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9년 8월 9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초기(草記)4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5+KSM-XB.1799.1100-20130502.008127500021_13_1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초기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국왕/왕실-보고-초기
작성주체 정조, 금위영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작성시기 1799
형태사항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799년 8월 9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초기(草記)4
1799년(정조 23) 8월 9일, 금위영에서 국왕에게 올린 초기이다. 이 초기는 당일 입직한 주서류이좌가 편철해 놓은 전교축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명경일

상세정보

1799년(正祖 23) 8월 9일, 禁衛營에서 국왕에게 올린 草記
1799년(正祖 23) 8월 9일, 禁衛營에서 국왕에게 올린 草記이다.
이 草記는 당일 입직한 주서柳台佐가 편철해 놓은 傳敎軸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우측에 ‘日省錄’이라는 인문의 인장이 있다. 이는 자료가 『日省錄』에 기록할 대상임을 표시하는 것을 보인다. 실제 『日省錄』에는 이 일자에 草記의 대략적인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좌측에 '吏曹 佐郞尹在陽', '兵曹 佐郞金秀臣'이라고 적고, 그 위에 점으로 표시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승정원에서 문서의 유관기관을 적어 놓고, 유관기관의 관리가 확인 여부를 표시한 것으로 추측된다.
草記는 중앙관아만 올릴 수 있는 문서였다. 국왕에게 入啓할 사항이 있는 관아의 관원이 승지에게 말로 전하면, 주서가 글로 쓰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따라서 『承政院日記』에는 ‘某承旨以某司某官言, 啓曰’과 같은 방식으로 전재된다. 이 草記는 左副承旨 鄭尙愚을 통해서 올린 것이다. 문서 우측에 ‘左副’라고 적은 것을 이를 표기한 것이다.
이강욱, 『민족문화』34, 2009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99년 8월 9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초기(草記)4

[日省錄]
左副
禁衛營[言]
啓曰。兵曹判書李在學
啓。以爲宿衛軍兵。各有直所。而銅龍門軍兵之同爲入接於
建陽門者。未免事面之苟簡。今番
敬奉閣移建後。銅龍門近處。旣有空閑之地。入接處所。卽爲
設置。使之依前分直事。陳達蒙
允矣。銅龍門南邊軍兵直所十一間半。新建。今已畢役之意。敢
啓。
知道。一日
半畢役。可謂
神速。看役首校賞加。其餘
將校及匠人邊首。卿其施
賞。草記。可也。
[•]吏曹 佐郞尹在陽
[•]兵曹 佐郞金秀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