인다. 실제 『日省錄』에는 이 啓目과 判付의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전교축에 편철된 문서의 내용에 승정원 이외의 관아에서 수행할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승정원은 해당 관아의 낭관을 招致하여 그 내용을 확인하게 했다. 이때 본문 좌측 여백에 낭관의 이름을 표기하여 확인했다는 사실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었다. 전교축의 다른 종류의 문서에는 권점[◯]이나 흑점[󰋯]을 찍고 성명을 적어 놓거나, 간혹 점만 찍고 성명은 적지 않은 경우를 볼 수 있다.
정조대 傳敎軸을 통해 본 承政院日記의 문서 謄錄체계, 명경일, 古文書硏究44,2014
1차 작성자 : 유지영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99년 8월 3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좌목(座目)

[日省錄]
己未八月初三日。刑曹。
忠淸監司李泰永移文。天安郡守
呈內。李存昌放還以後。感祝朝家
好生之德意。願居邑底。俾顯遷
善之效。而如有溺未自拔者。則亦將
誨而牖之。期於同歸
聖化是如乙仍于。卽令來接於官門
近處。而居家事爲。另行探察。則怳然
革心。更無餘蘊。向後探察之道。各別
申飭。待報來逐朔枚移計料事。單
子。

啓。李存昌之旣覺且悟。明白
無疑。道牒邑報。若是其有
據。革面之外。可知其革心。比之
必恭
尤難矣。而與其徒言之猶無
實跡。莫若自悟而悟人。人與渠。
俱爲平人之爲人。其人之一道。更爲
嚴飭該道爲良如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