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9년 5월 13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초기(草記)2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9+KSM-XB.1799.0000-20170630.KSAC008127500004_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초기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국왕/왕실-보고-초기
작성주체 예조
작성시기 1799
형태사항 크기: 34.5 X 69.5
장정: 낱장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799년 5월 13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초기(草記)2
1799년(정조 23) 5월 13일에 예조가 승지를 통해 올린 초기이다. 이 초기는 당일 입직한 주서인 류이좌가 편철해 놓은 전교축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1차 작성자 : 유지영

상세정보

1799년(正祖 23) 5월 13일에 禮曹가 承旨를 통해 올린 草記.
1799년(正祖 23) 5월 13일에 禮曹가 承旨를 통해 올린 草記이다.
이 草記는 당일 입직한 주서柳台佐가 편철해 놓은 傳敎軸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草記는 중앙관아만 올릴 수 있는 문서였다. 국왕에게 入啓할 사항이 있는 관아의 관원이 승지에게 말로 전하면, 주서가 글로 쓰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따라서 『承政院日記』에는 '某承旨以某司某官言, 啓曰'과 밭은 방식으로 전재된다. 이 草記는 右承旨 金翰東을 통해서 올린 것이다.
草記의 내용에 상달 기관 이외의 관아에서 수행할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승정원은 해당 관아의 낭관을 招致하여 본문의 내용을 듣고 가게 했다. 이때 본문 좌측 여백에 낭관의 이름을 표기하여 확인했다는 사실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었는데, 전교축에는 권점[◯]이나 흑점[󰋯]을 찍고 성명을 적어 놓거나, 간혹 점만 찍고 성명은 적지 않은 경우를 볼 수 있다. 본 草記는 議政府 入直假官 李桓中樞府經歷 尹心輝가 내용을 확인했다.
우측에 '日省錄'이라는 인문의 인장이 있다. 이는 자료가 『日省錄』에 기록할 대상임을 표시하는 것을 보인다. 실제 『日省錄』에는 이 일자에 본문의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정조대 傳敎軸을 통해 본 承政院日記의 문서 謄錄체계, 명경일, 古文書硏究44,2014
1차 작성자 : 유지영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99년 5월 13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초기(草記)2

[日省錄]
右。
禮曹
啓曰。弘文館修撰尹益烈
上疏
批旨內。省疏具悉。以今夙夜望雨之心。何待疏請。而先令畿邑始之者。蓋
以備例則近於瀆褻。分行則或可專一也。畿伯狀本來到。可以知擧行
之。如何。京中則令該曹。問于大臣稟處事
批下矣。謹依
批旨內辭意。發遣郞廳。問議于時原任大臣。則議政府左議政李秉模
以爲。人無智愚賢不肖。而惜乾望霈之情。皆出於無所爲之誠心。伏況
仰體
憂勤之
聖念。俯聽渴悶之輿論。豈或全無料量於圭幣之早晩哉。參以今年節
候。採之近鄕物情。姑且大小靜俟。俟至望後數日而擧行。恐合事
天以實之道。而儒臣疏陳。旣出重農之意。臣何敢臆斷乎。伏惟
上裁云。議政府右議政李時秀以爲。近日惜乾。已涉數旬。海西關東及漢
北諸邑。間得鋤犁之澤。而自漢以南。一直漠然。
聖心焦勞。夙宵憧憧。此時求雨之道。宜無所不用其極。而兩麥則今幾
登場。秧節則農家例以夏至爲期。夏至尙餘七日。
方寸之孚應。不日是俟。畿邑則已有先始之
命。而京中則事體尤重。更待望後。
稟旨擧行。似爲得宜矣云。行判中樞府事沈煥之以爲。天人相應之妙。
秪在一心之流通。而
聖王與天地合其德。凡有所祈。何等乎植璧備物以爲禮乎。今當憫旱。伏想
聖心之默禱久矣。況弭災之道。以修德行政爲本。而桑林之責躬。當次之。臣
之愚意。竊謂祈雨祭。依禮典以時設行爲宜云矣。大臣之議如
此。
上裁何如。

判府事
施行。可也。
[•]議政府。入直假官李桓
[•]中樞府。經歷尹心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