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3년 이종상(李種祥) 서간(書簡) 별지(別紙)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63.0000-20090831.E47840542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종상, 이원조
작성시기 1863
형태사항 크기: 32 X 42.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1863년 이종상(李種祥) 서간(書簡) 별지(別紙)
1863년(철종14) 8월 26일에 이종상(李種祥)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응 0542〉의 별지. 고인들은 서찰을 주고받을 때에도 선비들은 문방구나 음식물 등을 함께 보내기도 했다.
「凝窩先生年譜」, 『凝窩全集』, 이원조, 여강출판사, 1986
KSAC+A01+KSM-XF.1863.0000-20090831.E47840542_0-DES.INFKSAC+A01+KSM-XF.1863.0000-20090831.E47840542_2-DES.INF
1차 집필자: 심수철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63년(철종14) 8월 26일에 이종상(李種祥)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응 0542〉의 별지(別紙). 종이와 먹을 받았는데 그냥 하사하는 것이라면 사양할 수 없지만, 폐백으로 주는 것은 받을 수 없다며 되돌려 준다는 내용.
내용 및 특징
1863년(철종14) 8월 26일에 이종상(李種祥)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응 0542〉의 별지이다. 종이와 먹을 받았는데 그냥 하사하는 것이라면 사양할 수 없지만, 폐백으로 주는 것은 받을 수 없다며 되돌려 준다고 하였다. 의리에 분명한 선비들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자료적 가치
서찰을 주고받을 때에도 선비들은 문방구나 음식물 등을 함께 보내기도 했다.
「凝窩先生年譜」, 『凝窩全集』, 이원조, 여강출판사, 1986
1차 집필자: 심수철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3년 이종상(李種祥) 서간(書簡) 별지(別紙)

紙墨
長子所賜 不敢不祗受 而以幣
將之者 有不堪當 故玆敢還完